실업급여 신청 이렇게 하세요! 실업급여 신청,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걱정 마세요!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분들을 위해, 꼭 필요한 단계만 콕 집어 순서대로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0. 이직확인서 요청 및 확인 (가장 먼저!) 회사를 그만두셨다면, 가장 먼저 회사에 이직확인서 발급을 요청해야 합니다. 이 서류는 회사가 고용노동부에 제출해야 하는 서류로, 실업급여 수급 자격을 심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회사에서는 이직확인서 요청을 받으면 10일 이내에 제출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처리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퇴사 후 바로 요청하여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직 확인서가 아직 처리되지 않은 상태라도 4. 가까운 고용센터 방문하기 까지는 진행할 수 있으니 우선 신청을 해두고 계속 진행합니다. 이직확인서가 제대로 처리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용보험 웹사이트(www.ei.go.kr)에서 확인: 고용보험 웹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에 문의: 전화로 문의하여 이직확인서 처리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워크넷(Work-Net)에 내 정보 등록하기 워크넷(www.work.go.kr)에 접속해서 회원가입 후, 구직 신청을 합니다. 간단히 말해 "저 일자리 찾고 있어요!"라고 나라에 알리는 겁니다. 구직 신...
저는 직장생활을 20년 가량 하면서 그동안 회사를 4군데 이직하였는데, 그럼에도 단 한번도 회사를 옮기는 사이에 일주일 조차 쉬는 기간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사실 주변에서 실업급여를 받는 사람들은 봤지만, 정작 제가 수급해본 적은 없어서 실업급여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제 직장생활도 어떻게 될지 모르는 일인만큼 관련 제도에 대한 알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고용보험 실업급여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고용보험 실업급여? 실업급여라고 하면 직장을 잃은 것에 대해 정부에서 주는 보조금이라고 생각을 많이 할 것 입니다. 그러나 정확하게는 재취업 기회를 지원해주는 제도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정의한 내용은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실업으로 인한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며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주는 제도라고 정의했습니다. 실업급여는 실업이라는 보험사고가 발생했을 때 취업하지 못한 기간에 대하여 적극적인 재취업활동을 한 사실을 확인(실업인정) 하고 지급합니다. 실업급여에도 아래와 같이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각 실업급여 종류의 상세 설명 및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직급여 조건 고용보험 적용사업장에서 실직전 18개월(초단시간근로자의 경우, 24개월) 중 피보험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80일이상 근무 근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