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전망
32024.11.20
인플루언서 
재클쌤
2,560경제 전문블로거
참여 콘텐츠 3
9
2025년 부동산 경기 전망과 2024년 부동산 시장 흐름

2025년 부동산 경기 전망과 2024년 부동산 시장 흐름 안녕하세요? 네이버 경제 인플루언서 재클쌤입니다. 2024년 부동산 시장은 여러 가지 변수 속에서 변화가 감지된 해였습니다. 국회의원 선거와 금리 변동, 매물 적체 등으로 불확실성이 크고, 지역별로 상이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2025년 부동산 경기 전망은 어떨지 NH증권 보고서를 바탕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2024년 부동산 시장 흐름 2024년 부동산 시장은 많은 변수를 안고 있었다. 총선 전 전국적으로 거래 관망이 지속되었고, 가격은 약세 흐름을 보였다. 여신 부담이 증가하고 매물 적체가 쌓이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가율이 회복되었고, 분양가 상승으로 매매와 전세의 갭이 소폭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시장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2024년 중반 이후에는 규제 완화의 동력이 약해지면서 실수요 시장이 더욱 강화되었고, 수도권과 지방 간의 가격 격차가 확대되었다. 서울의 경우 3월 이후 가격 상승폭이 커졌지만, 지방은 여전히 약세를 보였다. 특히 상급지와 정비사업장에서는 가격 반등이 일어나며 신고가 거래가 발생했다. 2. 대출금리 인하와 거래량 감소 2024년 하반기 대출금리가 인하되면서 갈아타기 수요가 급증했고,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상승과 거래 증가가 일어났다. 그러나 대출 규제와 높아진 매도 호가 그리고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로 인해 4분...

2일 전
8
부동산 동향과 전망, 정부의 종합대책 발표와 의미

부동산 동향과 전망, 정부의 종합대책 발표와 의미 부동산은 실물자산의 대표적으로서 필수재이자 가치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부동산 동향을 KB부동산 데이터허브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향후 전망에 대한 저의 생각을 기술해보겠습니다. 그리고 곧 발표 될 정부의 부동산종합대책에 담길 내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함께 포스팅에 담아보았습니다. <목차> 1. 2024년 우리나라 부동산 동향 2. 하반기 및 내년 한국 부동산 전망 3. 정부의 부동산 종합대책 발표와 의미 4. 재클쌤의 경제 7스푼 1. 2024년 우리나라 부동산 동향 서울의 주택매매가격 강남권의 주택매매가격 증감률은 넉달 째 오름세가 지속됐다. 24년 1분기에 1~2곳밖에 없었던 상승세는 7월 들어 11군데 중 금천구를 제외한 10곳으로 확대되었으며, 특히 강남3구의 핵심지역 상승세가 눈에 띈다. 24년 2월만 하더라도 상승하는 곳이 하나도 없었던 강북은 4월부터 조금씩 꿈틀대기 시작했다. 6월 들어 과반수가 주택매매가격 전월 대비 증감률 오름세를 보이면서 7월 용산구를 중심으로 마포구와 성동구의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중이다. 경기도의 주택매매가격 서울의 오름세는 경기도로 전이되기 마련이다. GTX 교통 이슈로 서울과의 접근성이 더욱 좋아졌으며, 준강남권인 과천과 성남 등의 선호가 줄어들지 않는다. 과천은 작년 8월부터 줄곧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7월 2.15%의...

2024.08.05
9
중국 경제 성장률 둔화, 부동산 및 경제지표 전망

중국 경제 성장률 둔화, 부동산 및 경제지표 전망 안녕하세요? 경제 인플루언서 재클쌤입니다. 어제 2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이 발표가 되었는데요. 수출이 회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 둔화와 부동산시장 부진을 이유로 1분기 실질GDP 및 예상치를 하회하였습니다. 자세히 살펴볼까요? <목차> 1.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 둔화 2. 주요 경제지표 성장률과 부동산시장 3. 경제지표 및 GDP 전망 4. 재클쌤의 경제 7스푼 1.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 둔화 실질GDP가 2분기에 4.7%로 둔화되었다.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이 5.3%로 예상치를 상회하였고, 2분기 수출이 늘어나면서 긍정적으로 전망되었으나 예상치를 하회하였다. 2. 주요 지표 성장률과 부동산시장 2분기 GDP 둔화의 가장 이유 2가지를 꼽자면 바로 '소비 둔화'와 '부동산시장 부진'이다. 소매판매 증가율을 살펴보면 식음료 매출은 확대(10.8%)되었으나, 자동차 감소(-2.7%) 등으로 1분기 4.7% -> 2분기 2.7%로 증가세 둔화. (예상치 3.9%) 산업생산: 1분기 6.1% -> 2분기 5.9%로 소폭 완만 (예상치 6.2%) 고정자산투자: 부동산시장 부진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및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어 1분기 4.0% -> 2분기 3.9%로 소폭 완만 (예상치 4.0%) 수출: 1분기 1.5% -> 2분기 5.9%로 큰 폭 확대 (예상치 4.9%). 무역흑자 253...

2024.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