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녀자공제
22025.01.23
인플루언서 
JC
1.3만+경제 전문블로거
참여 콘텐츠 2
4
연말정산 부녀자공제 한부모공제 조건정리

연말정산 부녀자공제 vs 한부모공제 조건정리 연말정산 시즌이면 떠오르는 건 늘 영수증 더미와 복잡한 서류들이다. 부녀자공제와 한부모공제 역시 비슷하며 다른데... 둘의 차이는? 아니면 "이건 나랑 상관없는 얘기야"라며 관심이 없을수도 있겠지만 이번포스팅에서는 부녀자공제와 한부모공제를 간단하게 정리해 본다. 부녀자공제, 그리고 조건은? 부녀자공제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큰 여성 근로자를 돕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다. 말 그대로 부양가족이 있거나 세대주로서 가계를 책임지는 여성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연간 50만 원의 혜택을 제공한다. 적용 조건은 아래와 같다. 세대주이거나 부양가족이 있어야 한다. 종합소득금액이 3,000만 원 이하일 것. 미혼, 이혼 후 5년 이상 경과한 여성일 것. 쉽게 말해, "혼자서도 잘 살아내고 있는 여성"에게 주는 혜택이라고 보면 된다. 단, 여기서 핵심은 '종합소득금액'이다. 근로소득공제를 반영한 금액이라 단순히 연봉만 보고 판단하면 안 된다. 예를 들어 총급여가 3,000만 원이상이더라도 근로소득공제를 빼고 3,000만 원 이하라면 부녀자공제를 받을 수 있다. 한부모공제, 조건은? 한부모공제는 말 그대로 자녀를 홀로 양육하는 부모를 위한 제도다. 이 공제는 연간 100만 원의 혜택을 제공한다. 조건은 이렇다. 배우자가 없어야 한다. (미혼, 이혼, 사별 등) 만 20세 이하 자녀를 부양해야 한다. 단, 자녀가...

2025.01.23
5
연말정산 부녀자공제 · 배우자공제 정리 [뜻·근로소득·연봉·조건·기준·대상]

연말정산을 하다 보면 배우자 공제는 알겠는데 부녀자 공제도 있지 않은가? 공제금액도 부녀자공제는 50만 원, 배우자 공제는 100만 원인데 처음 접하면 정말 애매할 수도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녀자공제와 배우자공제 항목의 뜻과 연봉·조건·기준 등을 간단 정리한다. 연말정산 부녀자공제 아래는 연말정산 세액계산 흐름도인데 이번에 살펴볼 부녀자공제는 인적공제 중 추가공제 항목에 들어 있으며 여성만 가능하다. 자료출처 / 국세청 부녀자공제 기준과 조건을 보면 근로소득 금액이 3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소득요건)로 배우자가 있는 여성이거나 배우자가 없는 여성일 경우 기본공제 대상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이면 50만 원을 공제해 주는 공제 항목이다. 여기서의 부녀자공제 시 부양가족이란 당해 생계를 같이하면서 나이 및 소득요건을 모두 충족하여 기본공제를 받는 부양가족을 가리킨다. 그리고 근로소득 금액이란 연봉에서 비과세소득과 근로소득공제를 제한 금액으로 근로소득 금액 3천만 원 이하가 되려면 총 급여는 41,470,580원 이하여야 하며 여기에 비과세 소득인 월급과 별도로 지급하는 식대나 차량 유지비 등을 더하면 연봉이 되는데 회사마다 비과세 소득이 차이가 있으므로 딱 떨어지는 연봉 금액은 산출하기 힘들다. 자료출처 / 국세청 배우자가 없는 여성은 과거에 혼인 여부와 상관없으며 배우자가 있는 여성은 주부의 취업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가사 ...

20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