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3학년사회
322024.09.23
인플루언서 
과학쌤 yj
2,770교육 전문가(교사)
참여 콘텐츠 5
70
3학년 1학기를 마치며_중요한 것은 역시 그것.

초3 둘째의 3학년 한 학기 살이가 끝나고 지난주 금요일에 개학을 했다. 큰 아이 초3 때는 겁을 참 많이 먹었었는데, 지나고 보니 그게 또 그렇게 겁먹을 일인가? 그렇게까지 교육 채널이나 교육서에서 겁줄 일인가? 싶다. 기본이 흔들리지 않는 아이들은 뭘 해도 잘하게 되어있다. 그 기본은 생활습관부터 시작해서 차츰 공부습관으로 넓혀가면 된다. 그 과정을 통해 학교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학습역량으로 확장시켜 나아가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다. 그 어떤 문제집, 어떤 학원보다 집에서 올바른 습관을 잡는 것이 먼저다. 초3 자녀가 있는가? 초3을 앞둔 자녀가 있는가? 너무 걱정하지 말자. 쫄지말자. 그까짓 거 지금까지 제대로 하고 있었다면 별거 아니다. 초3 :: 국영수사과 균형 있는 교과학습 입시 공부 고교학점제 교직경력 집필 중인 책 생각이 닿은 것은 '국영수사과' 균형 있는 교과학습이다. 어느 것 하나 빠짐없이 균형 있게 제 학년에 배우는 것을 채우고 올라가야 한다. 특히나 융합 수능을 보게 될 아이들에게는 과도한 선행보다는 탄탄한 현행이 우선이고 필수가 될 것이다. 3학년 1학기 수학 교과 문제집 2권 외 연산 문제집을 꾸준히 하고 있고 2학기 교과 문제집과 1031 입문과 분수 문제집도 찔끔찔끔 병행하고 있다. 국어는 다른 과목 학습의 도구 과목이다. 국어를 못 하면 다른 과목 점수가 나올 수 없다는 뜻. 훈민정음 3학년...

2024.08.26
17
초5 여름방학: 5-1 사회 복습

과학도 그렇더니 사회도 역시나 초등학교 5학년이 되니 교과 내용이 어려워진다. 여름방학을 맞아 큰 아이가 가져온 사회책 목차 살펴보다 깜짝 놀라고 2022 사회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며 두 번 놀랐다. 초등사회 만만치 않네_ 2028 대입 개편으로 인해 통합과학, 통합사회도 수능 과목이 되었다. 선택과목 수능 체제가 아닌 통합 과목 수능 체제로 수능을 치르게 될 우리 아이들 미래의 일이다. 초 5-1 사회 아이스크림 미디어 교과서 <5-1 사회> 국토와 우리 생활 : 국토의 위치와 영역, 국토의 자연환경, 국토의 인문환경 국토의 위치와 영역, 국토애, 국토의 지역 구분, 행정구역의 위치 및 도(시) 청 소재지, 국토의 기 후와 지형, 국토의 자연재해와 대책, 국토의 인구 분포 및 구조 변화, 국토의 도시 발달 과정, 국 토의 산업구조 변화, 국토의 교통 발달 과정 2022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 01. 2022 사회과 교육과정 해설서 살펴보기 02. 사회 교과서 교육과정 해설서에 명시된 대로 지도, 그래프, 영상 자료, 통계자료. 사진 등의 자료 활용 능력과 더불어 '국토지리 정보원', '기상청', '통계청' 등의 인터넷 자료조사 능력이 필요하다. 지난번 <초등 역사 공부 꿀팁>에서 소개했던 백지도 활용법이 교육과정 해설서 및 교과서에 많이 등장한다. 백지도를 다운로드해 우리나라의 행정구역을 교과서를 보지 않고 써넣을 수 있다면 GOOD ...

2024.08.19
2
초등 역사 공부 꿀팁

초등 3학년부터 배우기 시작하는 '사회' 과목은 학생들이 가장 지루해하고 싫어하는 과목으로 손꼽힌다. 이유는 방대한 지식의 양과 더불어 외워야 할 것들이 넘쳐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회 과목은 ‘지리 인식’, ‘자연환경과 인간생활’, ‘인문환경과 인간생활’, ‘지속 가능한 세계’, ‘정치’, ‘법’, ‘경제’, ‘사회⋅문화’, ‘역사 일반’, ‘지역사’, ‘한국사’ 등의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이중 역사 관련 영역은 과거 사람들의 생활상을 이해하고 삶에 대한 안목을 키우며, 다양한 시각에서 인간의 삶과 관련된 문제를 해석하고 과거와 현재, 나와 타인의 삶에 대해 성찰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기여한다. 또한 역사 관련 영역의 핵심 아이디어는 역사의 의미를 알고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파악하여 학생들이 시민으로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사적 통찰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 초등학생의 역사의식 발달 과정에 따르면 초등 5~6학년 정도 되어야 역사적 연대 개념을 이해하고 역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발달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된다고 한다. (「초등학생의 역사의식 발달연구」 2001, 김종희 외) 그렇기에 교육과정상 역사를 5학년 2학기에 의도적으로 배치해둔 것이다. 하지만 방대한 사회 과목 중 하나인 '역사'는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고조선부터 근현대사를 한 학기 동안...

2024.04.18
30
초3 초5 교과서 복습과 배움 노트_디지털 교과서 활용법

주말 내내 봄 날씨 만끽하셨나요? 갑자기 너무 더워진 느낌이에요. 이제 정말 봄 가을이 사라져 가는 건지 ㅠㅠ 주말 이야기_ 저는 지난주 화요일부터 장염에 걸려 너무 아팠는데 결국은 링거를 맞고 약을 더 먹고 있어요. 나이 먹으니 아픈 것도 빨리 안 낫고 힘드네요. 갑자기 더워진 날씨에 옷장 정리와 겨울옷 빨래를 주말 동안 몇 번을 돌렸나 몰라요. 세탁소 맡길 것, 빨래할 것, 버릴 것 아이들이 너무 금방 커서 물려줄 깨끗한 옷 빼고는 작고 해진 옷들을 한 보따리 버렸어요. 미국에 살 때 여행 가면 티셔츠를 사주었었어요. 3살 5살에 플로리다와 보스턴 여행하며 사 입었던 티셔츠인데 너무 귀여워서 아직도 못 버리고 가지고 있다가 이번에는 과감히 버렸답니다. 아이들 크는 거 금방이네요. 여름에는 또 옷을 사줘야 할 것 같고 키도 발도 어찌나 쑥쑥 크는지 이제는 발 사이즈도 금방 따라잡힐 것 같습니다. 날이 좋아 집에만 있기 아쉬워서 아픈 배를 쥐어잡고 둘째랑 같이 밖에 산책 갔더니 진달래가 피었더라고요. 봄은 봄! 일요일에는 시댁 앞마당에 작년에 심었던 고춧대를 이제야 정리해 봅니다. 어머님께서 큰 수술을 하시고 아프시다 보니 다른 건 뒷전이었는데 이제는 치워야 할 때라 미루고 미뤄두었던 일들을 하나씩 하고 있어요. 아이들이 도와주어서 10분 컷으로 정리! 이제는 힘도 저보다 세서 든든하네요. 초등 교과서 복습과 배움 노트 정리 개학하고...

2024.03.25
30
국립 지도 박물관_초등 사회 교과 대비로 굿

초등 교과 중 학생들이 가장 싫어하는 과목은? 무엇이라 짐작되는가? 바로바로바로 사회 학생들 입장에서는 외워야 할 게 너무 많다는 인식의 과목 사실 나도 학교 다닐 때 외워야 할게 너무 많아서 사회를 좋아하지 않았기에 학생들 마음이 이해가 간다. 하지만! 내신점수에 반영되는 과목이니 소홀할 수가 없어 나만의 암기 방법을 이용해서 교과서와 필기노트를 달달 외웠던 기억이 난다. 학생들이 재미없고 지루하고 힘들어하는 사회 과목이지만 2028 대입 수능부터는 통합사회도 수능 과목에 들어갔기에 초등 사회부터 꼼꼼하게 공부해 나가야 할 이유는 충분하고 타당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 살펴보기 01. 초3부터 중3까지 공통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의 공통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지식·이해 내용체계만 해도 아래와 같이 방대하다. (1) 지리 지리 인식 자연환경과 인간생활 인문환경과 인간생활 지속 가능한 세계 (2) 일반사회 정치 법 경제 사회문화 (3) 역사 역사 일반 지역사 한국사 사회과는 ‘지리 인식’, ‘자연환경과 인간생활’, ‘인문환경과 인간생활’, ‘지속 가능한 세계’, ‘정치’, ‘법’, ‘경제’, ‘사회⋅문화’, ‘역사 일반’, ‘지역사’, ‘한국사’ 등의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이들 영역은 시⋅공간 속의 인간과 사회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관련 문제나 쟁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시민의 자질을 기르는...

2024.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