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어마 무시한 첫눈이 내렸던 날. 남편과 둘째가 시댁 마당의 눈을 치우며 만든 이글루_ 정말 그럴듯하게 만들어놔서 남편이 보내준 사진을 보고 한참 웃었던 기억이 난다. 설 연휴를 앞두고 또다시 내린 폭설로 마당에는 눈이 한가득이었다. 올해는 눈이 왔다 하면 이렇게 쌓이니 ㄷㄷ 그동안 얼음 이글루가 크기가 줄어있었는데 오래간만에 쌓인 눈을 치우며 이글루를 다시 만들었다. 아빠는 마당의 눈을 치우며 이글루에 운반해 주면, 아이들이 눈을 다지며 이글루를 만드는 작업을 반복. 눈도 치우고 이글루도 만들며 눈놀이 하기_신난다 신나! 엄마 왜 응고가 일어날 때 응고열을 방출하는데 상태변화 시 온도는 일정한 거예요? 그래프에서 평형한 부분이 왜 그런 거죠? 중1 과학을 공부하고 있는 큰 아이가 질문을 했다. 오호라 오호라_이게 상태변화에서 가장 핵심인데!! 기특하도다. 과학 역시 수학처럼 혼자 책을 보며 읽고 문제를 풀며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을 내게 질문한다. 상태변화는 중학 과학에서 아주 쉬운 단원 중 하나인데 가열-냉각 곡선에서 온도가 일정한 구간에 대한 이해를 하지 않은 채 암기만 하는 학생들이 많다. 물론 상태변화의 종류와 예가 중요하지만 상태변화 시 온도가 일정한 부분에 대한 이해는 필수다. 수행평가, 서술형 문항으로 자주 출제되고 중요한 부분이다. 입자 간의 거리와 인력, 열출입 관계를 반드시 이해하고 가자. 물체의 상태가...
초3 초5 신문 글쓰기 NIE 지진 초4 과학 중1 과학 과학문해력과 어휘력 공부 4월 3일 규모 7.2의 지진이 대만 화롄을 강타했다. 초 4 과학과 중 1 과학에서 배우는 지진 우리나라는 지진의 안전지대가 더 이상 아니라는 이야기가 신문, 뉴스에서 계속 흘러나온다. 지진 다음날 4월 4일 동아일보 조간신문에 실린 대만 화롄 지진 이야기와 4월 12일 뉴저지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뉴욕까지 지진의 피해가 일어났다는 기사를 이용해서 아이들이랑 주말 동안 신문 글쓰기를 진행했다. ● 대만은 불의 고리에 위치하고 있어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나라 중 하나이며 1999년 921 대 지진으로 사상 최대의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했었다. ● 4월 12일 신문에서 다루는 '판 내 지진' , 우리나라와 뉴욕은 판의 경계가 아닌 판 내에 위치해서 안전지대라고 여겼었으나 이제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는 없는듯하다. 01. 초5 신문 글쓰기 _ 지진 중1 과학 예습 2개의 신문 기사를 읽고 중요 문장 밑줄 긋기, 사전을 이용한 어휘 찾기, 중 1 과학 교과서 읽기를 먼저 진행했다. 내가 먼저 기사를 읽어보고 추후에 중 1을 맡게 되면 중1 과학 수행평가로 판의 경계 지진과 판 내 지진에 대해서 문제를 내야겠다고 생각 후 과학 수행평가처럼 문제를 만들어서 1호에게 문제를 주고 글로 써보도록 했다. 신문 기사를 읽고 풀 수 있도록 기사 안의 내용으로 3문제를 출제...
어메이징 자연탐험 아름답고 신비한 암석 시공주니어 -과학 연계- 초4-1 과학 2. 지층과 화석 초4-2 과학 4.화산과 지진 중1 과학. 지권의 변화 어메이징 자연탐험의 여섯 번째 책 『아름답고 신비한 암석』 암석 사냥꾼이 되어 우리 주변의 암석과 광물을 찾아 떠나는 탐험이야기 좋은 과학책을 보면 이웃님들께 소개하고 싶어지는게 과학교사이자 엄마인 저의 마음입니다. 시공주니어의 어메이징 자연탐험은 자연활동을 통한 과학 놀공법으로 유치원, 초등학생 아이들에게 과학은 재미있고 즐겁다! 라는 경험을 심어줄 수 있어요. 또한 책 안에 다양한 활동들과 예시 들이 첨부되어 있어 따라하기에도 안성맞춤이랍니다. 01. 암석수집_계란판 하나 들고 나가기만 하면 끝! 하교 후 집 근처 공원에서 여러가지 암석을 관찰하기. 작은 택이도 하얀색 반짝이는 돌이 너무 신기하다며 수집해와서 깨끗하게 씻어서 간직하더라구요. 이 돌은 '석영'이라는 광물이 많이 들어서 반짝반짝 빛이 나는거야! 라는 엄마의 한마디 덧붙임이면 과학문해력과 과학배경지식은 쑥쑥 자라죠 :) 책에 더 자세한 설명과 사진이 실려있기 때문에 과알못 부모님이라도 겁먹을 필요가 전혀없어요. 02. 화석만들기 초등 4학년 1학기 과학 2단원에서는 지층과 화석에 대해 배운답니다. 아이들 박물관에서 본 그 화석! 많이 익숙하잖아요. 과학관이나 박물관을 보며 알게 모르게 경험한 모든 것들이 초등 과학의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