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육아 인플루언서 내루입니다. 어제인 1월 17일부터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어요. 24년 청룡띠로 많은 아기들이 세상에 태어나줬는데요, 오늘은 2025년도 산후조리원 연말정산 소득공제 환급 방법, 배우자인 남편에게 몰아주기 왜 하는 건지, 꿀팁까지 알려드리려고 해요. 2025년 산후조리원 비용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 확대 이전에는 총급여액 7천만원 이하라는 제한이 걸려있어 아쉬웠던 점들이 많았었는데요, 이번 연말정산에는 대상 확대로 개정되었어요. 총급여 기준을 폐지하고 총급여액과 상관없이 출산 1회당 산후조리원 지출액 15%, 200만원 한도로 공제 가능하답니다. 이는 24년 1월 1일 출생 이후의 자녀부터 적용됩니다. 산후조리원 비용 공제 금액? 산후조리원에서 결제한 모든 비용이 공제되는 것이 아니라 ✔ 첫만남 이용권 바우처 사용 ✔ 피부관리 비용 ✔ 산후 관리 비용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특히 바우처로 결제된 금액은 연말정산 대상이 아니니 알아두셔야 해요! 기본 산후조리원 금액만 연말정산 가능하며 마사지나 피부관리 등 추가로 결제한 내역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세액공제 계산해보기 (의료비 지출액 - 총급여액의3%) X 15% 총 급여의 3%를 초과하는 의료비의 15%를 세액공제해주므로 위 계산식을 사용하면 돼요. 예를들어 총 급여 6천만원 조리원비용 500만원일 경우, 조리원 비용 한도가 200만원이므로 500만원 중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