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초기 자연유산은 임신 20주 이내에 태아가 사망하는것을 말하며 전체 임신의 10~15% 이에 해당하며 그중 80% 이상이 임신 12주에 일어난다고 합니다. 오늘은 절박유산 증상 원인 및 화학적유산 이유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산의 종류 √ 절박유산 절박유산은 유산의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를 뜻하며 출혈이나 복통 등 유산 징조가 나타나지만 아직 임신을 지속할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태아의 생존 여부는 초음파 검사로 확인할수 있습니다. 태아의 심장박동이 확인되면 안전하다는 신호이며 박동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에는 태아를 싸고 있는 태낭을 검사하며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검사해 여부를 확인을 진행한다 √ 화학적유산 화학적유산은 임신 확인을 위해서 피검사, 임신 호르몬 수치가 올라갔으나 아기집이 보이지 않으면 임신이라고 하기 어려우며 임신 테스트기로 확인하였을때 양성반응이 나왔지만 초음파상으로는 확인되지 않으므로 늦은 생리라고 이야기 한다 √ 계류유산 사망한 태아가 자궁 안에 그대로 머물러 있으면서 아무런 증상이 없는 상황을 이야기하며 특별한 증상이 없어 임산부 자신도 모르고 지내며 통증이나 출혈이 발생하지 않아 정기 검진을 통해서 사실을 알게 되는 경우가 있다 √ 완전유산 자궁 안에 있던 태아와 태반 조직이 자궁 밖으로 배출된 상황을 이야기하며 진행되는 경우에는 출혈이 대량으로 일어난다 유산의 원인 유산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진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