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dc형
72025.01.28
인플루언서 
단디제표
861경제 전문블로거
참여 콘텐츠 1
11
퇴직연금 DB형 DC형 차이점과 장단점 그리고 단디제표의 선택은?

안녕하십니까. 경제 인플루언서 단디제표입니다. 우리나라에는 퇴직연금제도가 있습니다. 근로자의 퇴직 시 연금 형태로 분할 지급하는 제도인데요. 퇴직연금제도는 DB형과 DC형으로 나누어집니다. DB형과 DC형은 무엇이 차이 나길래 구분됐는지. 퇴직연금 DB형과 DC형 차이점과 단디제표의 선택까지 함께 살펴보시죠. 퇴직연금 DB형 정의 <퇴직연금 DB형 정의> 기업이 연금 지급액을 사전에 확정해 두고, 근로자가 퇴직 시점에 받을 퇴직연금액이 근속연수나 임금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방식임. ☞ 쉽게 풀자면, 회사가 약속한 퇴직금을 근로자는 지급받는 방식임. ☞ DB형을 확정급여형이라고도 부르는 이유임. 기업이 주체가 되어 연금자산을 운용하고, 성과 또는 손실에 대한 위험도 기업이 부담함. <DB형 핵심 특징> 근로자 입장에서는 퇴직 후 받을 금액에 대해 예측이 가능함. 기업의 퇴직 적립금 운용 성과가 부진해도 근로자에게는 약속된 퇴직급여를 지급해야 하기에 근로자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음. 퇴직연금 DC형 정의 <퇴직연금 DC형 정의> 기업은 매년 확정된 금액(기여금이라고 함)을 근로자의 개인 계정에 납부를 하고, 근로자는 이를 직접 또는 위탁 운용하여 향후 수령액이 결정되는 방식임. ☞ 근로자의 직접 운용 수익이나 위탁 운용의 수익에 따라 퇴직연금 수령액에 변동이 생김. ☞ DB형과 다르게 근로자에게 부담이 높은 방식임. <DC형 핵심 특징>...

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