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이지 세상 사람이 다 그래도 자타가 공인하는 역마살인 내가 이러면 안 되는데.
'살려면 돌아다녀야 한다, 돌아다니는 것만이 살 길이다'를 표방하는 내가 이러면 세상 사람들이
"넌 돈 1000원에서 5000원 때문에 돌아다니냐? 요 돈을 좇을 만큼 궁핍하냐?"
이러며 손가락질할 텐데.
그러나 어쩌겠는가, 이미 '경북여행찬스'의 '럭키세븐경북여행'을 알아 버린 것을. 2023년에는 아무래도 이 재미로 경북 여행에 집중할 것 같은 예감이, 아니 확신이 든다. 은영이랑 나는 직지사에 도착해서도 먼저 전화기를 꺼내서 아래와 같이 편의점 상품권부터 취했다, '부처님 죄송합니다, 경북여행찬스로 돈부터 벌겠습니다.' 이러면서.
(1) 네이버에서 '경북여행찬스' 검색
(2) 들어가서 '럭키세븐경북여행' 선택
(3) 현재 있는 여행지가 있는지 확인
(4) 간단하게 로그인(Log in)
(5) '미션 참가하기'를 눌러 들어가기
(6) 주변 사진을 한 장 찍어서 올리기
이러려고 직지사에 간 것은 아니지만, 굳이 이러지 않을 필요가 없어서 편의점 상품권부터 취하기는 했지만 솔직히 우리도 알 수 없는 이러고 싶은 마음이 우리를 직지사로 이끌었는지도 모르겠다. 너무나 깊숙한 본능이 작용했다면 우리도 진심으로 모르는 일이니까. 아무튼 우리는 직지사에 도착해서 이것부터 했고, 지난 연화지 글에서 적은 것처럼 우리는 소소한 돈이라면 현금보다 편의점 상품권을 선호한다. 현금은 묻혀 버리지만 편의점 상품권은 평소에 못 사는 것을 저지를 수 있어서다, 요즘 말로 하면 플렉스(Flex)? 참고로 김천에서 돈을 벌 수 있는 여행지는 아래 세 곳이며,
김천 연화지, 경북 김천시 교동 820-1
김천 황악산,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김천 자두축제, 경북 김천시 지례면 도곡리 105
직지사를 보통 '김천 직지사' 또는 '황악산 직지사'라고 부르니까 '김천 황악산'에 들고, 오! 이런 식으로 어느 산에 무엇이 있는지, 무엇이 어느 산에 있는지 공부도 되고 그렇네?
자, 이제 편안해진 마음으로 직지사를 돌아보자.
우리는 산문을 통해 들어가서 외길을 따라 일주문, 대양문, 금강문, 천왕문, 만세루를 차례로 통과하여 대웅전 앞마당에 들어섰다. 왼편에는 육화당이, 오른편에는 심검당이 있고, 두 당우 앞에는 각각 삼층석탑이 있고, 삼층석탑 사이를 가로질러서 대웅전 오른편 뒤에 있는 성좌각을 구경한 후, 대웅전 앞으로 해서 왼쪽으로 빠져나가며 향적전, 관음전, 사명각, 응진전, 명부전, 비로전, 명월당, 약사전, 황악루를 차례로 구경했다. 그리고 다시 대웅전 앞마당으로 돌아와서 범종각을 구경하며 빠져나가서 청풍료를 지나, 설법전을 끼고 돈 뒤, 개천을 따라 내려갔다. 설법전 모서리에 산중다원이라고 찻집이 있었지만 그냥 지나쳤고, 개천 너머에 있는 극락전, 주향각, 안심료 등은 바깥 꺼풀만 구경하는 것으로 만족했고, 개천은 우리를 앞마당이 유난히 널찍한 만덕전으로 이끌었고, 그대로 작은 문을 통과하니 대양문 바깥이었고, 그렇게 우리는 일주문과 산문을 차례로 나서는 것으로 직지사 유람을 마쳤다.
산문에서 일주문에 이르는 길은 거리가 꽤 되지만 이대로 영원히 걸어도 좋겠구나 싶을 만큼 걸을 맛이 나는 길이었다. 깊은 숲속에 묻힌 느낌도 들고, 여행이 아닌 참배 길에 오른 느낌도 들었다.
일주문은 기둥이 하나라서 일주문이다. 여기부터는 사바세계가 아닌 불계라는 뜻인데, 요즈음은 절이 크면 일주문도 커서 보조 기둥을 두는 경우가 많고, 일주문 바깥에 산문이나 선문을 두어 또 하나의 경계로 삼는 경우도 많다. 큰 절일수록 더욱 그러하니 불계가 넓어진다는 뜻일까? 절이 소유한 땅을 명확히 구분하려는 뜻이려나? 여하튼 직지사 일주문 현판에는 '黃岳山直指寺(황악산직지사)'라고 적혀 있고, 안쪽에 '紫霞門(자하문)'이라고 적은 현판이 하나 더 걸려 있다.
이는 각각 직지사가 우리에게 편의점 상품권을 안긴 황악산에 있다는 의미요, '당신이 지금 서쪽으로 향하고 있으니 해 질 녘에 왔으면 자줏빛(紫) 노을(霞)이 아름답다'고 일러 주는 의미다. 일주문을 통과해서 조금 더 올라가니 대양문이 나오고,
대양문을 통과해서 조금 더 올라가니 금강문이 나왔다.
금강문은 이름처럼 금강역사가 지키는 문이다. 왼쪽에는 밀적금강이 무섭게 입을 벌리고 서서 부처님을 호위하고 있고, 오른쪽에는 나라연금강이 무섭게 입을 앙다물고 서서 부처님을 호위하고 있었다.
금강문을 지나서 조금 더 올라가니 천왕문이었고,
천왕문은 불계를 수호하는 사천왕이 눈을 부라리고 내려다보며 지나다니는 중생을 검열 및 보호하는 관문이다.
참고로 사천왕은 동서남북으로 지국천왕, 광목천왕, 증장천왕, 다문천왕이 각각 칼, 삼지창과 탑, 여의주, 비파를 들고 서 있으며, 서열상 위로는 제석천을 모시고, 아래로는 팔부중을 지배한다. 팔부중은 불법을 지키는 천(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闥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迦) 등 여덟 장수를 말하고, 앞서 금강문을 지키던 금강역사는 야차에 속하고, 제석천은 도리천의 우두머리로서 범천과 함께 부처님을 좌우에서 모시는 수호신이고, 범천은 초선천의 우두머리다. 뭐가 이렇게 많지? 일이 점점 커지네.
천왕문을 통과하자 만세루가 기다리고 있었다. 여기까지 왔다는 말은 모든 검열을 통과했다는 말이다. 마음 같아서는 곧장 만세루를 지나 대웅전을 대면하고 싶었으나 왼편에서 물이 하도 시원하게 떨어져서 발길이 그쪽으로 먼저 향했다.
수로에서 떨어지는 물인데 숫제 작고 아름다운 폭포를 이루고 있었다. 부처님 근처에서는 세상 만물이 평범하게 존재할 수 없나 보다. 하루 종일도 구경할 수 있겠으나 억지로 걸음을 떼서 만세루 밑을 통과했다. 그러자 드디어 대웅전이 그 위용을 드러냈다.
눈길이 먼저 마당을 지키고 있는 단아한 삼층석탑 두 기에 잠시 사로잡혔다. 이어서 이들이 인 듯한 새파란 하늘과 두른 듯한 새파란 산에 눈길이 가서 잠시 머물렀다. 이어서 새파란 하늘과 새파란 산이 품은 귀한 보물인 듯 자리를 잡은 육화당, 대웅전, 심검당에 각각 눈길이 가서 꽂혔다. 전체적으로 석탑과 하늘과 산과 건물 등이 모두 불계마저 아우르는 대자연의 정수인 양 황금 비율로 존재하는 직지사 대웅전 앞마당이었다. 그런데 보물에까지 지정된 이 삼층석탑 두 기의 공식 명칭은 '문경 도천사지 동서 삼층석탑(聞慶 道川寺址 東西 三層石塔)'이다.
웬 문경 도천사? 이름이 이러한 이유는 도천사지라는 문경 폐사지에 있던 삼층석탑 세 기 중에 두 기를 이곳에 옮겨 세웠기 때문이고, 나머지 한 기는 조금 있다가 비로전 앞에서 만나게 되는 보물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聞慶 道川寺址 三層石塔)'이다. 때는 바야흐로 1974년 일이며, 아울러 '문경 도천사지'라니까 마치 문경 도천사에 있던 삼층석탑인 것 같으나 도천사는 일제 강점기에 지역 양반들이 세운 道川祠(도천사)에 기인한 이름으로서 삼층석탑과는 무관하며, 오히려 그 동네에 전설로 내려오는 영원사라는 이름이 걸맞은 것 같다. 그리고 직지사에는 이런 삼층석탑이 한 기 더 있다. 바로 청풍료 뒷마당에 서 있는 보물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傳 龜尾 江洛寺址 三層石塔)'이다. 이름처럼 강락사지라는 구미 폐사지에 있던 삼층석탑이며, 1968년에 선산군청 앞마당으로 옮겨 복원한 것을 1980년에 직지사로 옮긴 것이다. 알면 알수록 참 재미있는 사연들이다.
마당에 발을 들였다. 햇살이 너무나 강력해서 천천히 걸었다가는 타 죽을지도 모른다는 경각심에 얼른 가로질러서 대웅전 오른편 뒤에 있는 성좌각으로 갔다.
그런데 마당 끝에서 성좌각에 이르는 길도 뙤약볕이라서 포기하고 멀찍이 사진만 한 장 찍고 대웅전 그늘로 피신했다. 까딱하면 정말로 정수리가 말라비틀어져서 쪼개질 뻔했다. 참고로 성좌각은 아무리 작은 절이라도 하나씩 있게 마련인 산신, 칠성, 독성 등 민간 신앙을 포용하는 전각이다.
대웅전 처마가 드리운 그늘에 의지하여 반대편으로 빠져나가니까 은영이가 벌써 나무 그늘 밑에서 편안하게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그래, 너라도 살아야지.
이후로는 다행히 '단풍나무길'이라고 해서 그늘이 이어졌고, 그늘을 따라 걸으며 향적전, 관음전, 사명각, 응진전, 명부전을 차례로 구경했다.
관음전은 이름처럼 관음보살을 모신 전각이다. 길에서 조금 떨어져 있어서 그냥 지나치려 했는데 언뜻 보니까 관음보살이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어서 안 뵙고 갈 수 없었고, 다가가면서 보니, 아하, 관음보살에 조명이 들어와 있구나!
관음전 깊숙이 모신 관음보살에 조명을 비추고 있으니까 그 금빛이 또렷하고도 신비롭게 드러나서 나 같은 사람이 자기도 모르게 앞으로 나아가서 뵙도록 만드는 신령스러운 기운이 있었다. 관음전 앞에 있는 오유지족, 즉 '나는 오직 만족함을 알 뿐'이라는 물은 다소 작위적이라서 넘어간다.
관음전 옆에 있는 사명각은 사명대사를 모신 전각이다.
사명대사께서 어린 나이에 직지사에서 출가하셨고, 직지사 주지로도 계셨기에 특별히 모시는 것이다.
그리고 조금 더 가자 비로전 마당이었다.
마당이 제법 너르기도 너르고, 중앙에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聞慶 道川寺址 三層石塔)'이 있어서 그 위세가 대웅전에 버금갔다. 마당이 너른 만큼 뙤약볕 구간도 길어서 빠른 걸음으로 통과한 뒤 얼른 비로전 처마 밑으로 숨었고, 그곳에서 비로전에 모신 비로자나불을 비롯한 수많은 불상을 구경했다. 참고로 석가모니불을 모시면 대웅전이고, 비로자나불을 모시면 비로전이다.
동자승을 발견하면 아들을 낳는다고 해서 은영이랑 나는 철저하게 안 발견하려고 노력했다. 이 나이에 아들이든 딸이든 낳았다가는 조진다. 그리고 비로전을 떠나서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聞慶 道川寺址 三層石塔)'을 크게 돌며 명월당, 약사전, 황악루를 차례로 구경하고 대웅전 앞마당으로 돌아갔고,
바로 이어서 법고, 범종, 목어, 운판 등 불전사물을 모신 범종각을 구경하며 빠져나갔다.
참고로 법고는 땅에 발을 딛고 사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울리는 커다란 북으로 한쪽은 암소가죽, 다른 쪽은 수소가죽을 쓴다. 범종은 지옥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울리는 커다란 종이고, 목어는 수중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울리는 물고기 모양의 나무 불구고, 운판은 하늘을 나는 중생과 영혼을 제도하기 위해 울리는 구름 모양의 쇠판이다.
범종각을 지나자 제법 운치가 있는 마당과 함께 청풍료가 넓게 자리를 잡고 있었다.
청풍료는 성보박물관으로서 주변에 범종, 옛 수조, 석물 등 유물이 다수 전시되어 있었다. 안에 들어가지는 않았고, 뒷마당에 있는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傳 龜尾 江洛寺址 三層石塔)'도 아까 단풍나무길에서 구경한 것으로 갈음하고 지나쳤다.
청풍료를 벗어나자 개천과 함께 도피안교가 놓여 있었고,
도피안교를 건너 극락전에 들를까 하다가 포기하고 왼쪽으로 꺾어 개천을 따라 내려갔고,
오른편으로는 설법전과 산중다원을 지나치고, 왼편으로는 개천 너머 주향각과 안심료를 지나치다 보니,
발걸음이 자연스럽게 만덕전과 그 앞 너른 마당에 이르게 되었고,
무엇보다 그늘이 반가워서 만덕전 처마 밑으로 기어 들어가서 마당을 내려다보니,
법계도가 불볕더위에 꽂힌 전열기 바닥처럼 혀를 날름거리고 있었다.
'도전해 봐라, 당장 구워 줄 테니.'
아무리 따라 걷기만 해도 법성을 발견하고, 불성을 회복된다는 불계의 묘약 법계도이지만 이런 날씨에는 그저 전열기 바닥처럼 보일 뿐이었다. 들어서는 순간 누구든 굴비를 넘어 깡마른 오징어가 되어 나올 것 같아서 그냥 벗어나니 대양문 바깥이었다.
그렇게 일주문과 산문을 차례로 통과하여 직지사를 벗어나는 것으로 모든 유람을 마쳤다. 날이 너무 뜨거워서 사바세계든 불계든 그늘이 최고였다.
마지막으로 직지사는 구미 도리사와 함께 신라 시대 첫 사찰로 알려져 있고, 창건 연대가 418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하나 솔직히 믿거나 말거나인 것 같고, 이번 직지사 유람은 1989년 8월 6일에 삼부자팀이 자전거를 타고 가고, 1996년 6월 2일에 친구 놈 둘이랑 황악산 등산 겸 간 뒤로 세 번째 간 것이다. 2010년 5월 5일에는 '표 받는 곳' 앞에서 발길을 돌렸다. 지금으로 치면 산문 바로 안쪽에 해당한다.
https://blog.naver.com/dondogi/223138844213 : 김천 국립김천치유의숲 - 현대인에게 치유란 이런 것
https://blog.naver.com/dondogi/223139819199 : 김천 연화지 - 2023년에는 여행으로 돈 좀 벌어야겠다
*****
#직지사 #럭키세븐경북여행 #경북여행찬스 #김천여행 #황악산직지사 #김천직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