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관련주
12025.01.20
인플루언서 
라온제나주식독법
2,947투자 분석가
참여 콘텐츠 3
3
비철금속 관련주, 기후위기·자원무기화에 구리·알루미늄 등 수혜주는??

비철금속 관련주에 대한 이번 포스팅은 각종 언론사 기사를 참조했습니다. 기후변화, 원자재 공급에 문제! 기후변화로 인해 글로벌 원자재 공급 문제가 위험 수위에 오르고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구촌 곳곳에서 가뭄이 번지며 원자재 채굴에 필수인 물이 태부족 상태이고, 현장 노동자들은 무더워진 날씨 탓에 갈수록 작업에 애를 먹는 상황이라고 하죠. 이에 글로벌 컨설팅 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최근 '필수 원자재 리스크 현황'이란 보고서에서 "기업들은 리튬·구리·철·아연·알루미늄 등 여섯 가지 주요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데, 이들 원자재는 기후변화로 인해 생산 중단의 위험에 놓여있다"면서 "기업의 리더는 기후변화로 인해 생산 차질에 예상되는 주요 원자재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사전 조치를 취하라"고 했음. EU, 러시아산 알루미늄 수입 금지 추진 출처 - 로이터통신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러시아산 1차 알루미늄 수입을 금지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EU 위원회가 이날 EU 국가들과 비공식 회의를 열어 16번째 대(對) 러 패키지 세부 사항을 논의했다고 전했음. EU는 알루미늄 수요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요. 이 중 러시아에서 8 ~ 9%를 들여옵니다. 구리 등 다른 금속은 대체 공급원을 찾았으나, 1차 알루미늄은 여전히 러시아산에...

2025.01.20
3
구리 관련주, 미중갈등은 악재지만 장기로 보면 긍정??

구리 관련주에 대한 이번 포스팅은 각종 언론사 기사를 참조했습니다. 중국 업체, 美 '구리 스크랩' 수입 중단 ing 출처 - 로이터통신 <11월28일 기사, 중국의 구리 스크랩 수입 급감 분석 내용> 중국 국영 리서치업체인 '베이징 안타이커 정보 개발'이 중국 수입업체들을 설문 조사한 결과 지난달 중순부터 미국산 구리 스크랩 구매를 중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블룸버그통신이 3일 보도. 미국산 스크랩은 중국 업체들이 구리를 만들 때 원재료로 많이 쓰이는데, 지금 구매계약을 해도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하는 내년 1월 20일 이후에 화물이 도착하게 되고, 그때에는 중국의 보복관세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본 것입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이미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6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으며, 이는 중국의 보복 조치를 촉발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죠. 2일에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부품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새 조치를 발표하면서 양국 간 긴장은 고조되고 있는 상황.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에도 중국은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면서 미국산 구리 스크랩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습니다. 중국 비철금속산업협회에 따르면, 구리 스크랩은 지난해 중국 구리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원료였는데요. 올해 1~10월 중국 구리 스크랩 수입 물량의 약 5분의1이 미국에서 들어왔다고 합니다. 중국의 구리 제련소들...

2024.12.06
6
구리 관련주, 구리 가격이 반등하는 이유와 앞으로의 전망은???

구리 관련주에 대한 이번 포스팅은 각종 언론사 기사를 참조했습니다. 구리 가격 상승 출처 - 이투데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빅컷과 더불어 중국 정부가 적극적인 부양정책을 본격화하면서 산업용원자재인 구리 가격이 덩달아 상승 중입니다. 전문가들은 중국 부양정책 강도에 따라 추가적인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죠. 8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따르면 4일 기준 구리 톤당 가격은 9816.5달러로, 연초 8476달러 대비 15.81% 상승. 연초 상반기 말 9476.5달러 대비로는 3.59% 올랐습니다. 구리 가격은 5월 한 때 1만 달러를 돌파하는 등 고점을 보였으나 이후 하락세를 나타냈고요. 9월 들어 구리 가격이 반등한 이유는 미국 금리 인하와 더불어 중국이 9월 발표한 부양책 효과에 대한 기대감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구리 생산량 감소 출처 - 토큰포스트 두 중국 구리 제련업체가 내년 생산을 줄일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이는 광산 공급과 제련 능력 간의 불균형이 지속적으로 처리 마진을 감소시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7월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주 상하이에서 열린 중국 제련업체 분기 회의에서, 다예 비철금속 그룹 홀딩스(Daye Nonferrous Metale Group Holdings Co.)와 바오터우 화딩 구리 산업 개발(Baotou Houading Copper Industry Developm...

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