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채널 최신 피드 리스트

  • 한양대학교병원
    이미지 수7
    우리 아이 감기인줄 알았는데 폐렴, 열만 있는데 요로감염?? 소아 응급 감염질환

    감염질환으로 응급실을 찾는 경우는 다양한 감염 질환을 볼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열세 살 남자아이가 온몸에 발진이 나서 두드러기인줄 알고 왔는데 수두로 확인되어서 격리된 경우, 기침은 안 하고 열만 있는데 흉부엑스레이에서 폐렴이 확인된 경우,단체로 생굴을 먹고 설사, 발열로 내원하였는데 노로바이러스 장염이 확인된 경우 등등, 다양한 양상으로 응급실을 방문하는데요.오늘은 이러한 소아 응급 감염질환에 대해서 Hihy 건강저장소에서 알려드립니다! 김염질환 어떻게 치료하나요? 대부분의 바이러스 감염은 대증치료를 합니다. 하지만 수두나 독감은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세균성 감염은 항생제를 사용하는데요, 아무 항생제나 쓰는 게 아니라, 그 균에 효과가 있는 항생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런데 어떤 세균성 장염은 오히려 항생제를 쓰면 악화되는 경우가 있어서 항생제를 초기에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고, 균이 확인되기 전에는의심이 되는 질환을 겨냥하는 ‘경험적 항생제’라는 걸 사용합니다. 응급실에서 접하시는 ‘소아’ 감염질환의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소아의 경우에는 열 때문에 응급실을 가장 많이 찾습니다. 대부분의 열은 감염질환 때문인데요.아이가 기침하면서 열이 5일 이상 나는 경우, 열 난지 하루밖에 안 됐지만 쳐지는 경우, 그리고 숨쉬기 힘들어 하는 경우에는 단순 감기가 아닐 가...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블로그 하이하이 건강저장소
    ‘제12차 한양 류마톨로지 리뷰 코스’ 개최

    한양대학교류마티스병원(원장 김태환)은 오는 2월 13일부터 15일까지 신관 6층 세미나실에서 전문의, 전공의, 간호사, 연구원 등을 대상으로 ‘제12차 한양 류마톨로지 리뷰 코스(12th Hanyang Rheumatology Review Course, HRRC)’를 개최한다. 한양 류마톨로지 리뷰 코스는 한양대학교류마티스병원이 매년 개최하는 행사로 국내 류마티스 분야의 권위자들이 최신 연구 동향 등을 강연하는 자리다. 2월 13일 ‘Practical Rheumatology’ 코스에서는 안가영 교수(고려의대 류마티스내과)가 ‘Introduction to Rheumatology’, 남보라 교수(한양대류마티스병원 류마티스내과)가 ‘Physical Examination and Disease Activity Assessment for Rheumatic Diseases’, 최세림 교수(한양대류마티스병원 류마티스내과)가 ‘DAS 28: Joint Examination and Its Application’, 주영빈 교수(한양대구리병원 류마티스내과)가 ‘Glucocorticoid, csDMARDS, and Immunosuppressant for Rheumatic Diseases’, 남승완 교수(연세대 원주의대 류마티스내과)가 ‘Biologic Agents and JAK Inhibitors’, 이성원 교수(순천향의대 류마티스내과)가 ‘Reimburse...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블로그 하이하이 건강저장소
    이미지 수2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 구축사업 참여 안내

    안녕하십니까. 정부가 주관하는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참여 사전 신청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단 홈페이지 : https://www.biobigdata.kr/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단 비주얼 슬로건 미래 의료를 위한 건강 데이터, 국민과 함께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 은 인체유래물은행을 구축하는 국가 주도의 사업으로 구축된 인프라는 바이오산업 혁신을 위한 다양한 연구에 활용합니다 사업소개 바로가기 공지사항 사업공고 보도자료 행사안내 공지사항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단 BI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 포스터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 리플릿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 참여자 모집기관 대상 교육 자료(24.11.25)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 제2차 지정공모과제 RFP 설명회 자료집(24.8... www.biobigdata.kr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이란?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100만 명의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목표로 정부가 주관하는 사업입니다. 참여자 동의를 기반으로 검체와 임상정보, 공공기관 보유 데이터 등의 연계 정보를 수집합니다. 자격 일반 국민 참여자 : 만 19세 이상 공단 검진참여 시 누구나 참여 가능 절차 1. 모집기관 방문 - 참여자 모집기관(병원/검진센터)을 방문해 참여 의사를 전달합니다. * (중증/희귀) 임상의 판단...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블로그 하이하이 건강저장소
    이미지 수3
    루푸스 발병 전 자가항체 생성의 유전적 요인 및 면역 기전 규명

    루푸스 초기 자가면역 상태서 관여하는 면역 경로 발굴, 조기 진단 및 치료 가능성 제시 한양대 배상철 교수팀, 류마티스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게재 사진. 한양대학교류마티스병원 류마티스내과 배상철 석좌교수 자가면역질환인 전신홍반루푸스(이하 루푸스)의 발병 전 단계에서 형성되는 자가항체인 항핵항체(ANA)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면역 기전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루푸스의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루푸스와 연관된 유전 변이들이 루푸스 발병 전 단계에서 자가항체 형성과 면역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 같은 내용은 한양대학교의료원 류마티스내과 배상철 교수 연구팀(한양대구리병원 류마티스내과 방소영, 이혜순)과 경희대학교 김광우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류마티스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ARD, impact factor 20.3)에 최근 게재됐다. [논문 제목: Genetic burden of lupus increases the risk of transition from normal to preclinical autoimmune conditions via antinuclear antibody development]. 이번 연구는 한양대학교 류마티즘연구원과 한국연...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블로그 하이하이 건강저장소
    가슴 답답... 혹시 협십증? 혈관 노화 멋어나는 생활습관!

    https://youtu.be/OskgDPFkLIU 협심증! 완치가 아닌 '평생관리 질환'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관리해야할까요? 오늘 영상에서 협심증 관리방법을 알려드립니다. 00:24 협심증은 무엇이고 왜 생기나요? 01:42 협심증의 진단과 치료 02:46 심장건강을 지키는 방법? 03:42 협심증은 완치가 가능한가요? 04:47 협심증으로 인한 응급상황 발생 시 대처 방안 ☞ 의료진 바로가기 : https://vo.la/szUoLm 한양대학교병원 심장내과 임영효 교수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이미지 수8
    비수기 땐 싸서, 성수기 땐 성수기라서 해외여행! 여행지별 주의해야 할 감염질환은?

    당신의 건강을 책임집니다한양대학교병원건강크리에이터 비수기 땐 싸서, 성수기 땐 또 성수기라서, 저마다의 이유로 해외여행 많이들 가실 텐데요. 여행지별 특히 주의해야 할 감염질환이 있을까요?오늘 Hihy 건강저장소에서는 여행지별 주의해야 할 질환과 예방법,그리고 증상 발생 시 대처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  한국인들이 많이 여행 가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경우 말라리아, 장티푸스, A형간염, 파상풍, 폴리오, 조류 인플루엔자,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중동지역과 아프리카 지역의 경우 말라리아, 수인성 감염병(콜레라, 장티푸스), A형간염, 파상풍, 폴리오와 함께 수막구균성 뇌수막염, 황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중동지역은 중동호흡기증후군, 아프리카 지역은 에볼라출혈열에 대한 추가적인 주의가 필요합니다.중남미의 경우에는 말라리아, 장티푸스, A형간염, 파상풍과 함께 황열, 뎅기열, 치쿤구니아,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북미의 경우에는 장티푸스, 파상풍 정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사망률이 높은 치명적인 질환이며 여행지 입국에 필요한 백신으로는 황열, 수막알균이 있습니다. 해당 질환에 대해서는 입국 시 접종증명서가 요구되기도 합니다.A형 간염, 장티푸스, 콜레라, 공수병, 인플루엔자(여름에 남반구를 여행하는 고위험군)의 경우 여행지에서의 감염 위험이 국내보다 더 높아 접종이 권고되는 백신...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05:53
    가슴 답답... 혹시 협심증? 혈관 노화 벗어나는 생활습관!
    조회수 102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블로그 하이하이 건강저장소
    몸을 밀어 넣어 길을 내고야 마는 사람이 있다

    https://youtu.be/HBfYhVih2XQ 곽진영 한양대 외과학교실 명예교수(前 한양대학교병원장)는 국내 최초 뇌사자 신장이식 성공, 국내 최초 투석센터 개소 등 오랜 세월에 걸쳐 이식외과에서 독보적인 연구와 임상적 성과를 이루며, 이식 성공률을 크게 높이는 데 기여해 왔습니다. 그의 연구는 첨단 기술을 접목한 성과를 넘어 환자에게 새로운 생명을 선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위와 같은 공로로 곽진영 명예교수는 작년 11월 15일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개최된 국제학술대회 ’Asian Transplantation Week(ATW) 2024’에서 이식외과 분야의 최고 영예인 ‘Living Legend’로 선정되는 영광을 안았습니다. 미답지에 길을 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빽빽한 수풀에 몸을 밀어넣어 상처와 고통으로 넓힌 길은 기어코 대로가 되고야 맙니다. 뒤따르는 사람은 그 '첫 사람'을 궁금해하지 않더라도, 환자를 살렸으니 되었다고 기쁘게 잊히는 사람. 곽진영 명예교수의 노고와 헌신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한양대학교병원 바로가기 https://seoul.hyumc.com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블로그 하이하이 건강저장소
    아기를 낳고 찾아오지 않았던 어머니의 안타까운 사연.. 포기하지 마세요, 우리도 포기 안 했잖아요 (신생아중환자실 이현주 교수)

    https://youtu.be/9cN6bz3lZq4 미숙아(이른둥이)와 선천적인 문제를 가지고 태어나는 아기들을 보살피고 치료하는 신생아중환자실. '그저 남들처럼만'이라는 소망이 사치는 아닌지 많은 부모님이 스스로에게 되묻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래서일까요, 뇌 손상을 우려해 아기를 포기해버리는 안타까운 경우도 있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우리에게는 답이 있다, 포기하지 말아달라' 말하는 소아청소년과 이현주 교수님(신생아중환자실장). 이번 영상에는 이현주 교수님이 간절히 전하는 희망과 위로의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 의료진 바로가기 : 소아청소년과 이현주 교수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블로그 하이하이 건강저장소
    ‘2025년 전반기 정년퇴임식’ 개최

    사진. 한양대학교병원 2025년 전반기 정년퇴임식 한양대학교병원(병원장 이형중)은 지난 1월 24일 신관 6층 세미나실에서 ‘2025년 전반기 정년퇴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한양대학교 윤호주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한양대학교병원 이형중 병원장, 이항락 부원장 등 병원 주요 보직자와 교직원 130여 명이 참석해 정년퇴임자들의 헌신과 노고를 기리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윤호주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은 격려사에서 “오랜 시간 맡은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며 환자들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온 정년퇴임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한양대학교병원에 변함없는 관심과 애정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이형중 병원장은 “항상 병원의 발전과 성장의 중심에서 헌신해온 여러분의 퇴임을 맞이하게 되어 아쉬움이 크다”며 “새로운 길에서도 그간 쌓은 경험과 지혜가 큰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병원 봉직 기간의 공로를 인정해 17명의 퇴임자 모두에게 공로패가 수여됐다. * 2025년 전반기 퇴직자 명단 : 마취통증의학과 김동원 교수, 내분비대사내과 김동선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김석현 교수, 간호국 강영의 부장, 간호국 윤인숙 부장, 류마행정지원팀 강오열 부장, 사회복지팀 성명순 과장, 원무팀 안창선 과장, 원무팀 박찬호 과장, 진료협력팀 이미정 계장, 의무기록팀 김미자 계장, 물류팀 김...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07:07
    몸을 밀어 넣어 길을 내고야 마는 사람이 있다
    조회수 138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이미지 수6
    두경부의 결손을 메워 주는 수술, 두경부 재건

    구강암, 후두암이라고 알려져 있죠? 호흡기부터 식도까지의 점막 부분에서 암이 생겼을 때 그 암을 떼어내고 빈 부분을 그대로 두면 어떻게 될까요? 구강에서는 끊임없이 침이 만들어지는데 이 소화액이 목에 있는 큰 혈관이나 다른 장기들을 녹여버리게 되면 사람이 살 수 없겠죠. 그래서 이를 덮어주는 수술인 두경부 재건 수술을 하게 됩니다. 오늘은 이러한 두경부 재건 수술에 대해서 Hihy 건강저장소에서 알려드립니다. 두경부 재건, 무슨 뜻인가요? 일단 재건 수술부터 이야기해 볼게요. 쉽게 말해서 몸에 빈 부분이 생겼을 때 그 부분을 채워주는 수술입니다. 두경부 재건은 그중에서도 두경부, 즉 목 위부터 머리까지 어딘가에 결손, 빈 부분이 생겼을 때 그 부분을 메워 주는 수술입니다.빈 부분이 피부가 될 수도, 지방층, 근육층, 뼈가 될 수도 있고 간혹 신경을 재건하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에 두경부 재건술을 필요로 하나요? 제일 많은 것은 암 수술입니다. 흔히 후두암이라고 알려져 있는 구강암  같은 경우 호흡기부터 식도까지의 점막 부분에서 암이 생겼을 때 암을 떼어내고 빈 부분을 그대로 둔 구강에서는 끊임없이 침이 만들어지는데 침이라는 게 결국 소화액이라서소화액이 목에 있는 큰 혈관이나 다른 장기들을 녹여버리게 되면 사람이 살 수 없겠죠. 그래서 그 빈 점막 부분부터 뼈까지를 두꺼운 피부를 이용해서 덮어주는 수술을 하게 됩니다. 결손부는 어떻게 ...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이미지 수6
    고도비만, 질병으로서의 인식과 치료의 필요성

    인류는 오랜 세월 동안 식량 부족과 풍요를 반복하며 진화해왔습니다. 과거에는 식량이 풍부할 때 가능한 한 많이 섭취하고, 부족할 때는 이를 견디는 방식으로 생존했습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이는 결국 비만이라는 질병으로 이어졌습니다. 오늘 Hihy 건강저장소에서 고도비만의 질병으로서의 인식과 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고도비만 심각한 문제인가요?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만 19세 이상의 성인 중 37%가 비만이며, 남성의 경우 두 명 중 한 명이 비만입니다. 비만은 단순한 생활습관 문제가 아니라 심각한 사회적·경제적 부담을 초래하는 질병입니다.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은 개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의료 시스템에도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체질량지수(BMI) 30kg/㎡ 이상의 고도비만 환자는 115만 명에 달하며, 그중 초고도비만 환자는 약 3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이 숫자는 같은 해 발생한 25만 명의 암 환자보다도 많아, 고도비만이 얼마나 심각한 사회적 문제인지를 보여줍니다. 비만과 고도비만, 치료 방법은 똑같다? 비만은 단순히 체중 증가의 문제가 아닙니다.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대사질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합병증은 비만 자체보다 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체...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이미지 수6
    어깨부터 팔, 손까지 저릿 저릿~목디스크?

    목디스크는 경추간반 탈출증을 말하는 것으로서 척추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추간판이 양쪽 어깨나 팔, 손으로 가는 신경을 눌러 통증, 이상 감각, 마비 등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추간판이나 뼈(골극: 경추의 퇴행성 변화로 경추의 일부가 납작해진 후 끝이 가시처럼 돋아난 부분)에 의한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보통 경추 5-6번과 6-7번 사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다른 부위에도 올 수 있습니다.오늘은 이러한 목디스크에 대해서 Hihy 건강저장소에서 자세하게 알아봅니다!  목디스크의 증상은 뭘까요? 뒷목이나 때로는 뒷머리, 날개뼈(견갑골) 내측의 흉배부 통증과 함께 팔의 저림이나 뻐근함, 이상한 감각과 때로는 팔의 마비가 나타난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에 목디스크를 의심해 볼 수 있다.- 뒷목과 어깨, 팔, 손에 통증이 있다.- 어깨와 팔, 손가락에 저린 감이 있으면서, 힘이 약해졌다.- 고개를 앞으로 숙이거나 뒤로 젖힐 때에 등줄기를 따라 전류가 흐르듯 찌릿찌릿하다.- 머리를 젖힌 후 고개를  돌리면 팔의 통증이 악화된다.- 팔을 머리 위로 올리면 통증이 감소한다.  목디스크의 원인은 뭘까요? 원인에 대해서는 확실히 밝혀진 바가 없지만 일반적으로 유전적 성향과 함께 잘못된 생활습관이나 특정 직업에서의 나타나는 자세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장시간 고개를 숙이는 경우(치과의사 또는 이비인후과 의사)-장...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블로그 하이하이 건강저장소
    설 연휴 임시공휴일(1월 27일) 정상 진료 안내

    설 연휴, 한양대학교병원은 1월 27일 월요일 임시공휴일에도 정상 진료함을 알려드립니다!🏥 ※ 연휴 기간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정상 운영합니다. During the Lunar New Year holiday, we would like to inform you that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will continue its operations as usual on Monday, January 27th! 🏥 ※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will remain open throughout the holiday period. #설연휴병원 #설에문여는병원 #설연휴병원 #성동구병원 #한양대병원 #LunarNewYearHospital #SeoulHospital https://seoul.hyumc.com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07:51
    포기하지 마세요, 우리도 포기 안 했잖아요 : 아기를 낳고 찾아오지 않았던 어머니의 안타까운 사연
    조회수 769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07:15
    감염병 대응팀 출동 브이로그 (아니고 모의훈련)
    조회수 187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이미지 수7
    왜 이렇게 속 쓰리고 소화가 안되지? 위염 자주 걸린다면, 그냥 지나치지 마세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통계자료를 보면, 2013년부터 2020년까지 내시경 결과에서 전체 환자의 88.4%가 위염 판정을 받았습니다. 즉 40세 이상 한국 남녀 10명 중 8~9명은 위염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위염은 친숙한 단어이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는 분들도 있을 것 같은데요.오늘은 위염에 대해  Hihy 건강저장소에서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 위염이란 무엇인가요? 위염은 병리학적, 내시경적 정의가 다소 다르며,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 인지되고 있는 개념과의 괴리도 있습니다. 병리학적으로 위염은 위 점막에 염증 세포의 침윤이 있는 상태로 정의되며, 내시경적 위염은 내시경상 위점막에 점막 결손 및 염증이 관찰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환자들은 속이 쓰리거나 소화불량 등의 상부위장관 증상이 생겼을 때 위염이 있다고 표현을 합니다.   내시경에서 위염이 확인된다면 어떻게 치료하나요? 앞서 말씀드린 대로 위염은 매우 흔하며, 증상과 연관성이 없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따라서 내시경상 우연히 발견된 위염이 모두 치료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약제나 스트레스 등으로 유발된 급성위염, 혹은 출혈이나 속 쓰림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심한 염증이 관찰되는 경우는 치료를 고려하게 됩니다.   위염의 원인 중 하나로 헬리코박터균이 있다고 들었어요. 이건 뭔가요? 헬리코박터균은 1983년에 처음 발견된 위에 서식...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블로그 하이하이 건강저장소
    이미지 수2
    ‘환자경험 비전 선포식’ 개최

    사진1. 한양대학교병원 환자경험 비전 선포식 사진2. 선서 중인 나재윤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김민영 통원치료센터 계장 한양대학교병원(원장 이형중)은 지난 1월 20일 본관 3층 강당에서 ‘환자경험 비전 선포식’을 개최하며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한 새로운 비전을 선포했다. 이번 비전 선포식은 ▲사랑의 실천으로 환자경험 향상 실천 ▲환자 존중과 배려 ▲환자 결정과 참여를 존중하는 병원 문화 조성의 등의 목표로 구성됐다. 행사에는 이형중 병원장, 이항락 부원장, 김희진 기획조정실장, 이원무 고객서비스혁신센터장, 권오균 경영지원실장, 국은영 간호국장 등 주요 보직자와 많은 교직원이 참석했다. 이형중 병원장은 기념사에서 “진정한 치료는 환자의 마음을 이해하고 경청하는 데에서부터 시작된다”며 “사랑의 실천이라는 본원 설립 이념을 바탕으로 환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모든 이에게 따뜻한 경험을 선사하는 병원이 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개선하고 혁신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고객 칭찬 카드를 가장 많이 받은 나재윤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김민영 통원치료센터 계장이 교직원 대표로 나서 ‘환자경험 향상 실천사항’을 선서하며 환자 중심 의료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실천사항은 ▲환자를 존중하고 예의를 갖춰 대한다 ▲환자의 이야기를 주의깊게 듣는다 ▲환자를 위로하고 공감한다 등의 내용으로 구성됐다. 한편, 행사 이후에는 참석자를 대상으...

    상세 화면으로 이동
  • 한양대학교병원 블로그 하이하이 건강저장소
    밤에 열 나고 처지는 아이, 응급실? 다음날 소아과?

    https://youtu.be/u0-BP5Mvg88 밤에 열 나고 처지는 우리 아이, 바로 응급실로 가야할지, 다음날 소아과로 가야할지 망설여지신다면 오 늘 영상을 주목해주세요! 00:20 감염질환으로 응급실을 찾는 경우는? 00:50 응급실을 찾는 '소아' 감염질환? 02:12 요로감염이 소아에게 더 치명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03:13 응급실을 찾아야 하는 감염질환의 증상? 04:19 소아 감염질환 예방을 위해 꼭 알아야 할 것이 있을까요? 05:04 HYID 팀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의료진 바로가기 : https://vo.la/Wzrkkd 응급의학과 김진수 교수 응급의학과 김진수 교수 응급의학과 김진수 소아응급질환, 소아감염질환, 소아호흡기질환, 소아알레르기질환, 소아소화기질환, 불명열 vo.la

    상세 화면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