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개정교육과정이 시작되면서, 과목명이 익숙하지가 않죠. 아직까지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만 수업을 진행하다 보니, 국영수 앞에는 공통을 붙이고 사회와 과학 앞에는 통합을 붙이면 되어 그나마 살만 합니다. 그런데 등급, 선이수과목까지 생각하면 머리가 아픕니다. 그런데 부산광역시 교육청 고교학점제 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잊지말라고 깔끔히 정리해 주었습니다. https://home.pen.go.kr/hscredit/cm/cntnts/cntntsView.do?mi=17411&cntntsId=3729#none 고교학점제 지원센터 고교학점제 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ome.pen.go.kr 내용 유튜브로 우선 정리해 봅니다. https://youtu.be/B3P3LHpV-0Q 하나, 교과(군)별 과목 안내 교과별로 어떤 과목들이 있었는가? 융합과목은 무엇이 있는가? 궁금한 부분들을 정리해 드립니다. 그런데 각 과목별 궁금한 부분이 있지 않나요? 이런 부분은 과목명 클릭 클릭! 특히 각 과목이 어떠한 진로에 적합한지도 확인시켜 줍니다. 그런데 성취도 5단계, 석차등급 o 표시가 또 인상적입니다. 그렇죠. 어떤 과목이 5등급 석차표기가 안되었죠? 둘, 과목별 성적처리 방식 그렇죠. 융합중에서는 사회와 과학만 5등급 반영이 되지 않아요. 그리고 과학탐구실험은 공통과목이지만 3단계 성취도평가만 진행하고 등급이 없습니다. 그리고 ...
학교생활기록부에서 수행평가는 분명 현재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런데 고교학점제와 2022개정교육과정이 운영되는 이 시기, 이는 더욱 중요한 키워드가 됩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MI고입컨설팅센터 온라인 설명회에서 2월 18일 화요일 더 소개드리겠습니다. 예비고1이 준비해야할 교과 비교과 준비와 더하여 마음가짐을 탄탄히 하는 시간 되세요 "어서와 고등학교는 처임이지!" 고등학교 입학 전 마지막 점검!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차이! 학생과 학부모님은 각각 어떤 준비를 하고 있나요? (1)중학교vs고등학교 (2) 효과적인 1학년 1학기 고등학교 준비법 (3) 학생과 학부모의 눈높이를 만드는 기준 정하기! 일시 : 2월 18일 화요일 저녁 8시30분 대상 : 예비고1 학생 및 학부모님 강사 : 최영득센터장 신청 URL :https://miconsulting.myunginedu.co.kr/branch/brief_detail.php?a_serial=3429&on_off=%EC%98%A8%EB%9D%BC%EC%9D%B8 MI고입컨설팅캠퍼스 설명회 상세 설명회 BRIEFING 온라인 설명회 오프라인 설명회 MI고입컨설팅캠퍼스 [온라인 설명회] 예비고1을 위한 교과/비교과 준비법 “어서와 고등학교는 처음이지” 일시 : 2월 18일 장소 : MI고입컨설팅센터 설명회 진행여부 : 진행중 [MI고입컨설팅센터 두번째 온라인 설명회] 예비고1을 위한 교과/비교과 준...
2025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변경사항 두번째 내용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세특 기재 및 정정이 학기당 한 번으로 변경되었음을 '소개'라기 보다 '확인' 시켜 드렸습니다. https://m.blog.naver.com/id40704/223757169332 예비고1은 이제 학기마다 학생부를 정정합니다. 2025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 고등학교 1학년 변경사항. 고교학점제와 2022개정교육과정의 취지에 맞게 항목이 변경됩니다. 드디어 2025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이 올라왔습니다. 참 바뀐 오묘한 부분이 많은데요. 하나씩 업... m.blog.naver.com 이번에는 그동안 훈령 등으로 변경되어 정확히 표로 정리되지 않았던 공동교육과정과 소인수과목에 대한 정리입니다. 공동교육과정과 온라인학교에서 개설한 이수 과목의 석차등급에는 ‘·’을 입력하며, 비고란에는 각각 ‘공동교육과정’, ‘온라인학교’로 표시됩니다. 공동교육과정의 성적처리 방식은 거점학교에서 해당 과목을 수강한 모든 학생을 ‘수강자 수’로 하여 성적을 산출하게 됩니다. 하지만 성취도만 기재될 뿐 석차등급을 산출하지는 않습니다. 소인수과목은 5인 이하의 경우 등급을 산출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그런데 정책에 따라 5등급을 산출할 수도 있나봅니다. 하지만 아래 조견표를 보면 4명까지는 1등급이 '0'명이라 아마도 기재를 하지 않겠네요. 그런데 5...
어떻게 고입 자소서를 채울 것인가? 수행평가는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진로의 장점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동아리 생활의 강점은 무엇으로 보여줄 것인가? 사실 이 모든 궁금증은 어떻게 "과제탐구를 할 것인가?"로 모여집니다. 앞으로 이러한 역량은 고교학점제와 2022개정교육과정의 수업방법에서 더욱 강조될 것이고요. 아래 영상과 함께 설명회를 소개 합니다. (1) 과제탐구가 무엇인데? 수행평가, 비교과, 대회 등 [일거영득 과제탐구 최영득] https://youtu.be/S1TYhiZCi0w?si=g49pFItAbl9i5dUW (2) 과제탐구 왜 해야 하는데? (면접, 학생부, 자소서의 핵심이 되니까!) [일거영득 과제탐구 최영득] https://youtu.be/jmdIwKj2x30?si=XrlrWhV6fSBWGFF6 (3) 과제탐구 어떻게 주제를 고르는데? 진로중심 혹은 공동체의 흐름을 깨지 않기! [일거영득 과제탐구 최영득] https://youtu.be/UzR4P_v34Tc?si=6T-GT8Gh_X2mdW8I 온라인 설명회 안내!!
드디어 2025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이 올라왔습니다. 참 바뀐 오묘한 부분이 많은데요. 하나씩 업로드하며 내용을 설명드리겠습니다. https://star.moe.go.kr/web/contents/m10302.do 학교생활기록부 종합 지원포털 학교생활기록부 관련 부정행위 신고 및 민원 상담, 기재 도움 자료, 법령·정책 정보 등 학교생활기록부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학교와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입니다. star.moe.go.kr 오늘은 먼저 자료의 정정 파트의 내용입니다. 한마디로 교과세특이 두 배로 늘어납니다. 지금까지 진행된 대부분의 교과목은 1년 두 학기 기준으로 수업이 운영되었습니다. 그래서 1년에 500자 분량으로 12월 말부터 2월까지 작성 및 정정이 되었습니다. (물론 한학기 단위로 운영된 수업의 경우 1학기 500자가 그동안에도 진행되었습니다.) 그런데 2022개정교육과정의 모든 교과목은 1학기에 한 교과목을 끝내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변화는 그동안 고교학점제를 소개하는 모든 자료에서 소개되어 당연시되었지만 ‘2025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에서 다시 한 번 명시되어 고등학교 1 학년의 경우 학기별로 한 번 수정의 기회가 생겨남을 보여줍니다. 꾸준히 말씀드린 수행평가가 더더욱 중요해지는 이유입니다. https://youtu.be/lVmnVsfXm8M?si=5zYLj-eNKMC3RV...
한국과학영재학교 장영실전형과 일반전형 일정이 안내되었습니다. 장영실전형 일정 덕분에 다른 영재학교보다 훨씬 이른 시기 일정을 발표하는군요. 물론 아래처럼 아직 전형요강은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2025학년도 그대로네요. 설명회는 4곳에서 진행되는데요. 신청일이 오늘입니다! 지난 3년갘 장영실전형을 학생들과 함께하며 꾸준한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는데요. 매년 전형이 나오고 진행되는 모든과정이 참 버라이어티한 과정입니다. 함께 준비할 학생들은 창 아래 톡톡으로 신청해 주세요. 궁금할 땐 네이버 톡톡하세요! https://youtu.be/arrQYmMqI5c?si=9lW9RKJk7ujsd0mr https://youtu.be/ratuQAn6d8c?si=LQbpebLgkIg_Lqgb https://youtu.be/wgVwiNoNPNU?si=nKGl6sqIhTi_80Q8 Ⅰ. 일정 및 사전등록 신청 접속 주소 1. 부산 2/15(토) 14:00 KSA 본관 2층 대강당 https://forms.gle/BMkrcwJS8DS9fs3n7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설명회(부산) * 사전 예약이 되지 않은 분은 입장이 불가합니다. * 선착순 참가대상자에게 참가 확인 문자를 발송 예정이므로, 반드시 본인 휴대폰 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하시길 바랍니다. * 행사 당일 참석 확인 문자 확인 후 입장 가능합니다. * 여러 명이 참가하시는 경우, 각자 신청서...
학생부를 채워야 한다면 대부분 "수행평가가 중요하죠!"라고 1차적으로 입을 모읍니다. 그런데 수행평가는 교과세특의 한 분야입니다. 실제 학교생활기록부 종합전형을 준비하려면 아래처럼 교과세특 뿐 아니라, 정규동아리, 자율활동, 진로활동 등 채워야 할 요소가 많습니다. 하지만 모두 1:1로 같은 중요도를 갖는다고 하기에는 수행평가가 적히는 교과 세특은 분량이나 활용범위가 나머지보다 훨씬 넓습니다. 먼저 2015개정교육과정의 현 고2보다 고교학점제의 고1은 학기별로 세특이 기록되어 약 2배가 되는 분량의 세특을 가지게 됩니다. 해당 내용은 영상에서 더 자세히 확인해 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lVmnVsfXm8M 그리고 이제 교과세특은 학생부종합전형을 넘어 학생부교과전형, 그리고 아래처럼 수능에까지 반영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교과 내신만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교과학습발달상황의 교과 이수 현황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세특)까지 반영된다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또한 학교생활기록부의 기재 방법도 변경되는데요. 해당 내용은 아래 유튜브를 클릭바랍니다. 중요한 만큼 깊은 평가를 하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bl56p1Gh2Mc&list=PLx66A7edGySPx5WZ5aE4ql1xdh7_ILAXn&index=4 수행평가라는 것은 과제탐구를 할 수 있는 역량...
어젯밤 온라인 설명회가 진행되었는데요. 시간 관계상 설명을 드릴 수 뿐이 없던 내용들 자료 패키지로 보내드립니다. 과목 선택부터 학생부 사례까지 확인할 수 있는 자료들입니다. 결국 학생부를 잘 채울 수 있는 방법은 학교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진로에 가장 적합한 것들을 스스로 선택하고 충분히 활용하는 것입니다. 하나, 일반고등학교에서의 수업선택 사례! 세종시 차이나는 클라쓰 https://blog.naver.com/id40704/223745390281?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일반고등학교가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살아남는 법! 이것이 차이나는 클라쓰란다. (2025세종교과중점학교안내서) 교육과정편제의 한계로 일반고가 자사고의 교육과정을 따라간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입니다. 하지만 방법이... blog.naver.com 해당 내용은 아래 유튜브에 내용이 더 구체적으로 담겨있습니다. https://youtu.be/_adF_wMGBNI 둘, 어떤 교과가 나에게 적합한 교과일까? 경기도교육청 2022개정교육과정 (고교학점제) 과목선택 안내서 https://blog.naver.com/id40704/223707731509 2022개정 교육과정_고등학교 과목선택 안내자료(경기도교육청) 2022개정교육과정을 읽어보면서 수학상이 공통수학1 으로 이동 정도의 간단한 연계는 눈에 들어오지만 어색... blog.nave...
고등학생들과 컨설팅을 진행하고, 연간컨설팅을 하면서 매달 학생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끔 이런 질문을 합니다. 어떤 컨설팅은 학생 대신에 수행평가를 모두 대필해 주던데요? 의대나 서울대의 학과 합격 자소서가 있어서 주제가 준비되어 있다고 하던데요? 컨설턴트는 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를 대신 채워준다? 학교생활기록부는 학생이 스스로 3년 간 성장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적어나가야 합니다. 자신의 생각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당위성과 연계성을 가져야 하겠죠. 컨설턴트란 그런 호기심에 길을 열 수 있는 자료를 함께 찾아보고, 같이 고민하는 역할을 하며 풍부한 학생부가 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아래는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을 통한 학생부의 비교과 영역 반영항목과 미반영항목을 소개 합니다. 둘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출처 :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7886)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책을 제공하는 포털사이트로 정책뉴스, 정책포커스, 국민이말하는정책, 정책기고, 문화칼럼, 사실은이렇습니다, 멀티미디어뉴스, 보도자료, 브리핑자료, 연설문, 채용정보 등을 서비스합니다. www.korea.kr 바로 아래와 같습니다. 2019년 11월에 발표한 「대입 공정성 강화방안」에서는 학생 개인의 능력이나 성취가 아닌 부모배경, 사...
교육과정편제의 한계로 일반고가 자사고의 교육과정을 따라간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입니다. 하지만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특목고처럼 전 계열의 장점을 보이지 않고 특별한 일부 계열만 집중한다면, 어느 정도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어느 정도"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준비는 충분히 할 수 있지만, 학생이 이수단위에는 그래도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교육부가 있는 세종시는 "교과중점학교"체제를 강화합니다. 아래 사례처럼 각 학교가 각자의 과정을 가지고 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희망 학생들은 해당 과정이 있는 학교로 진학하는 것입니다. 아래처럼 학교내에는 충분한 중점과정 수업이 있습니다. 세종시 "아름고등학교" 내용을 가져와 보았습니다. 2022개정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잘 정리된 자료네요. 단지, 교육과정 편제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인공지능학과를 지원한다면 어떠한 비교과 과정을 진행해야 할지 사례도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에 담아봅니다. https://youtu.be/_adF_wMGBNI 세종시의 자료는 아래 URL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https://xn--2j1bv4q0wi.com/book/136/2025%EC%84%B8%EC%A2%85%EA%B5%90%EA%B3%BC%EC%A4%91%EC%A0%90%ED%95%99%EA%B5%90%EC%95%88%EB%82%B4%EC%84%9C(%EC%B0%A8%EC%9D%B...
2022개정교육과정으로 변경된 대학의 교과선택 안내가 아직 안내가 되고 있지 않은데요. 앞으로 하나씩 나오는대로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8대입제도 개편에 따른 대입전형자료 변경사항을 보면 과목 선택 및 준비가 더 중요해지니까요. https://youtu.be/bl56p1Gh2Mc 언제나 함께 돕고 준비하는 컨설팅하겠습니다. 궁금할 땐 네이버 톡톡하세요! 자료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링크 : https://use.go.kr/uscredit/user/bbs/BD_selectBbs.do?q_rowPerPage=10&q_currPage=1&q_sortName=&q_sortOrder=&q_bbsSn=1137&q_bbsDocNo=20240722101005714&q_searchKeyTy=&q_searchVal=& 아래와 같이 계열별 소개가 되어있는데요. 아직은 학과별로 디테일하지 않아 선택범위가 너무 넓네요. 그리고 7대 중계열 중 교육계열이 보이지 않네요. ""^ 경기도 교육청에서는 과목명 기준으로 조금 더 디테일하게 과목을 설명하고 있는데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https://blog.naver.com/id40704/223707731509?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2022개정 교육과정_고등학교 과목선택 안내자료(경기도교육청) 2022개정교육과정을 읽어보면서 수학상이 ...
고등학교 내신 평가 전 과목 절대평가 시행 수능 5등급제 절대평가 및 논서술형 평가 수시와 정시 통합 운영 놀라운 타이틀입니다. 그런데 앞으로 교육부가 진행할 것이라는 선언은 아니고요. 현재는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의 개혁 의지입니다. 영상과 함께 아래 내용 확인해 보세요! 고교학점제를 위한 2022개정교육과정을 위한 강력한 2028대입의 변화를 계획합니다. https://youtu.be/nbAM9p4Pr9c 하나, 고교내신평가 변화 a. 5단계 절대평가 도입 b. 학생부 체크리스트 방식 개선 및 학생역량중심 디지털 성장 기록표제공 c. 서논술형 평가 확대 먼저 고교내신 평가의 성취평가제는 외고, 국제고, 자사고의 존치 후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난번에 소개한 2028대입제도 개편에 따른 대입전형자료 변경사항처럼 과정중심수행평가가 본격화하려면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의 평가체제 전환이 필요합니다. 아니면 평가를 하는 선생님들의 부담이 상당하겠죠. 학교생활기록부의 체크리스트 방식 개선은 새로운 아이디어입니다. 컨설턴트가 설자리는 줄어들겠죠. 하지만 이는 매우 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일자리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교육이 중요하니까요. 학생의 역량 중심 체크리스트는 정성평가의 신뢰도를 높여주는 괜찮은 방향이자, 학교 간 학생부 기재 격차를 줄여주는 제도라 생각하며 실효성을 연구해보면 좋겠습니다. 둘, 대학수학능력시험 변화 ...
정말 오랫만에 바쁘신 괜찮은 뉴스 조창훈대표님을 만나 강연을 듣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교육은 다양한 논쟁거리가 나와야 좋은 방향을 찾을 수 있어! 고교학점제와 어울리지 않는 5등급제와 수능 형식, 이제 완벽한 고교학점제로의 전환 혹은 다시 명확한 정량평가의 입시로 전환되는 변화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다양한 아이디어와 논쟁이 함께 어우러져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2025학년도 의대 증원을 하면서 최소 2026년도에 원래 인원보다 감축할 것이란 예상을 한 사람은 많지 않았으니까요. 그런데 지금의 뉴스들을 보면 우선 고교학점제와 2022개정교육과정의 취지를 강조하기위한 돌진이 느껴집니다. 고교학점제의 핵심은 '성취평가제'와 '책임교육'과 같은 방향이었으니까요. 작년말 당선된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님의 인터뷰내용입니다. “고등학교는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탐구하며 성장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의 입시 경쟁으로 고교 교육의 본래 역할과 가치가 훼손되고 있습니다. 이제 초·중·고 교육이 대학 입시에 종속되지 않고 본연의 가치를 실현하도록 바뀌어야 합니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최근 서울시교육청 본청에서 진행한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고등학교가 더 이상 입시를 준비하는 곳으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과거 교육청 차원에서 대학 입시 제도에 대해 충분히 목소리를 내지 못한 면이 있지만...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과목은 대학에 제공되나요? 지난 주 소개한 2022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톺아보기 (교육부) 자료 속 질문입니다. https://blog.naver.com/id40704/223713916236 2022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톺아보기 (교육부) 2022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 운영 톺아보기 (교육부) 는 고등학교에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어떻게 ... blog.naver.com 그리고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말로 어렵습니다. "대입 연계 강화의 조치로 고교 재학당시 학교에서 편성한 과목을 대학에 제공합니다." 참 애매한 표현입니다. 정확히는 어렵습니다. 연계강화? 이는 교육과정을 보여줄 필요가 없이 지원자가 고등학교에서 이수한 과목만 보여줘도 되지 않을까요? 여기서 이런 느낌을 받게 됩니다. 하나, 학생이 어떠한 과목을 여러 과목 중에서 선택하여 들은 학생인지 확인하겠다. (계열적합도) 둘, 어느 정도 수준의 수업 가운데 해당 난이도의 수업을 들었는지 보고 싶다. (심화역량, 자기주도성) 사실 이런 정도면 좋겠지만 아시는 것처럼, 교육과정 편제를 본다면 고등학교 유형은 또 당연히 보여집니다. 작년에 안내드렸던 내용입니다. 고교학점제로 인하여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유지되어 왔던 조항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CuXAhEbqgw 유튜브까지 ...
고교학점제의 대입, 시작은 고등학교 진학 전에 진행됩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진로와 전공입니다. 물론 컨설팅을 함께하면 진로와 전공외에도 진학학교 목표 및 학습계획까지 잡아나가죠. 교육부에서 제작한 고교학점제 운영안내서는 특히 예비고1이 중요한 이유를 소개합니다. 하나, 상반기 과목 선택 수요조사가 진행됩니다. #고교학점제 이전에는 선택과목이 매우 적었기 때문에 사실 9월 최종 선택시에만 잘 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고교학점제, #2022개정교육과정 은 다양한 과목이 수요에 따라 운영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물론 나 혼자 듣자고 열리진 않겠지만, (그래서 진로에 적합한 학교로 진학을~) 그래도 목표를 잡고 과목을 선택해보아야겠죠. 둘, 진로집중형 학교 자율적 교육과정이 주로 1학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준비가 되지 않은 이시기 준비를 위한 과정이지만, 준비됨을 보여줘야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역설같은 상황입니다. 셋, 과정중심 평가는 천천히 진행되는 것이 아닙니다. 수행평가, 발표, 자신의 전공적합도를 보여줄 수 있는 순간은 항상 존재합니다. 1학년 1학기 첫, 중간고사보다 빠르게요. 자료출처 고교학점제 운영안내서 : http://www.hscredit.kr/data/allDataDetail.do?ctgr_cd=GD&seq=7778&pageNo=1 궁금할 땐 네이버 톡톡하세요! 그만큼 고등학교 1학년 시작이 중요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