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특례대출
122024.11.04
인플루언서 
디벨로언
2,045경제 전문블로거
참여 콘텐츠 3
5
디딤돌 조건 규제로 신생아특례대출 받기 위해 임신 계획 앞당긴 지인

요즘 부동산 정책이 변할 때마다 부동산 실수요자들은 매번 하던 일을 멈추고 숨을 죽인다. 대출 규제가 바뀐다는 소식이 들릴 때마다 주변에선 한숨이 새어나고오고,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친구들은 이번엔 또 어떻게 될까? 하고 나에게 묻는다. 몇 달 전에는 분명 디딤돌 대출을 확대하겠다고 했던 것 같은데, 이제는 대출 한도를 줄이겠다는 소식이 들리고. 그러면서 또 한편으로는 신생아 특례대출의 소득 시준을 완화하겠다고 한다. 한쪽에선 대출을 조이고, 또 다른 쪽에선 풀어주니 갈피를 잡기가 어렵다. 그래서 특히 디딤돌 대출을 준비하던 사람들은 '이번에 디딤돌 대출도 줄어든대' 라며 걱정스러운 얼굴을 하고 있다. 다들 주택 마련이라는 인생의 목표를 위해 천천히 나아가고 있지만, 정책 변화는 늘 뒤에서 밀고 당기고. 디딤돌 대출 한도를 줄이겠다는데 디딤돌 대출이란, 무주택 서민들이 비교적 낮은 금리로 주택 구입 자금을 빌릴 수 있는 제도다. 연 소득 6천만원 이하의 무주택 가구라면 2억5천만 원까지, 신혼부부라면 4억 원까지도 가능하다. 금리도 2~3%대라 내 집 마련의 꿈을 위해선 무척이나 소중한 대출 상품이다. 그런데 정부는 디딤돌 대출이 늘어나는 가계부채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고 보고 대출 조건을 조이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가령, 생애최초주택 구입자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기존 80%에서 70%로 낮추고, 대출 금액에서 소액 임차보증금...

2024.11.04
3
연봉 1억 넘는데 신생아특례대출 받기 싫다는 무주택자 지인

우리는 모두, 언제나 꿈꾸는 집을 생각한다. 더 넓은 공간, 더 좋은 동네, 혹은 보다 나은 환경에서의 삶을. 주위 친구들, 후배들, 직장 동료들 모두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는 것 같다. 어느덧 하나둘씩 이사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나누지만, 정작 그 결정을 내리기까지는 망설임이 가득하다. 특히 아파트 값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현실적으로 여유 자금은 한정되어 있으니 마음이 쉽게 가지 않는 것이 당연할지도 모르겠다. 신생아특례대출 금리랑 한도 사기템 아닌가.. 이럴 때면 나는 자주 '신생아특례대출'을 권해보곤 한다. 단, 조건이 가능한 사람에게만. 금리도 낮고, DSR도 안보고. 이것보다 더 좋은 주택담보대출이 있을까. 지금 같은 때라면 저렴한 이자로 더 나은 집을 마련할 기회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그렇게 자산을 일찍부터 불려가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담당하고 있다 보니, 직접 자금 계획을 함께 세워주기도 한다. 한 푼 두 푼 저축하는 것보다 차라리 매달 대출 원리금을 갚아나가면서 미래에 더 큰 자산을 갖추는 것이 더 나을 것 같기 때문이다. 나에게는 그게 합리적이고, 또 기회처럼 보였다. 하지만 늘 돌아오는 답변은 비슷하다. "대출을 많이 받는 게 부담스러워." "그냥 왠지 대출이 많으면 불안해져." 그들이 말하는 그 두려움, 그 거부감 속에는 아마도 돈에 대한 일종의 본능적인 불안이 자리하고...

2024.10.16
10
신생아 특례 주택구입자금대출 전세자금대출 조건 기간 금리 한도 대환과 DSR 적용여부

신생아 특례 주택구입자금대출 전세자금대출 조건 기간 금리 한도 대환과 DSR 적용여부 안녕하세요. 디벨로언입니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는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단순히 출산율의 감소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는 국가의 인구 구조와 경제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칠테죠. 먼저 경제적요인으로는 높은 육아 비용과 교육비, 주거 문제 등이 있습니다. 청년 세대가 경제적 안정을 찾기 어려워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 경향이 강해지고 과거에 비해 여성의 경제 활동참여도 활발해져 일과 가정의 균형을 이루기 어려운 현실도 한 몫하고 있어요. 사회적요인으로는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욕구 증가, 자녀를 키우는 것보다는 개인의 삶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 자체가 출산을 멀리하게 되죠. 문화적요인으로는 대한민국의 높은 교육열이 아닐까 싶어요. 자녀 한 명에게 집중하는 '태교'부터 시작해 대학교 입시까지, 정말 우리나라는 입시 문제로 부모와 아이 둘다 숨막히게 하죠.. 이러한 저출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계속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진 출산율을 높이는데 큰 효과를 본 정책들이 없습니다. 사실 정책만이 아닌 사회적 인식의 변화,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기업문화 개선, 주거 및 교육 문제의 근본적 해결이 먼저 필요한데도 ...

2023.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