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 납부기간 주택 아파트 주인이라면 9월 납부방법 위택스

프로필

2024. 9. 13. 9:49

이웃추가

재산세 납부기간 주택 아파트 주인이라면 9월 납부방법 위택스

아파트를 보유한 집주인이라면 9월 재산세 납부하라고 고지서를 받았을 것입니다. 7월에는 재산세의 절반의 내고, 9월에 나머지 절반을 내는 방식이죠.

아파트를 보유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아파트 뿐 아니라 다른 주택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예외없이 내야 하는 세금이기 때문에 너무 마음아프실 필요는 없습니다.

재산세 부과기준

아파트의 재산세 납부 의무는 6월 1일 현재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주어집니다. 부과기준일이 6월 1일이라는 얘기죠. 부동산을 소유한 기간과는 상관없이 그 날짜에 보유하고 있던 사람이 그 해의 1년치 세금을 모두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6월 1일 잔금을 치르면서 소유권 등기이전을 했다면 매수인이 세금을 납부할 의무를 가집니다. 반대로 6월 2일에 소유권을 이전했다면 매도인이 재산세를 부담하게 되죠.

계산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아파트의 시가표준액인 공시가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인 60% 를 곱한후 나온 과세표준 구간의 세율까지 곱하면 끝입니다.

✅ 아파트 공시가의 경우 아래를 통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공정시장가액비율의 경우 60% 가 보통입니다. 단 1주택자의 경우 특례가 적용되어 43% ~ 45% 가 적용됩니다.

1주택자이면서 공시가격이 3억원인 집을 보유했다면 43% 비율이 적용되니 3억원 x 43% = 1억 2,900만원이 과세표준이 되겠네요. 6억원짜리 집이라면 45% 가 적용되어 2억 7,000만원이 과세표준이 될테구요.

여기에 구해진 과표별로 재산세율을 곱하면 최종적으로 내야 할 세금이 정해집니다.

재산세 세율 1가구 1주택 특례 적용

우선 1가구 1주태자인 경우부터 알아볼까요? 이런 경우 특례세율이 적용되어, 표준보다 0.5%p 가 낮게 적용됩니다.

구해진 과세표준이 어느 구간에 속해있는지를 보고, 세율을 곱한다음 누진공제액에 있는 금액을 빼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공시가 1억원짜리 집을 보유한 1세대 1주택 가구의 경우 공정시장가액비율은 43% 가 적용되어 4,300만원이 나옵니다. 6천만원 이하의 과표이므로 0.05% 특례가 적용되어 21,500원의 재산세를 계산해 낼 수 있죠.

만약 공시가 10억짜리 1채를 보유했다면, 공정시장가액비율은 45%가 적용되고 따라서 과표는 4억 5,000만원이 나옵니다. 세율은 0.35% 이고 누진공제액은 63만원이기 때문에 94만 5천원이 나오게 되네요.

재산세 세율 표준

표준 세율의 경우 특례보다 0.05%p 씩 높습니다. 계산방법은 동일하죠. 1세대 1주택자가 아니니까 60%, 0.25% 표준세율 적용합니다.

1️⃣ 3억원 시가 x 60% 비율 = 1억 8,000 x 0.25% - 18만원 = 27만원

2️⃣ 10억원 시간 x 60% 비율 = 6억원 x 0.40% - 63만원 = 177만원

세율은 낮지만 꽤 높은 금액을 내야 하죠. 집값이 높다면, 그리고 다주택자라면 상당히 부담되는 금액입니다.

만약 3주택자에 시가표준액이 12억 정도 되는 아파트를 가졌다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3️⃣ 12억원 x 60% = 7억 2,000만원 x 0.40% - 63만원 = 225만원

상당한 세액이 나옵니다. 재산세는 별도의 세액공제 같은게 없어서 나온 그대로 내야 하죠.

납부방법 및 납부기간

이미 7월에 납부하라고 한번 고시서가 나왔고, 나머지 분에 대해서 9월에 고지서가 나왔습니다. 나온 세금의 절반 50% 씩을 나누어 내는 방식이죠.

  • 7월 16일 ~ 30일 50% 납부

  • 9월 16일 ~ 30일 50% 납부

만약 내야 하는 세액이 20만원 미만이라면 7월 16일에 모두 납부하고 끝났을 겁니다.

네이버 전자문서로

납부합니다.

납부 방법은 고지서를 통해서 내도 되는데, 요새는 네이버나 카톡 국민비서 등을 통해서 납부가 가능합니다. 저는 주로 네이버 전자문서를 통해 받은 고지서로 납부합니다.

지방세입이기 떄문에 카드 납부는 가능하지만, 취소가 안되니 유의해서 납부하시면 되구요.

위택스에서도

지방세 납부

가능합니다.

아니면 위택스에 들어가도 내야할 지방세들이 모여 있습니다. 네이버에서는 서울것만 보이는데, 위택스는 경기도 지방까지 모두 보이니 여기서 내는게 편리하기도 하겠네요.


이상으로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및 부과기준, 납부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9월 30일까지입니다. 늦지 않게 납부하세요. 늦으면 가산세 냅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