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요측수근신근 (긴노쪽손목폄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ECRL은 주관절 굴곡근(Elbow flexor)? ECRL은 손목을 펴는 손목신전근으로 잘 알려져 있다. 신전 = 폄 = Extension ECRL은 거의 유일하게 손목신전근(Wrist extensor) 중에서 Tennis elbow에 관여하지 않는 근육이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손목신전근이 Tennis elbow가 발생하는 위치인 외측상과(Lateral epicondyle)에 부착하는 반면 ECRL는 유일하게 그 윗부분, 외측상과융선(Lateral epicondylar ridge) 에 부착하기 때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Tennis elbow는 외측상과(Lateral epicondyle)에 부착하는 힘줄 혹은 골막에 염증이 발생하여 날카로운 통증을 발생시키는 질환으로써 정식명칭은 외측상과염(Lateral epicondylitis)이다. 이렇듯 주관절(팔꿉관절, Elbow joint)에서 멀리 떨어져 부착하는 기시점(Origin) 덕분에 다른 손목신전근과 달리 ECRL은 팔꿈치를 구부리는 주관절 굴곡근 (Elbow flexor)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역학적으로 모멘트암(Moment arm)이 클수록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완(forearm)이 회내(엎침, Pronation)되어 있는 경우에 가장 우세한 주관절 굴곡을 발생시킬 수...
후상완피신경 포착 팔뚝 근육 통증 임상에서 환자를 치료하다 보면 드물게 "팔뚝 통증"으로 내원하는 환자를 마주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환자들은 아픈 부위를 가리켜보라 요구하면 높은 확률로 다음과 같은 자세를 취하곤 한다. 얼핏 봤을 때 손바닥으로 상완이두근을 가리키는 듯 보이지만 팔뚝 근육 통증 위치가 상완이두근을 가리키는 것처럼 보인다. 실은 손가락 끝으로 상완 후면부, 즉 상완삼두근을 가리키고 있을 확률이 높다. *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가리킬 때 손바닥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손가락 끝이 향하는 곳을 따라가면 환자가 가리키고자 하는 위치와 동일하다. 해당 위치는 후상완피신경 (Posterior Brachial Cutaneous Nerve)이라는 * Posterior : 뒤쪽 Brachial : 상완(위팔) Cutaneous : 피부 Nerve : 신경 상완 후면의 피부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의 감각지배(Sensory innervation) 구역이다. 요골신경으로부터 분지 되는 후상완신경 (Posterior brachial cutaneous nerve) 만약 환자가 해당 위치에 저리다 / 찌릿하다 / 아프다 / 시리다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면 후상완피신경의 포착(압박)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후상완피신경 포착 지점 후상완피신경은 해당 신경의 상부주행경로 중 어디서든 포착될 수 있지만 후상완피신경 주행경로 (보라...
Oblique retinacular ligament(ORL) Boutonniere deformity 상관관계 빗지지띠인대 - 단추구멍변형 상관관계 손은 다양한 구조물들이 복잡하게 존재하고 있는 신체부위이다. 그 중에서 검지(Index) ~ 소지(Little) 측면에는 각각 Oblique retinacular ligament(ORL) 이라는 한 쌍의 인대가 존재한다. Oblique retinacular ligament = ORL ORL은 PIP joint 바로 근위부의 Fibrous digital sheath(섬유손가락집)에서 나와 사선으로 주행하며 손가락 끝쪽에서 Lateral band(가쪽띠)라는 구조물에 부착한다. 이러한 부착부위 때문에 ORL의 단축은 DIP joint의 신전(Extension) PIP joint의 굴곡(Flexion)을 유발한다. 이 포지션은 정확히 Boutonniere deformity (단추구멍 변형 or 기형)과 일치한다. 단추구멍 변형 - PIP flexion, DIP extension position 이 때문에 ORL의 단축 및 유착은 Boutonniere deformity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물론 Boutonniere deformity의 주된 원인은 Lateral band가 온전한 상태에서 발생한 Central band의 단독 파열이 가장 흔하다. 만약 환자의 Boutonniere deform...
좌골신경통(Sciatica)이란, 모종의 이유로 좌골신경이 압박 및 손상되어 좌골신경이 주행하는 경로인 엉덩이, 허벅지 뒤쪽, 종아리, 발바닥이 저리거나 통증이 발생하는 증상들을 총칭한다. * 엄밀히 말하면 엉덩이나 허벅지 뒤쪽이 저린 이유는 좌골신경이 아닌 유사한 경로의 다른 신경 때문이지만 관례적으로 좌골신경통(Sciatica)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요추 디스크 질환 혹은 이상근에 의한 압박 등이 주원인으로 지목되지만 이러한 치료들에도 호전되지 않는 환자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오래 앉아 있으면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들이 있는데 대둔근이라는 엉덩이 근육이 처지고 약해지면 오래 앉아 있을 때 이러한 좌골신경통이 발생되거나 원래 가지고 있던 디스크 질환과 함께 좌골신경통 증상이 심화될 수 있다. * 특히 푹신한 의자에 비해 딱딱한 의자에 앉았을 때 좌골신경통이 심해진다면 더더욱 의심해보자. 왜냐하면 대둔근(Gluteus maximus)은 엉덩이 뒤쪽에 위치한 부피가 큰 근육으로 어딘가에 앉았을 때와 같이 엉덩이가 압박받는 상황에서 엉덩이 뒤쪽의 신경, 혈관 등의 구조물들이 압박되지 않도록 하나의 거대한 완충제 역할을 한다. 좌골신경통(Sciatica)을 예방하는 대둔근 특히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과 대전자(Greater trochanter) 사이 공간에서 구조물에 대한 압박을 줄여주는데 큰 기여를 한다. 이...
귀뒤 찌릿~한 통증 이유 & 자가치료 방법 흉쇄유돌근(SCM 근육) 이완 환자들을 치료하다 보면 가끔씩 귀뒤쪽이 찌릿~하다며 불편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왼쪽 귀뒤 찌릿~한 두통 이러한 귀뒤 두통 양상은 왼쪽 오른쪽 가리지 않고 발생하는데 알고 보면 이유도 명확하고 자가치료 방법도 매우 쉬운 편이다. 귀뒤 찌릿~한 두통 이유 사람의 귀 뒤쪽에는 대이개신경(Greater auricular nerve)이라는 귀뒤쪽 감각을 지배하는 감각신경(Sensory nerve)이 존재한다. 척수신경 C1~C4의 앞가지(Anterior ramus)로부터 분지 된다. 목에서 시작해서 귀 뒤쪽까지 이어지는 이 신경은 목에서 흉쇄유돌근(SCM)이라는 근육에 의해서 압박받기 쉽다. 흉쇄유돌근(SCM)은 거북목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근육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거북목 체형을 가진 사람, 좌우 목 비대칭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흉쇄유돌근(SCM)이 과긴장 or 단축되어 대이개신경을 압박할 수 있다. 귀뒤 찌릿~한 두통 자가치료 방법 치료방법은 정말 단순하다. 대이개신경이 압박 당하는 부분, 즉 흉쇄유돌근(SCM)의 중앙 부분을 충분히 마사지해주면 된다. ① 흉쇄유돌근(SCM) 찾기 만약 귀뒤 찌릿한 증상이 왼쪽에 있다면 왼쪽 흉쇄유돌근을 찾는다. * 아래 사진은 왼쪽 흉쇄유돌근 기준이다. * 목 옆에 대각선으로 돌출된 부분이 흉쇄유돌근(SCM) ② 흉쇄유...
오늘 소개할 책은 운동치료총론이라는 책이다. 물리치료사라면 대부분 알고 있는 이 책은 1985년 처음 출판되어 약 40년이 지난 지금까지 7번째 개정판이 나오며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다수의 물리치료학과에서 교과서로 사용하고 있는 번역서다. 이 책의 번역 또한 대부분 물리치료학과 교수님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물리치료사들 사이에서는 "운동치료총론"이라는 명칭보다는 공동저자의 이름을 따서 키스너콜비 라고 자주 부른다. * 키스너(Kisner) + 콜비(Colby) 공동저자인 키스너, 콜비 운동치료총론 소개 및 장점 책 페이지만 1298p.에 달하는 두꺼운 책으로 흔히 루틴치료라고 부르는 열, 전기치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물리치료 업무와 테크닉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 재활 후 관리방법에 대한 이론과 스트레칭부터 시작해서 출처 : 운동치료총론(키스너콜비) * 저작권으로 인해 일부 블록 처리하였음 특정 근육에 대한 강화운동과 출처 : 운동치료총론(키스너콜비) * 저작권으로 인해 일부 블록 처리하였음 최적의 움직임을 위한 여러 협응운동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출처 : 운동치료총론(키스너콜비) * 저작권으로 인해 일부 블록 처리하였음 또한 단순히 이미 발생한 손상에 대한 치료적 운동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일반인, 운동선수 등 피트니스적 요소에 가까운, 다양한 심화기능훈련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 이 때문에 물리치료사 뿐만 아니...
허리 벨트라인 아파요 / 뻐근해요 (하부요추 통증) 왼쪽 오른쪽 허리 구부릴 때 통증 급성 요통, Acute back pain 필자의 치료경험에 의하면 허리통증(요통)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 중 약 50% 정도는 허리 벨트라인 주변의 통증으로 치료를 받으러 온다. 허리 벨트라인이 뻐근해요 / 아파요 이 유형의 허리통증은 단언컨대 요통 중에서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위치다. 허리 벨트라인 허리통증(요통) 양상 환자마다 이러한 유형의 요통을 표현하는 방식은 다채롭지만 대체로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허리가 일자로 아파요 / 뻐근해요 허리 벨트라인이 아파요 / 뻐근해요 아래쪽 허리(하부요추)가 아파요 / 뻐근해요 * or 불편해요, 우리한 느낌이에요 등.. 엄밀히 따지면 허리라기보다는 골반 상부에 가깝지만 허리와 골반 사이의 그 애매한 위치 때문에 더 익숙한 단어인 "허리"라는 단어로 표현하는 경향이 강한 것 같다. * 종종 허리 벨트라인 통증을 포함하여 그 위쪽에 있는 하부요추 통증까지 함께 호소하는 경우를 어렵지 않게 관찰할 수 있지만 이는 별개의 통증이라기보다는 다른 원인이 함께 복합적으로 나타난 케이스이다. 허리 벨트라인 통증 원인 이러한 통증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둔피신경 포착증후군 (Superior cluneal nerve entrapment syndrome) 상둔피신경(Superior cluneal N.)은 이...
왼쪽 오른쪽 옆구리 통증 & 결림 [갈비뼈 담 증상] 해결 방법 : 외복사근 마사지 External abdominal oblique muscle massage 오른쪽 혹은 왼쪽 옆구리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있다. * 일반적으로 편측으로 호소하며 양쪽 동시에 옆구리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 옆구리 통증은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는데 옆구리 결림 콕콕 쑤시는 통증 갈비뼈 담 걸린 것 같은 증상 등등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전외측(앞가쪽) 옆구리에 통증이 존재하는 케이스의 경우 외복사근 / 배바깥빗근 (External abdominal oblique) 문제를 의심해 보아야 한다. 5 ~ 12번 갈비뼈에 전외측으로 넓게 부착하는 외복사근이 어떤 이유로 과긴장 될 경우 외복사근이 부착하는 갈비뼈를 감싸는 막, 즉 골막(Periosteum)을 과도하게 당김으로써 외복사근이 갈비뼈에 부착하는 부위에 콕콕 쑤시거나 날카로운 통증이 유발된다. 만약 외복사근이 과긴장되어 근섬유 전체가 지속적으로 * 등척성 수축을 유지할 경우 * 등척성 수축 : 근육이 수축하지만 근육의 길이에는 변화가 생기지 않는 수축 형태 옆구리 결림, 갈비뼈 담 증상 같은 주로 뻐근한 느낌의 통증이 발생될 수 있다. 외복사근, 왜 과긴장될까 외복사근은 한쪽만 수축할 때 몸통을 반대쪽으로 회전시키고 양쪽으로 수축할 때 몸통을 구부리는 역할...
남자 여자 왼쪽 오른쪽 골반통증 원인 장골하복신경 (엉덩아랫배신경, Iliohypogastric nerve) 약 일주일 전 중년 여성 환자 한 분께서 몇 주 전부터 시작된 왼쪽 골반통증 으로 불편감을 호소하며 내원했다. 그러나 환자는 자신의 골반통증 위치를 정확히 특정하지는 못하고, 손바닥으로 광범위하게 골반 주변을 두루뭉실하게 가리켰다. 당시 환자가 보여줬던 왼쪽 골반통증 설명을 재현함. 나는 답답한 마음에 일일이 환자의 골반과 다리에 감각검사(Sensory test)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왼쪽의 골반외측 부위가 오른쪽에 비해서 감각이 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환자의 살을 꼬집듯이 살짝 들어서 살을 비빈 후 양쪽의 감각을 비교했다. 나는 감각이상부위의 위치를 통해서 장골하복신경(Iliohypogastric nerve)의 외측피부분지에 문제가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장골하복신경(엉덩아랫배신경, Iliohypogastric nerve)은 골반통증 원인 중 하나로 고려 되어야 한다. 구용어로 장골하복신경 신용어로 엉덩아랫배신경 이라고 부르는 이 신경은 아래와 같은 가지로 나뉜다. 하복부의 감각을 담당하는 전방피부분지 골반 후외측 감각을 담당하는 외측피부분지 아랫배 통증을 가진 사람에게도 장골하복신경의 치료를 고려해보아야 한다. 특히 해당 환자의 경우에는 장골하복신경 중에서도 외측피부분지의 압박이 골반통증 원인에 크게 기여하는...
엄지손가락 통증 (Thumb pain) 원인 약간 바깥쪽 엄지손가락뼈 통증 환자들을 치료하다보면 흔하지는 않지만 종종 엄지손가락 통증 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는데 엄지손가락 통증(Thumb pain) 그 중에서도 약간 바깥쪽 엄지손가락뼈 에 통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이 있다. 약간 바깥쪽 엄지손가락뼈 통증을 호소하는 케이스 이러한 경우 대부분 손바닥의 두툼한 부분에 있는 엄지두덩근(무지구근, Thenar muscle)이 엄지손가락 통증 원인 일 가능성이 높다. * 엄지두덩근(무지구근, Thenar muscle)은 엄지두덩에 있는 3가지 근육을 합해서 부르는 용어이다. 약간 바깥쪽 엄지손가락이 아픈 케이스에서 환자들이 통증을 느끼는 부위는 근위지골 기저부 외측 이다. (Lateral side of base of proximal phalanx) 이 부위는 엄지두덩근(Thenar muscle) 중에서도 단무지외전근(APB), 단무지굴근(FPB)이라는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이 힘줄을 통해서 뼈에 부착하는 위치이다. 해당 근육은 물건을 잡을 때, 엄지손가락으로 무언가를 누르는 상황 등에서 사용된다. 만약 단련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과사용하거나 혹은 그러한 직업을 가진 경우 (Ex. 도수치료파트 물리치료사) 해당 근육들은 과긴장되어 연결된 힘줄을 팽팽하게 당기게 된다. 지속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지는 힘줄은 어느순간 임계점에...
최근에 이사를 하면서 집이 많이 넓어졌다. (참고사진입니다.) 그런데 넓은 집을 맨발로 다니며 몇 시간씩 정리하고 청소하다보니 발이 피로해지는 게 느껴졌다. 그런데 이렇게 발이 피로한 느낌이 나쁘지가 않다. 마치 헬스장에서 열심히 아령을 들고 난 후에 전완근이 다 털린 느낌이랄까,, 그동안 푹신한 신발들에 의해 내 발이 얼마나 과잉보호 받으며 살았는지, 그 결과로 내 발근육 이 얼마나 약해졌는지 체감할 수 있었다. 우리 발에는 정말 많은 근육들이 있는데 발건강 책임지는 발근육 이 발근육들은 발의 안정성을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해야하지만 요즘 나오는 좋은 신발들은 너무 편한 나머지 근육의 역할을 대체하여 이러한 발근육의 존재 의의를 없애버리고 있다. 오래걸어도 발이 편한 신발 = 발근육이 안 쓰이는 신발 * 신발 사이즈가 잘 맞아서 편한 경우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마치 스트랩을 끼고 철봉에 매달려있으면 전완근에 별로 힘을 안 들이고 오래 매달려있을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전완근은 약해지는 것처럼 쿠션이 좋은 신발은 오래 걸어도 발이 편하지만 발근육은 사용되지 않아 약해지는 것이다. 요즘은 이러한 발건강 이유 때문에 맨발 걷기 운동이 유행하기도 하는 듯하다. 흔히 딱딱한 바닥을 맨발로 걸으면 발건강에 악영향을 준다고만 알고 있지만 족저근막염과 같은 질환이나 통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오히려 발근육 (특히 발의 내재근...
골반통증 원인 천장관절 증후군 SI joint syndrome 걸을 때 팔을 흔드는 습관이 골반통증과 연관이 깊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신가요? 골반통증을 가진 사람들의 걸음걸이를 유심히 살펴보면 보행(Gait)의 단계에서 필수요소 중 하나인 출처 - 뉴만 Kinesiology : 전통적인 보행주기 팔 흔들기(Arm swing)가 정상인에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줄어있는 것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단순히 우연의 일치일까?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행에서 팔 흔들기(Arm swing)의 이점 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팔 흔들기(Arm swing)의 이점 보행에서 팔 흔들기는 에너지 보존의 이점 균형의 이점 등등 다양한 이점들이 존재하지만 오늘 논의할 내용은 바로 천장관절 안정화의 이점이다. 이해를 위해 대략적으로 꼬리뼈(미추)에서 대략 45도 방향으로 위에 방향에 존재한다. 천장관절(Si joint)이란, 천골(Sacrum)이라는 뼈와 장골(Ilium)이라는 뼈가 만나서 움직임이 발생하는 부분, 즉 관절(Joint)이다. 천장관절 안정화 SI joint stabilization 이러한 천장관절은 걸을 때 굉장히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조직이다. 왜냐하면 두발로 걷는 이족보행을 하는 인간의 특성상 걸을 때 한쪽 발로 체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체중을 지지하는 쪽의 골반으로 체중이 쏠린다. 이를 다르게 말하면 한쪽 천장관절...
누우면 허리 통증 원인 With. 요추 전만 통증 장요근(Iliopsoas)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분들 중에 종종 똑바로 누우면 허리 통증 이 심해진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다. 특히 이런 유형의 사람들은 수면 후 허리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얼핏 생각하기에 이것은 굉장히 이상한 일인데, 왜냐하면 서있을 때는 상지의 체중을 허리가 부담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허리 통증이 심해지는 반면, 똑바로 누우면 상대적으로 체중이 온몸으로 분산되어 상대적으로 허리 통증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그러면 중력 영향도 안 받는데 누우면 허리 통증 원인 이 뭐야?? 누우면 허리통증이 발생하는 사람들은 상당수 짧은 장요근(Iliopsoas)을 가지고 있다. [구용어 : 장요근] = [신용어 : 엉덩허리근] (Iliopsoas muscle) 짧은 장요근(Iliopsoas muscle)을 가진 사람들의 특징 중 하나는 과도한 허리 C커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장요근(Iliopsoas)이 짧아지면 근육이 충분히 늘어나지 못하고 요추와 골반을 앞쪽으로 잡아당겨서 요추전만(허리 C커브)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 결과 척추 압박력이 요추(허리뼈)의 후면부에 과도하게 작용하여 염증을 유발하여 통증이 발생하고 더 나아가 퇴행성 변화로 이어지기도 한다. 증가된 요추전만은 결국 허리통증으로 이어진다. 특히 이런 문제점은 바로누운자세(Supine position)에서 더욱...
환자를 치료하는 일은 자신감이 필요하다. 모든 치료가 실패하고 더이상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때 자신감은 0이 된다. © harlsta, 출처 Unsplash 나는 이렇듯 잃어버린 자신감을 매일 퇴근 후의 스터디에서 찾는다. 이렇게 카페에 앉아 관련된 서적을 읽으며 새로운 영감을 얻다보면 비록 정답은 아닐지언정 시도해볼만한 새로운 접근법이 하나 정도는 떠오르기 마련이다. 이 순간이 바로 환자를 마주할 자신감을 되찾는 순간이다. 비록 내일 다시 수없이 겪어왔던 실패를 또 한번 반복하게 될지도 모르지만 그럼에도 나는 이렇게 생각해야한다. 비록 오늘의 치료가 환자에게 최고의 치료는 아니었을지라도 나에게는 최선의 치료였다 라고 말이다. 특히 오늘같이 좀처럼 해결되지 않는 어려운 케이스를 마주한 날에는 더더욱 이 글은 내일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반복된다.
앞목 통증 원인 & 치료 흉쇄유돌근(목빗근, Sternocleidomastoid SCM) 카페에서 친구와 공부를 하던 중 친구가 앞목 통증(불편감)을 호소하며 내게 질문했다. 태은아 나 지난 주부터 목 앞쪽이 불편한데 혹시 이유 알아? 카페에서 공부하던 친구 당시 친구의 앞목 통증 위치를 그림으로 표현 그외에도 자신의 앞목 통증 을 다음과 같이 자세히 표현하기도 했다. 앞목이 불편한 느낌 멍든 곳을 누르는 느낌 내 목이 아닌 것 같은 느낌 누가 자기 목을 손으로 감싸고 있는 느낌 앞목 통증 원인 cause of anterior neck pain 앞목통증의 증상은 다양하게 표현되지만 요약하면 "앞목 이상감각"정도로 축약할 수 있겠다. 즉 앞목의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에 문제가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그 신경이 바로 경횡신경 (Transverse Cervical Nerve)이다. 앞목 감각을 담당하는 경횡신경(Transverse cervical N.) 이 경횡신경은 목앞의 큰 근육인 흉쇄유돌근 (목빗근, Sternocleidomastoid-SCM) 과 관련이 깊은데 목의 앞쪽에 위치한 큰근육, 흉쇄유돌근(목빗근, Sternocleidomastoid-SCM) 경횡신경은 이 흉쇄유돌근(목빗근, SCM) 뒤에서 빠져나온 후 그 위를 주행한다. 대략적으로 그 위치는 목을 1/2으로 나눴을 때 그 정중앙에 위치한다. 대략 이 지점이 바로 경횡신경...
골프 엘보 마사지 (Golf elbow) 상완이두근 단두(Short head of biceps brachii) 골프 엘보(Golf elbow)는 특징적으로 팔꿈치 내측에 날카로운 통증이 관찰된다. 조금더 상세히 서술하자면 팔꿈치 내측에 돌출된 뼈 내측상과(Medial epicondyle)에 붙어있는 전완근들이 모종의 이유로 손상받아서 * 엄밀히 말하면 손가락 & 손목 굴곡근들을 칭하며 편의상 해당 포스팅에서는 전완근이라 칭한다. 내측상과에 부착하는 전완근의 힘줄(건, Tendon)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 내측상과의 골막에 발생한 염증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골프엘보(Golf elbow) 기전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골프엘보 치료방법 중 하나로 전완근의 힘줄에 가해지는 장력을 줄이기 위한 전완근 마사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엄밀히 말하자면 전완에 존재하는 손가락 및 손목 굴곡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프엘보 치료방법 중 하나 하지만 단순히 전완근만을 마사지하는 것만으로는 전완근의 힘줄에 가해지는 장력을 줄이는 것이 어려움이 있다. 왜인지 설명하기에 앞서 책 한 권의 내용 일부를 인용하겠다. 근육들은 각각 다른 작용을 하는 순간에도, 거미줄처럼 연결된 근막을 통해 전신에 걸쳐 기능적으로 통합된 연속성의 영향을 미친다. 근막경선 해부학 위의 인용구에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 몸의 근육들은 근막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근육에 영향을 미치게...
등 담 걸렸을 때 & 날개죽지 통증 척추기립근 - 장늑근(Iliocostalis) 필자는 임상에서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상당수의 환자들이 아래와 같은 위치에 날개죽지 통증 및 뻐근함 을 호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날개죽지 통증 다수의 문헌에서는 날개죽지 통증 주요 원인으로 능형근(Rhomboid)을 지목한다. 우측사진 출처도서 : 통증유발점의 기전과 치료(영문출판사) 그러나 필자의 임상경험에 의하면 환자가 날개죽지 통증 을 호소할 때 혹은 등 담 걸렸을 때 주요 관련 근육은 척추를 펴는 척추기립근 중 하나인 장늑근(Iliocostalis)이라는 근육이 포함되었다. 척추기립근(ES)은 세 개의 근육으로 구성되며 그중 하나가 바로 장늑근(Iliocostalis)이다. 날개죽지 통증 에 있어서 능형근 과 장늑근 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두 근육의 중요한 해부학적 차이를 인지해야 한다. 그 중요한 차이 중 하나는 능형근 은 견갑골의 내측에 부착하지만 장늑근 은 견갑골에 일부 덮여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해부학적 특징으로 인해서 능형근 통증양상은 견갑골 내측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고 장늑근 통증양상은 견갑골 내측을 포함하여 견갑골 일부를 침범하는 경향이 있다. ※ 견갑골에 의해 덮여있는 근육은 장늑근 뿐만 아니라 상후거근, 전거근, 견갑하근과 같은 다양한 근육이 있으며 통증의 원인을 분석할 때 복합적인 양상을 염두해야만 한다. 등 담 걸렸을 때...
사타구니(서혜부, Inguinal pain) 뻐근 & 통증 원인 무릎통증으로 도수치료를 받던 환자 한 분께서 어느 날 하루는 서혜부(사타구니, Inguinal) 통증 을 호소했다. 서혜부(사타구니) : 허벅지와 성기 사이의 공간 전날 가벼운 강아지 산책 이후로 가만히 있어도 뻐근 하고 우리한 통증이 지속된다고 하였다. 환자에게 서혜부 통증 위치를 하나도 빠짐없이 한 손가락으로 가리키도록 요청했다. 환자들은 통증 위치를 뭉뚱그려 가리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한 손가락으로 정확한 위치를 가리키도록 요청한다. 환자가 가리킨 서혜부 통증 위치는 넓게 퍼져있는 것이 아니라 정확히 사타구니 어느 한 지점을 가리켰다. 환자가 한손가락으로 가리킨 사타구니 통증 지점 해당 통증 지점은 허리와 골반에서 대퇴골(넙다리뼈)으로 이어지는 장요근(엉덩허리근)이라는 근육이 위치하는 지점이다. 환자의 통증 지점, 즉 장요근이 대퇴골으로 이어지는 지점을 손으로 가볍게 압박해보니 환자는 상당한 압통을 호소했으며 해당 지점의 근섬유가 응어리(뭉쳐있음)져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압통(Tenderness) : 압박에 의한 통증 나는 그 즉시 팔꿈치로 압통지점(장요근)을 살며시 압박했다. ※ 팔꿈치의 날카로운 부분이 아니라 그 아래의 약간 뭉뚱한 부분을 이용한다. 약 1~2분 정도의 압박 - 이완 후 그 후에는 그 윗부분, 즉 허리 - 골반쪽 장요근 근섬유를 압박했...
아래팔(전완) 통증 원인 요골신경 심부가지(후골간신경) 포착 고령의 환자 한 분께서 아래팔(전완) 통증 이 심하다며 호소했다. 환자의 통증 위치는 아래팔(전완)의 원위부(Distal)의 배측(Dorsal)이었다. 환자의 병력을 들어보니 오늘 아침 자고 일어난 후부터 갑작스레 아래팔(전완)에 표현하기 힘든 뻐근한 통증이 발생했다고 한다. 환자의 통증 위치를 가볍게 압박해보았을 때 환자는 약간의 압통(Tenderness)과 함께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듯한 시원함을 느꼈다. 환자의 아래팔(전완) 통증위치 압박 게다가 환자의 통증 위치에서 뭉치고 응어리진 근육 상태를 느낄 수 있었다. => 즉, 환자의 통증이 과도한 근육수축에 의한 허혈성 통증임을 유추할 수 있다. 해당 위치의 깊은 곳에는 다음과 같은 근육들이 위치한다. 환자의 통증 위치 근육들 ① 장무지외전근 (Abductor pollicis longus) ② 장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longus) ③ 단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brevis) ④ 시지신근 (Extensor indicis) 흥미롭게도, 해당 근육들은 한가지 공통점을 가지는데 4가지 근육 모두 요골신경 심부가지 , 다른말로 후골간신경(Posterior interosseous N.)에 의해서 근육의 수축이 조절된다는 것이다. * 요골신경 심부가지 는 순수 운동신경으로 오로지 근육의 수축만을...
환자 한 분께서 허리 통증으로 치료를 받던 중에 지나가듯 하소연했다. 요즘따라 걸을 때 가끔씩 발가락이 꼬여요 ㅜㅜ 나는 흥미가 생겨서 증상에 대해서 질문했다. "어느 발가락이 어떤식으로 꼬이세요?" "두번째 발가락이 엄지발가락쪽으로 꼬이듯이 기울어요" 발가락이 꼬여요 - 발가락 쥐 이것은 발의 특정 내재근이 과긴장 되었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나는 해당 환자의 내재근들 하나하나 천천히 압박해봤다. 그러던 중 환자의 첫째-둘째 중족골 사이를 압박했을 때 환자는 압통으로 인해 소스라치게 놀라며 움찔했다. (Jumping sign) 해당 위치에는 두번째 발가락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첫번째 배측 골간근 (1st Dorsal interossei)이 존재한다. 해당 근육이 과긴장되어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이 불수의적인 수축을 하게 되면 발가락이 꼬이는 느낌, 흔히 "발가락 쥐"라고 표현되는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발가락 쥐 치료"를 위해서 해당 환자의 압통점을 압박-이완했고 환자는 통증과 함께 묘한 시원함(?)을 느꼈다. 발가락 쥐 치료 첫번째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이완 또한 배측골간근의 수축은 외측족척신경(Lateral plantar N.)에 의해서 조절(Control)되는데, 외측족척신경은 "배측골간근"을 신경지배한다. 이러한 외측족저신경이 단족지굴근(Flexor digitorum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