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은
물리치료 전문가질병 치료/예방 전문
블로그 이웃 9,000+

팬을 맺고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병원에서 도수치료를 하고 있는
물리치료사 김태은 입니다.

임상에서 치료를 하며 마주하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해서 고민하며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메세지가 많아 모든 메세지를 일일이
확인하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새로운 토픽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토픽

  • 의학정보

골반통증, 무엇이 문제인가?

콘텐츠 4
토픽 목록 더보기
  • 의학정보

다양한 어깨통증 원인

콘텐츠 4
토픽 목록 더보기
  • 생활습관/운동

이게 건강에 안 좋다고?

콘텐츠 3
토픽 목록 더보기
  • 의학정보

사소한 습관이 질환을 만든다

콘텐츠 5
토픽 목록 더보기
  • 의학정보

환자는 몰랐던 비하인드 스토리

콘텐츠 5
토픽 목록 더보기

인플루언서 정보

콘텐츠 스타일

정확한 정보 전달

창작 분야

전문지식

본인참여 2022.06.03
인플루언서 정보는 창작자 본인이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됩니다. 네이버는 입력된 정보를 매개 서비스하는 정보 제공자로서, 해당 정보의 정확성, 신뢰성, 최신성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키네시오 테이핑

골프 엘보우 (Golf elbow) : 키네시오 테이핑
상세 페이지로 이동
키네시오 테이프 : 테니스 엘보우(Tennis elbow) 테이핑 방법, 원리
상세 페이지로 이동
무지외반증 테이핑 (Hallux valgus) : with 키네시오 테이프
상세 페이지로 이동
척추측만증(척추옆굽음증, Scoliosis) 테이핑
상세 페이지로 이동
손목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테이핑
상세 페이지로 이동

키워드 챌린지

키워드 챌린지 참여 콘텐츠

NBLOG

14
ECRL은 주관절 굴곡근(Elbow flexor)이다? 장요측수근신근(긴노쪽손목폄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고찰

장요측수근신근 (긴노쪽손목폄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ECRL은 주관절 굴곡근(Elbow flexor)? ECRL은 손목을 펴는 손목신전근으로 잘 알려져 있다. 신전 = 폄 = Extension ECRL은 거의 유일하게 손목신전근(Wrist extensor) 중에서 Tennis elbow에 관여하지 않는 근육이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손목신전근이 Tennis elbow가 발생하는 위치인 외측상과(Lateral epicondyle)에 부착하는 반면 ECRL는 유일하게 그 윗부분, 외측상과융선(Lateral epicondylar ridge) 에 부착하기 때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Tennis elbow는 외측상과(Lateral epicondyle)에 부착하는 힘줄 혹은 골막에 염증이 발생하여 날카로운 통증을 발생시키는 질환으로써 정식명칭은 외측상과염(Lateral epicondylitis)이다. 이렇듯 주관절(팔꿉관절, Elbow joint)에서 멀리 떨어져 부착하는 기시점(Origin) 덕분에 다른 손목신전근과 달리 ECRL은 팔꿈치를 구부리는 주관절 굴곡근 (Elbow flexor)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역학적으로 모멘트암(Moment arm)이 클수록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완(forearm)이 회내(엎침, Pronation)되어 있는 경우에 가장 우세한 주관절 굴곡을 발생시킬 수...

22
삼변간(Triangular interval)에서 후상완피신경(Posterior Brachial Cutaneous Nerve, PBCN) 포착에 의한 팔뚝 근육 통증

후상완피신경 포착 팔뚝 근육 통증 임상에서 환자를 치료하다 보면 드물게 "팔뚝 통증"으로 내원하는 환자를 마주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환자들은 아픈 부위를 가리켜보라 요구하면 높은 확률로 다음과 같은 자세를 취하곤 한다. 얼핏 봤을 때 손바닥으로 상완이두근을 가리키는 듯 보이지만 팔뚝 근육 통증 위치가 상완이두근을 가리키는 것처럼 보인다. 실은 손가락 끝으로 상완 후면부, 즉 상완삼두근을 가리키고 있을 확률이 높다. *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가리킬 때 손바닥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손가락 끝이 향하는 곳을 따라가면 환자가 가리키고자 하는 위치와 동일하다. 해당 위치는 후상완피신경 (Posterior Brachial Cutaneous Nerve)이라는 * Posterior : 뒤쪽 Brachial : 상완(위팔) Cutaneous : 피부 Nerve : 신경 상완 후면의 피부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의 감각지배(Sensory innervation) 구역이다. 요골신경으로부터 분지 되는 후상완신경 (Posterior brachial cutaneous nerve) 만약 환자가 해당 위치에 저리다 / 찌릿하다 / 아프다 / 시리다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면 후상완피신경의 포착(압박)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후상완피신경 포착 지점 후상완피신경은 해당 신경의 상부주행경로 중 어디서든 포착될 수 있지만 후상완피신경 주행경로 (보라...

10
Oblique retinacular ligampent(ORL 빗지지띠인대) - Boutonniere deformity(단추구멍 변형) 상관관계

Oblique retinacular ligament(ORL) Boutonniere deformity 상관관계 빗지지띠인대 - 단추구멍변형 상관관계 손은 다양한 구조물들이 복잡하게 존재하고 있는 신체부위이다. 그 중에서 검지(Index) ~ 소지(Little) 측면에는 각각 Oblique retinacular ligament(ORL) 이라는 한 쌍의 인대가 존재한다. Oblique retinacular ligament = ORL ORL은 PIP joint 바로 근위부의 Fibrous digital sheath(섬유손가락집)에서 나와 사선으로 주행하며 손가락 끝쪽에서 Lateral band(가쪽띠)라는 구조물에 부착한다. 이러한 부착부위 때문에 ORL의 단축은 DIP joint의 신전(Extension) PIP joint의 굴곡(Flexion)을 유발한다. 이 포지션은 정확히 Boutonniere deformity (단추구멍 변형 or 기형)과 일치한다. 단추구멍 변형 - PIP flexion, DIP extension position 이 때문에 ORL의 단축 및 유착은 Boutonniere deformity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물론 Boutonniere deformity의 주된 원인은 Lateral band가 온전한 상태에서 발생한 Central band의 단독 파열이 가장 흔하다. 만약 환자의 Boutonniere deform...

9
간과하기 쉬운 Sciatica 좌골신경통 원인 - 대둔근

좌골신경통(Sciatica)이란, 모종의 이유로 좌골신경이 압박 및 손상되어 좌골신경이 주행하는 경로인 엉덩이, 허벅지 뒤쪽, 종아리, 발바닥이 저리거나 통증이 발생하는 증상들을 총칭한다. * 엄밀히 말하면 엉덩이나 허벅지 뒤쪽이 저린 이유는 좌골신경이 아닌 유사한 경로의 다른 신경 때문이지만 관례적으로 좌골신경통(Sciatica)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요추 디스크 질환 혹은 이상근에 의한 압박 등이 주원인으로 지목되지만 이러한 치료들에도 호전되지 않는 환자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오래 앉아 있으면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들이 있는데 대둔근이라는 엉덩이 근육이 처지고 약해지면 오래 앉아 있을 때 이러한 좌골신경통이 발생되거나 원래 가지고 있던 디스크 질환과 함께 좌골신경통 증상이 심화될 수 있다. * 특히 푹신한 의자에 비해 딱딱한 의자에 앉았을 때 좌골신경통이 심해진다면 더더욱 의심해보자. 왜냐하면 대둔근(Gluteus maximus)은 엉덩이 뒤쪽에 위치한 부피가 큰 근육으로 어딘가에 앉았을 때와 같이 엉덩이가 압박받는 상황에서 엉덩이 뒤쪽의 신경, 혈관 등의 구조물들이 압박되지 않도록 하나의 거대한 완충제 역할을 한다. 좌골신경통(Sciatica)을 예방하는 대둔근 특히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과 대전자(Greater trochanter) 사이 공간에서 구조물에 대한 압박을 줄여주는데 큰 기여를 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