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펀드
102025.01.20
인플루언서 
에코마마 재테크
1,740경제 전문블로거
참여 콘텐츠 3
4
노후자금 연금저축펀드·IRP 현명하게 인출하는 법, 최적의 계좌 운용 전략

금융자산 10억의 작은 부자를 꿈꾸며 1일 1재테크하는 에코마마입니다. 노후 자금을 지금부터 준비하려고 연금저축펀드, IRP와 ISA 계좌에 대해 작년부터 공부하고 있는데요. 연금 인출도 전략이 필요하고, 그에 따라 계좌도 여러 개로 운영하는게 효율적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선 IRP 계좌 연금에는 자금의 종류와 인출 순서입니다. 1) 매년 세액공제받은 금액 (300~900만 원) 2) 이직하거나 퇴직한 후 받은 퇴직금 (만 55세 수령할 경우 일반 계좌에도 받을 수는 있음) 3) 세액공제받지 않은 금액 (연 900~1,500만 원) 4) 운용 수익 각 자금별 세금 내용입니다. 퇴직금은 퇴직소득세 세액공제받은 금액과 운용 수익은 연금소득세를 내야합니다. 퇴직금이든 연금저축펀드든 연금 수령할 수 있는 한도가 있습니다. 연금 수령한도 = 연금계좌 평가금액 / (11-연금수령 연차) * 120% 10년차가 되면 연금 수령한도가 없어집니다. * 연금수령 한도 초과시 세금 ◈ 퇴직금 연금수령 한도 초과 시 -> 퇴직소득세 30%나 40% 감면없이 퇴직소득세 전부를 내야함 ◈ 연금저축 펀드 연금 인출 순서 IRP에서 퇴직금 제외하고 동일 º 연금 수령한도 내 & 연간 1,500만원 이하일 경우 => 연금소득세 ex) 한도 1,200만 원, 연금 수령 1,100만 원 º 연금 수령한도 초과 & 연간 1,500만원 이하일 경우 => 초과분에 대해서...

2025.01.20
18
[강의] 김성일 작가, 매달 500만 원 받는 연금빌딩을 쌓아라 (마법의 연금 굴리기)

마법의 연금 굴리기 책의 김성일 작가님의 연금 강의가 있어 저녁밥해놓고 6시에 강의장으로 향했어요. 마법의 연금 굴리기 저자 김성일 출판 에이지21 발매 2023.10.11. 제가 다녔던 LG전자 사옥과 가까운 하나증권에서 진행되었는데요. 오랜만에 여의도오니 촌녀ㄴ처럼 두리번 두리번 했네요 ㅎㅎ 유튜브와 책에서 만났던 작가님을 만나니 반갑더라고요. 연금 강의 내용 IRP/DC 계좌는 선물투자가 안되니 금투자 안됨. IRP + 연금저축: 손익통산 된다!! 은행에 저축하지 말라! 개인연금에 저축해야 세금을 줄일 수 있다!! 연금저축계좌에서도 예금 이자와 비슷한 MMF, CD금리, KOFR 투자하면 된다. ☆ 연금저축/IRP부터 채우고 ISA 납입하기 연금수령액 인당 합산이라 배우자가 주부여도 가입하는게 유리하다!! 중국, 인도, 한국 투자 (한국 국채 신용도 높다.) 국민연금의 자산배분 목표 : 우리는 지금부터 할 수 있다!!! K-올웨더 포트폴리오 TDF는 60세에 은퇴한다면 80%에 안전자산으로 자동으로 포트폴리오가 바뀜 => 60세 이상 일을 해도 포트폴리오 조정을 못한다. TDF, TIF 비추 ISA 세금 계산해보고 해지시점 체크 비과세 금액 내라면 연장 비과세 금액 초과하면 해지 우상향할 상품은 일시매수 작가님은 개인연금 1800만원 없으면 대출받아서 넣는다. => 그만큼 연금저축이 좋다고 하시네요! 위험자신비중 : 100-나이...

2024.11.21
7
퇴직연금 IRP, 연금저축펀드와 ISA 단점 총 정리, 활용법

퇴직연금 제도 퇴직연금제도는 DB, DC, 개인형 IRP가 있는데요. 그 중에 개인형 IRP에 대해 알아볼게요. 출처: 한국투자증권사 개인형 연금 IRP (Indivisual Retirement Pesion) : 세액공제, 세금이연 및 연금수령시 절세 가입 대상: 퇴직금 수량자, 퇴직연금 가입자, 자영업자, 퇴직금제도 근로자, 공무원, 소득있는 모든 취업자 2. 1) 퇴사하거나 이직 시 퇴직금 IRP 계좌로 운영 2) 개인이 추가 납입 가능 => 한도: 연간 1,800원만 원 (연금저축/IRP/DC 개인부담금 포함) + ISA 만기계좌 전환금액 (전환 금액의 10%, 최대 300만 원) 3. 세액공제: 최대 1,200만 원 (IRP+연금저축: 900만 원 + ISA 만기전환 추가 한도 300만 원(전환 금액의 10%)) 소득 5.5천만원 이하: 16.5% 소득 5.5천만원 이상: 13.2% 4. 주식, 주식형펀드와 같은 위험자산에 70% 넘게 투자할 수 없다. (연금저축펀드는 가능) 5. 수령시 세금 * 체크해야할 사항 1) 수수료 확인 필요 (요즘은 거의 수수료가 없으나 확인 필요)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45486 IRP, 세금 아끼려다 수수료 왕창!...'계좌전환' 되나요?[똑똑정보] - 이코노믹리뷰 연금계좌는 연금저축과 개인형퇴직연금(IRP)을 말한다....

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