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 일자 2025. 1. 25. (토) 무등산 등산 코스 원효광장 - 목교 - 서석대 전망대 - 인왕봉 - 서석대 정상 - 입석대 - 장불재 - 석불암 - 지공너덜 - 규봉암 - 신선대 억새평전 - 꼬막재 - 원효사 - 원효광장 (원점회귀, 15.3km, 6시간 10분 소요) □ 원효광장 (07:33) 원효광장 주차장에 주차(₩4,000)를 하고 산행을 시작한다. 주차장에서 탐방로는 원효분소까지 무등로를 따라 완만하게 이어진다. 원효광장을 출발한 탐방로는 원효분소까지 무등로를 따라 완만하게 이어진다. 원효분소에서 탐방로는 무등산 옛길 2구간으로 들어선다. 무등산 옛길 2구간은 4.12km로 원효사에서 서석대까지 구간이다. 원효분소에서 진행할 인왕봉 전망대 4.4km 원효분소에서 탐방로는 무등산 옛길(2구간)로 들어선다. 무등산 옛길로 들어선 탐방로는 완만한 오르막길로 이어진다. 완만하게 오르던 탐방로는 풍암제 갈림길을 지나면서부터 가팔라지기 시작한다. 풍암제(3.5km) 갈림길에서 지나온 원효분소 0.6km, 진행할 서석대 3.4km 주검동 유적지, 충장공 김덕령 장군이 임진왜란 때 이곳 원효사 부근에서 칼과 창을 만든 곳으로, 의병활동과 거사에 필요한 군수물자 제공 및 무술을 연마하던 곳이다. 바위에는 '만력계사 의병대장 김충장공 주검동'이라고 새겨져 있다. 가팔라지던 탐방로는 진행 방향 왼쪽으로 꺾이면서 완만한 오르막길로 이어진...
산행 일자 2025. 1. 23. (목) 한라산 등산 코스 관음사지구 탐방지원센터 - 탐라계곡 목교 - 탐라계곡 대피소 - 삼각봉 대피소 - 용진각 현수교 - 왕관릉 - 백록담 정상 - 진달래밭 대피소 - 사라오름 - 속밭 대피소 - 성판악 탐방안내소 (19.3km, 7시간 20분 소요) □ 관음사지구 탐방지원센터 (08:04) 관음사 탐방로 주차장에 주차(₩1,800)를 하고 산행을 시작한다. 탐방로 입구에서 한라산 탐방 예약시 휴대폰 문자로 발급받은 QR코드 입장권을 QR스캐너에 인식시키고 입장한 뒤 산행을 시작한다. 구린굴, 길이 442m, 진입로 너비 3m로 천연 동굴을 얼음 창고로 활용했던 선인들의 지혜가 엿보이는 유적이다. 관음사지구 탐방지원센터를 출발한 탐방로, 구린굴과 숯가마터를 내어주며 완만한 오르막길로 이어진다. 얼어붙은 눈길, 발걸음을 옮길때마다 사각사각거린다. 숯가마터는 한라산 관음사탐방로 입구에서 2.5km(해발 78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1940년경에 만들어진 숯가마터는 한라산에 산재하고 있는 참나무류를 이용하여 참숯을 구워냈던 장소이다. 완만한 오르막길로 이어지던 탐방로는 탐라계곡 목교에 이르러 한차례 고도를 떨어뜨린다. 한차례 고도를 떨어뜨린 탐방로는 탐라계곡 목교를 건너 탐라계곡 대피소까지 가파르게 고도를 올린다. □ 탐라계곡 목교 (08:57) 완만하게 이어지던 탐방로는 탐라계곡 목교를 지나면서...
산행 일자 2025. 1. 18. (토) 태백산 등산 코스 유일사 주차장 - 유일사 - 장군봉 - 천제단(영봉) - 하단 - 문수봉 - 당골 주차장 (11.1km, 4시간 20분 소요) □ 유일사 주차장 (09:21) 당골 제1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대기하고 있던 택시(₩13,000)를 타고 유일사 주차장으로 이동한다. 많은 탐방객들이 산행을 준비하고 있는 유일사 주차장 유일사 주차장을 출발한 탐방로는 완만한 오르막길로 시작한다. 탐방로 입구가 결빙 상태라 아이젠을 착용했는데, 결빙 구간을 벗어나면서 부터 눈길이 아니라 자갈길이다. 자갈길, 그래도 태백산이다. 금세 눈길로바뀐다. 완만하게 오른지 15분 남짓, 탐방로는 가팔라지기 시작한다. 종아리가 당길 때쯤 탐방로는 낙엽송 군락지를 내어주며 완만한 오르막길로 바뀐다. 낙엽송 군락지 완만하게 오르던 탐방로는 낙엽송 군락지를 지나면서부터 살짝 내리막길로 이어지다 다시 가팔라지기 시작한다. 가팔라지기 시작한 탐방로는 얼마안되서 유일사 쉼터를 내어준다. 유일사 쉼터에서 지나온 유일사 주차장 2.3km, 진행할 천제단 1.7km 탐방로에서 유일사(0.1km)로 내려갔다가 되돌아 나온다. 1935년경 비구니 순일이라는 스님이 기도를 하면서 지내다, 지리적으로 너무 험준하고 열악하여 떠나고 터만 남은 자리에 1959년 한 불자(이소선)가 기도하던 중 부처님의 현몽을 받아 다시 불사를 일으켜 유일사...
산행 일자 2025. 1. 12. (일) 남덕유산 등산 코스 영각사 공영주차장 - 하봉 - 중봉 - 남덕유산 - 서봉 - 삼자봉 - 쑥뚝골 - 영각사 공영주차장 (원점회귀, 11.1km, 4시간 50분 소요) □ 영각사 공영주차장 (08:32) 영각사 공영주차장에 무료로 주차를 하고 산행을 시작한다. 영각사 공영주차장을 출발한 탐방로는 영각사 방향 임도를 따라 올라간다. 임도에서 진행 방향 왼쪽으로 들어선 탐방로는 영각탐방지원센터(0.4km)까지 완만하게 이어진다. 완만하게 이어지던 탐방로는 영각탐방지원센터를 지나가면서부터 가팔라지기 시작한다. □ 영각탐방지원센터 (08:47) 영각탐방지원센터에서 진행할 남덕유산 3.6km 가파른 듯하면서도 완만하게 오르는 탐방로, 많은 탐방객이 줄지어 올라가서 그런지 힘든 줄 모르고 오른다. 계곡을 따라 고도를 올리던 탐방로는 계곡과 헤어지면서부터 가파른 오르막길로 바뀐다. 가파른 오르막길은 능선(영각재)까지 가쁜 숨을 몰아쉬게 한다. 능선(영각재)으로 올라선 탐방로, 남덕유산까지는 0.9km 탐방로는 가파른 데다 바람까지 차가워진다. 가파른 오르막길, 종아리는 당기고 숨소리는 추위를 몰아낼 만큼 거칠어진다. 추위에 얼어붙은 손가락은 멋진 풍경은 지나칠 수 없다며 자신의 일을 묵묵히 해낸다. 능선(영각재)에서 한차례 고도를 올린 탐방로는 하봉을 내어준다. □ 하봉 (10:08) 하봉 하봉을 지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