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채널 최신 피드 리스트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30
    트리안(뮤렌베키아) 꽃과 씨앗/트리안 분재

    뮤렌베키아(Muehlenbeckia) 꽃 뮤렌베키아 유통명 : 트리안 학명 : Muehlenbeckia complexa 한겨울 실내에 있는 트리안이 꽃을 피우고 있다. 예전에 피었던 꽃하고는 모양이 조금 틀린듯하다. 수년(?) 째 키우는 트리안 분재 이름표에 2017년으로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처음 실오라기 같은 한 가닥의 트리안 가지를 가지고 지금에 근상의 굵은 뿌리를 만들었지만 정확하게 언제부터 분재로 만들기 시작했는지 기억이 잘 안 난다. 트리안 분재는 특별하게 관리를 하지 못하고 베란다 한 귀퉁이에서 자리하고 무관심 속에 지내오며 가끔 몇 송이의 꽃을 피우곤 한다. 5mm도 안되는 작은 꽃을 피워 유심히 보지 않으면 꽃이 피었는지도 모르게 지나가곤 하는 것이 일상이다. 실내(베란다)에서 키우다 보니 특별하게 꽃 피는 시기가 있는 것이 아니고 그냥 조용히 무심코 피고 지고 있다. 이번에 핀 꽃이 예전에 핀 꽃과 다른 점이 팝콘 모양으로 5장의 잎을 활짝 펼친 모습이 아니고 안에 검은 씨앗을 품은듯한 모습을 하고 있는 점이 다르며 홀로 처음으로 씨앗을 만들고 있다는 것이 예전에 피었던 꽃들과 다른 점이다. 트리안(뮤렌베키아) 분재는 우연한 기회에 만들기 시작하여 번식력이 왕성한 트리안을 감당하기 힘들어 삽목도 해보고 물꽂이도 하여 뿌리가 내린 트리안을 가지고 시작하게 되어 뿌리가 굵어지면 올려 심기를 반복하여 지금에 트리안 분재가...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7
    어뷰징/저품질 블로그/블로그 관리/네이버 블로그 방문 공감 누르기

    네이버 블로그 방문 공감 누르기와 어뷰징의 관계를 아십니까? 아주 간혹 극소수의 이웃님들이 글을 읽지 않고 공감만 눌러 주는 것은 상대방 블로그에 피해가 간다고 합니다. 공감이 읽음보다 많은 경우 어뷰징으로 인식 네이버 블로그 앱의 이웃 새 글이나 블로그를 방문하여 포스팅한 글을 읽지 않고 공감만 누르면 네이버 블로그 포스팅 관리팀에서는 어뷰징으로 인식하여 저품질 블로그로 가는 지름길이 됩니다. 공감과 읽음이 같은 경우 어뷰징(abusing) : 내용과 다른 자극적인 제목의 기사를 포털 사이트에 게재해 의도적으로 클릭 수를 늘리는 행위 읽음이 공감보다 많은 경우 (정상적인 경우) 블로그 공감은 페이지를 읽지 않고 누르기가 가능하여 상대방에게 호의를 베풀듯이 누르는 공감이 오히려 피해가 간다고 합니다. 읽음이 공감보다 많은 이상적인 블로그 상태로 간혹 공감이 읽음보다 많아 어뷰징으로 인식되어 저품질 블로그로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공감 누르기는 꼭 글을 읽은 후 눌러주는 것이 상대방 블로그에 대한 예의인 것 같습니다. 올바른 공감 누르기로 즐거운 블로그 활동을 누리시는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어뷰징, #abusing, #저품질블로그, #블로그관리, #네이버블로그, #공감누르기, #블로그공감누르기, #앱, #이웃새글, #포스팅, #네이버관리팀, #어뷰징인식, #클릭수, #포털사이트, #네이버블로그방문공감누르기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38
    미니오베사 웃자란 자구를 삽목하여 정상으로 키우기/교배종​/웃자람/자구 번식

    유포르비아 오베사 교배종(Euphorbia obesa hybrid) 자구 번식 웃자람이 심한 오베사 교배종(미니오베사)을 삽목하여 새롭게 자구를 받아 키우기 웃자란 미니오베사 자구 삽목 웃자란 미니오베사 2021년 4월 입주한 오베사 하이브리드 일본 오베사(유포르비아 오베사 프롤리페라) 처럼 일본 오베사(유포르비아 오베사 프롤리페라) 예쁜 자구를 달고 있었다. 미니오베사는 오베사 교배종으로 글로보사(globosa)와 오베사(obesa)의 교배종으로 추정된다고 하는데 확실치는 않은듯하다. 오베사 교배종(Euphorbia obesa hybrid)은 오베사 몬스터, 오베사 군생, 미니 오베사, 오베사 글로보사, (신)오베사 등 유통되는 이름도 다양하다. 그러나 몇 년 동안 일조량이 부족한 베란다 환경에서 모체뿐만 아니라 자구까지 웃자람이 심해 웃자란 자구 일부를 삽목하였지만 지칠 줄 모르는 웃자람으로 포기 상태에서 원래의 모체는 분갈이를 실시하여 자구도 배합토에 뿌리를 내리도록 깊게 심어주고 완벽한 단수를 통하여 새로운 자구를 받아 새로운 자구나마 정상적인 모습으로 키워 보려 한다. 그러나 식물 LED의 도움을 받지 못해 일조량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그 결과는 미지수이다. 그러나 웃자란 일부 자구를 삽목하여 먼저 삽목하여 웃자랐던 자구는 생장점을 잘라 삽목하고 새롭게 잘라낸 자구와 함께 합식하여 식물 LED의 간접 도움을 받아 45일 만...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34
    리톱스 루브로로세우스의 다양한 채색 변화/리톱스 파종, 탈피, 이력 관리

    리톱스 루브로로세우스(Lithops rubroroseus)의 채색 변화 루브로로세우스 의 탈피 후 다양한 색 변화 리톱스 루브로로세우스가 탈피를 이어갈수록 다양한 모습으로 거듭나고 있다. 2021년 8월 파종한 리톱스 루브로로세우스 2022년 6월 파종분에서 일반 플분으로 옮겨심기 2024년 3월 파종 3년 차 일반 플분으로 정식 이름표에 이력을 기록하여 관리 4포트의 루브로로세우스 콜넘버 : C393A 식물 학명 : 리톱스 브롬필디 변종 그라우디나에 루브로로세우스 Lithops bromfieldii v. glaudinae "rubroroseus" 루브로로세우스 채색 변화 리톱스 루브로로세우스가 파종 4년 차로 들어서서 탈피를 반복하며 각각의 채색 및 무늬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파종분에서 나온 리톱스 루브로로세우스가 탈피를 거듭할수록 제각각의 개성 있는 모습으로 변해가고 있다. 루브로로세우스 파종분에 플러그린 간첩 하나가 꿋꿋하게 버티고 있다. 나눔 받아 처음 파종하여 거의 95% 이상 발아하여 발아한 유묘 모두 살아남아 부족한 베란다의 일조량에도 웃자람이 거의 없이 성장하는 파종해 보았던 리톱스들 중에 몇 안 되는 키우기 쉬운 종인 것 같다. 조금 아쉬운 점은 유묘때는 진한 붉은색으로 성체가 되어서도 붉은색이 진한 리톱스를 기대하였는데 성체가 되니 붉은색보다는 각각 개성있는 모습으로 변해가고 있는 것 같다. 파종 4년 차에 들어선...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135
    아데니움(사막의 장미, 석화) 키우기/분갈이, 흙갈이, 가지치기, 삽목, 근상/관리 방법/아데니움 분재

    아데니움(Adenium obesum) 아데니움 몸통을 굵게 하고 뿌리를 올려심어 근상 분재 형태로 키우기 아프리카 식물이지만 동남아 등지에서 뿌리를 이용한 분재 형태로 키워 멋진 수형을 만드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사막의 장미(Desert Rose) 또는 석화로 유통되는 아데니움(Adenium)의 이름은 자생지의 한 곳인 아덴(Aden)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아데니움 오베숨 (Adenium obesum) 이름 : 아데니움(Adenium), 사막의 장미, 석화, Desert Rose(영명) 학명 : Adenium obesum 유통명 : 아데니움(Adenium obesum), 사막의 장미(Desert Rose), 석화 꽃말 : 무모한 사랑, 정열, 열정 생물학적 분류 계 : 식물계(Plantae)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용담목(Gentianales) 과 : 협죽도과(Apocynaceae) 속 : 아데니움속(Adenium) 아데니움 관리 방법 햇빛을 좋아하고 10℃ 이상에서 월동하며 생육적온은 18℃ 이상이며, 30℃에서도 고온장해는 없다고 한다. 뿌리는 괴근이고, 개화시기는 5월~9월이며 겨울에는 건조 휴면시키는 경우가 많으나, 8°C 이상을 유지하면 상록으로 개화(開花)를 계속한다. 물을 좋아하는 아데니움의 물 주기는 봄, 가을에는 2일에 1회, 겨울에는 3~4일에 1회가 적당하다. 번식 방법으로는 ...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24
    유포르비아 멜로포르미스/만청옥/귀청옥/다육식물

    유포르비아 멜로포르미스 유포르비아 멜로포르미스(Euphorbia meloformis)는 만청옥 또는 귀청옥(貴靑玉)이라 유통되기도 한다. 선인장으로 착각하기 쉬운 유포르비아 멜로포르미스는 상처가 나면 흰 독성 액체가 흘러나오는 전형적인 유포르비아(Euphorbia)속 식물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유포르비아 오베사(Euphorbia obesa)와 같은 속이며 유포르비아 멜로포르미스에 금이 들어가면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멜로포르미스금(Euphorbia meloformis variegata)으로 고가에 유통되고 있다. 2018년 입주한 만청옥은 오성 장군을 닮은듯한 수형으로 국민다육으로 유통되고 있었다. 입주한지 7년째 접어들고 있는 만청옥은 보통 생장점 부위에서 꽃이 피는데 일조량이 부족한 베란다 환경에서는 유포르비아 오베사처럼 쉽게 꽃을 보여주고 있지 않다. 7년이란 세월의 흐름으로 밑동은 목질화가 되어가고 5성에서 6성 장군이 되어있다. 유포르비아 멜로포르미스는 성장 속도가 늦은 편이며 생장점 부위에 노란 꽃이 핀다. 유포르비아속 모든 식물은 피부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는 독성 수액을 생성하므로 애완동물과 어린이들은 항상 조심하여야 할 것이다. 유포르비아 멜로포르미스(Euphorbia meloformis) #멜로포르미스, #만청옥, #귀청옥, #유포르비아멜로포르미스, #Euphorbia, #meloformis, #貴靑玉, #유통명...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41
    아보카도 키우기/씨앗, 직파, 물발아, 수경재배, 발아 방법, 관리 방법, 분갈이 시기/아보카도 나무 3년 성장 일기

    아보카도(avocado) 키우기 아보카도를 씨앗부터 파종하여 3년 동안의 성장 과정 및 관리 방법과 분갈이 시기에 대하여 경험을 통한 포스팅 아보카도 키우기는 큰 씨앗이 매력적이며 주변에서 구하기 쉽고 키우는데 어려움이 없어 누구나 한 번쯤 키워보고 싶은 열대 과일나무이다. 관리 방법으로는 먼저 씨앗의 발아 방법을 선택하여 상토에 파종하고 물만 마르지 않도록 하여 주면 된다. 경험적으로 15cm 플분에 상토로 심어 일주일에 한 번씩 충분한 관수를 하여 주면 된다. 아보카도는 수경재배로도 어느 정도 크기까지는 키우는데도 문제가 없다. 분갈이는 뿌리 성장이 빨라 되도록이면 큰 화분에 심어주고 작은 화분부터 시작하면 분갈이를 자주 하여 주어야 한다. 아보카도 나무의 목대는 외목대로 자라며 어느 정도 자라면 쉽게 휘어지지 않아 어린 새싹이 성장할 때 수형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아보카도는 나무이므로 성장하며 어느 정도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도 생각해 봐야 한다. 아보카도 나무는 손이 많이 가지 않는 식물로 누구나 한 번쯤은 키우기에 도전해 볼만하다. 아보카도(avocado)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상록수로 열대 기후에서 잘 자라며 멕시코가 원산지이고 비타민과 미네랄이 많은 건강 과일로 퓨전 음식의 열풍과 함께 요리를 장식하거나 소스의 재료로 애용되고 있다. 2022년 2월 20일 아보카도 키우기 시작 아직 봄이 되지 않아 실내...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39
    난봉옥선인장의 은사(銀沙)에 대하여/은사난봉옥 무늬 만들기

    은사난봉옥선인장의 은사(銀沙)란? 난봉옥선인장의 은사(銀沙) 지우기 유성류선인장속(Astrophitum) 난봉옥선인장의 표면에는 하얀 모래를 뿌려 놓은 듯 무늬가 있어 크게는 은사난봉옥(銀沙鸞鳳玉)과 온즈카난봉옥으로 구분된다. 은사(銀沙)를 지워 무늬 만들기 오늘 실험할 은사난봉옥 난봉옥 표면에 있는 은사를 면봉 등으로 문지르면 하얀 가루가 떨어지며 무늬가 만들어진다. 난봉옥 은사(銀沙) 무늬 만들기 처음 난봉옥이 입주하고 청난봉옥 표면에 흰 점들이 보이기 시작하여 해충의 발생으로 오인하여 살균제와 살충제 등으로 문질러 닦아주니 깨끗하게 없어져서 박멸이 되었는지 알았는데 시간이 흐르고 나니 청난봉옥 표면에 있던 은사들이 없어지기도 하고 또다시 생겨나는 부위도 있어 은사 무늬를 문질러보니 제거가 되어 이것저것 검색하던 중에 은사 무늬를 강제로 지워(제거) 가며 무늬를 만들어 키우는 방법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 사전 학적으로 은사(銀沙) 란? 은빛을 띤 흰모래로 난봉옥 표면에 있는 은사가 지워(떨어)져서 회복되지 못하고 흉터로 남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난봉옥(鸞鳳玉)선인장 난봉옥(별선인장, 란봉옥) 선인장 유성류(아스트로피툼속) 선인장목(Cactales) 선인장과(Cactaceae) 유성류선인장속(Astrophitum)으로 Astrophytum 이란 속명은 그리스 어로 ‘별’을 뜻하는 aster와 ‘식물’을 뜻하는 phytum에...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15
    풍란 채종 준비/삭과/풍란 씨앗/풍란 번식/풍란 숯부작

    풍란(소엽풍란) 숯부작 숯부작 한 풍란을 가을에 인공수분을 실시하여 4개월 만에 씨앗이 여물어 채종 준비 20240921 풍란 인공수분 풍란의 씨앗이 삭과(蒴果)인 관계로 날아가는 씨앗을 막아주기 위하여 비닐봉지로 감싸줌 삭과(蒴果) : 익으면 과피(果皮)가 말라 쪼개지면서 씨를 퍼뜨리는 여러 개의 씨방으로 된 열매. 씨앗이 익어가는 한겨울에도 계절 감각을 잊은 듯 많지는 않지만 두 송이의 꽃망울을 터뜨리고 있다. 풍란 인공수분 https://m.blog.naver.com/jiseo21/223591161834 풍란 인공수분/씨앗/품종 개량/풍란 수정/풍란 번식 방법 풍란은 암술과 수술이 꼭꼭 숨어있어 특별한 방법 이외에는 좀처럼 씨앗을 생산하기 힘들다. 풍란의 인공수... m.blog.naver.com 풍란의 인공수분 과정 풍란(風蘭)이라 함은 소엽풍란(小葉風蘭)을 말하며 풍란(Sickle Neofinetia)의 품종 개량 및 대량 번식을 위하여 씨앗을 채종하여 번식한다. 풍란(風蘭)의 영문명은 sickle neofinetia이며 학명은 Neofinetia falcata (Thunb.) Hu로 난초과(Orchidaceae) 풍란속(Neofinetia)에 속한다. 풍란속은 풍란 한 종으로 이루어진 속으로서, 이는 풍란이 다른 난초과 식물들과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풍란의 이명으로는 풍란초, 소엽풍란, 부귀란...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23
    에케베리아 홍등 적심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 중/다육식물 적심

    에케베리아 홍등(Echeveria hongdeung) 적심(摘芯, topping, pinching) 대상에 오른 홍등 홍등이 입주 후 급격한 환경 변화로 웃자람과 물빠짐을 보여서 식물 LED의 도움을 받아 회복 중 2024년 7월 입주한 홍등 그러나 입주 때부터 붉은 물이 빠져 홍등 본연의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다. 설상가상으로 일조량이 부족한 베란다 환경에서 그나마 있던 붉은색도 빠지고 시퍼런 녹등이 되어버렸다. 할 수 없이 부족한 일조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식물 LED의 도움을 받기 시작하여 생장점 부위부터 다시 물들기 시작했다. 생장점 부위로부터 물들기 시작한 홍등은 더욱 진한 붉은색으로 물들기 시작하여 강렬한 붉은색의 멋진 홍등으로 거듭나고 있지만 환경 변화에 따른 성장 속도로 단차를 두고 있어 상단의 멋진 모습과는 다르게 하단과의 단차를 회복하지 못해 정상적인 모습으로 되돌리기 힘들 것 같아 적심(摘芯, topping, pinching)을 실시하여 완벽하게 붉은 물이 들은 상단과 하단을 분리(적심) 하여 새로운 자구를 받아 개체 수를 늘리거나 군생으로 키워보려 한다. 적심(摘芯, topping, pinching) : 생육 중인 작물의 줄기 또는 가지의 선단 생장점을 잘라주어 분지 수를 늘리거나 생육을 촉진하는 방법(순 자르기) 녹색에서 다시 생장점(상단)부터 완벽하게 붉은 물이 들어가고 있는 홍등을 과연 적심(摘芯)을 실시하여...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23
    다육이 적심(엘리카) 1년간의 변화/다육식물 키우기

    다육이 적심 엘리카 적심 1년간의 변화 엘리카 다육이 일조량 부족으로 키다리가 되어 적심 한 아랫부분은 2개의 자구를 만들어 성장하고 적심하여 삽목한 위쪽은 이번에도 웃자람이 있다. 엘리카 가족 2개의 자구를 가지고 성장 조금 더 웃자라 키가 크면 또다시 적심을 해야 할 상태 웃자람 없이 잘 자라는 잎꽂이 엘리카 처음 입주 시 예쁜 모습의 엘리카 꽃도 피고 예쁘게 성장하나 싶었는데 1년 만에 웃자람이 심해 적심을 실시 적심 한 원래의 엘리카와 잘라낸 엘리카 및 이파리 잘라낸 밑동은 그대로 관리하고 적심 한 위쪽은 새롭게 삽목하여 관리 떼어낸 잎은 잎꽂이 실시 적심하여 삽목한 엘리카는 일조량이 많이 필요한지 이번에도 웃자람을 보이며 이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질 못한다. 적심하고 그대로 관리한 아랫부분은 자구를 2개 내어 성장하며 적심 한 위쪽보다는 웃자람이 심하지 않다. 그나마 잎꽂이 한 엘리카는 웃자람 없이 성장 중이어서 식물 LED의 도움을 받아 원래의 예쁜 모습으로 만들어 보아야겠다. 적심한 후 엘리카 가족의 모습 적심과 잎꽂이로 쉽게 번식하는 국민다육 엘리카 #다육이적심, #엘리카, #다육이, #다육식물키우기, #자구, #웃자람, #잎꽂이, #일조량, #식물LED, #번식, #다육식물적심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22
    덴섬 가지치기 및 수형 만들기/덴섬 분재

    덴섬 수형 만들기 트리코디아데마 덴섬(Trichodiadema densum) 수형 만들기 덴섬을 분재 수형으로 만들기 위하여 가지 정리 2020년 4월 꽃대를 달고 입주하여 화려한 꽃을 만개하고 있다. 2020년 4월 말 꽃이 피고 있어 입주 분갈이를 못해 가지를 정리하고 분갈이를 실시 2021년 1월 일조량이 턱없이 부족하여 웃자람으로 키다리가 되어 바닥에 눕게되어 가지를 정리하고 지지대를 설치 덴섬(densum) 이름 : 트리코디아데마 덴섬(Trichodiadema densum) 학명 : Trichodiadema densum Schwantes 유통명 : 덴섬(densum) 2024년 4월 직립하지 못하는 가지들을 모두 과감하게 정리 2024년 12월 본격적으로 식물 LED의 도움을 주기 시작하여 2025년 1월 2달 만에 식물 LED의 효능을 입증하듯 튼실한 가지가 너무 빼곡하게 성장하고 있어 조금만 있으면 꽃피는 계절 꽃보는 것도 포기하고 과감하게 가지를 정리하여 분재 수형으로 유도하고 지지대를 설치 5개의 굵은가지만 방향을 유도하여 수형을 만들어주고 다음 분갈이 때는 뿌리 올려심기인 근상을 만들어 분재 수형을 만들어 나가려 함 가지 정리하고 나온 잘라낸 수많은 가지 중 몇 개를 개체를 늘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습관적으로 번식 상태가 궁금하여 덴섬 몇 개를 적심하여 삽목한 마옥 화분 귀퉁이에 삽목 몇 년 동안을 햇빛 없는 베란다 ...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28
    리톱스금(錦)의 허(虛)와 실(實)/다육식물금(錦)

    리톱스금을 본 적이 있으시나요? 리톱스금(錦)을 다른 식물의 금(錦)과 같이 금물(돌연변이)이 들었다고 볼 수 있을까? 리톱스 후케리(Lithops hookeri)금 리톱스 줄리(Lithops julii)금 리톱스 옵티카(Lithops optica)금 리톱스는 탈피(ecdysis, 脫皮)라는 과정을 통하여 성장과 번식을 한다. 그러나 탈피 과정에서 본의 아니게 외부 또는 환경의 영향으로 잎의 모습이 기형으로 변하거나 탈피하는 구엽에 신엽이 가려져 빛을 받지 못해 색깔이 변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변한 모습(색)을 가지고 금이라 하기도 한다. 또 이런 경우도 있다. 특히 한여름 무름병에 걸려 죽어가는 리톱스의 색깔이 화려하게 변하는 모습에 잠시나마 금물이 들어가는 모습으로 착각하는 초보 때의 일들이 생각이 난다. 나도풍란(대엽풍란)이나 풍란(소엽풍란) 등에서 잎의 모양과 색, 꽃의 모양과 색등이 개량(돌연변이) 되어 높은 금액에 거래되거나 우리가 접하기 쉬운 다육식물 중에는 선인장금과 원종방울복랑금 맥라이징금등 금의 종류도 다양하다. 그러나 이런 식물의 금(錦)은 금의 형태가 고착화되어 대를 이어 그 모습이 그대로 이어져 나가기 때문에 희소성이 있어 개발 초기에는 엄청난 고가에 개래가 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흘러 보급이 많이 이루어지면 국민 다육이가 된다. 예를 들어 방울복랑금은 처음 개량되었을 때 엄청난 고가에 거래되어 너도나도 ...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22
    코노피튬 분갈이(흙갈이)/다육이 배합토/다육식물 분갈이

    지난여름 입주한 코노피튬의 늦은 분갈이 입주 시 보통은 분갈이를 실시하지만 지난여름 입주한 코노피튬 몇 가지를 뒤늦게 분갈이 실시 5.5cm~7.5cm 플분에 식재된 코노들이 화분이 작고 배합토가 돌처럼 굳어 있어 늦게나마 조금 큰 플분으로 분갈이(화분갈이)를 실시하게 됨 코노피튬 빌로붐(Conophytum bilobum) 보라색 꽃 코노피튬 주큰덤(Conophytum jucundum) 코노피튬 빌로붐(Conophytum bilobum) 오렌지색 꽃 코노피튬 피시포르미(Conophytum ficiforme) 오늘 분갈이할 코노피튬 4종 첫 번째 분갈이할 코노피튬 빌로붐으로 배합토가 대나무 꼬챙이가 들어가기 힘들 정도로 딱딱하게 굳어 있어 분에서 뽑아보니 뿌리가 가득하여 뿌리 정리 마찬가지로 모두 분에서 뽑아 뿌리 정리 그러나 피시포르미의 배합토가 굵은 모래가 많아서인지 뿌리가 없어 성장을 하지 못해서 지난번 탈피 때 유독 혼자서만 배분할 탈피를 하지 못하고 외두 탈피를 한 이유인 것 같다. 늦게나마 이유를 알고 목질화된 뿌리를 모두 제거하고 새롭게 뿌리를 받으려 뿌리를 짧게 정리 분갈이 용토로는 평소와는 조금 다르게 코노피튬의 세력을 키우기 위하여 상토 대신 비료 성분이 포함된 배양토를 사용 배양토, 마사토, 펄라이트, 산야초를 사용 분갈이(흙갈이, 화분갈이)를 마치고 화장토로 마감하여 이름표에 분갈이 날짜를 기록하여 화분에 꽂아줌 ...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60
    파인애플 키우기 2년 성장 일기, 씨앗, 파종, 물발아, 물꽂이, 삽목, 관리 방법, 홈 가드닝

    파인애플 키우기에 도전(홈 가드닝) 요즘 유행하는 홈(베란다, 발코니) 가드닝으로 집에서 파인애플 키우기에 도전해 봄으로써 파인애플의 꽃과 열매를 감상할 수 있고 아이들에게는 좋은 관찰 교육이 되리라고 생각되어 파인애플 키우기에 도전 *파인애플(pineapple) 상식* 파인애플(pineapple, 학명: Ananas comosus)은 열대 남아메리카 북부 원산 파인애플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다. 파인애플의 어원은 열매의 모습이 솔방울을 닮아서 1690년대 이전에 영어 솔방울을 지칭하던 'Pineapple'에서 유래되었다. 현재 솔방울은 파인애플과의 혼동을 막기 위해 'Pine cone'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애플은 사과라는 뜻 외에도 둥근 과일, 열매를 의미하는 보통명사이므로 파인애플은 솔방울을 닮은 열매, 과일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파인애플(pineapple)* 파인애플은 외떡잎식물 파인애플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북부 원산이다. 재배는 연평균기온 20℃ 이상의 열대의 평지로부터 해발고도 800m까지가 적지이며 바람이 잘 통하고 배수가 잘 되는 기름진 사양토가 좋다. 꽃은 엷은 자줏빛을 띤 남색 또는 자줏빛을 띤 붉은색이며 나선 모양으로 늘어선 짙은 갈색이 섞인 붉은빛의 작은 포(苞)에 붙는다. 꽃이 핀 꽃차례는 재배지의 온도에 따라 3~5개월 만에 과실을 수확할 수 있다. 파인애플 꽃은 수정 없이 처녀...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26
    베란다의 모과나무가 계절 감각을 잊어버렸다/홈 가드닝

    계절 감각이 없어진 모과나무 모과나무는 나무에 달린 참외라는 뜻의 목과(木瓜)에서 모과나무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베란다의 모과나무가 아직도 파란 잎이 무성하게 달려있어 계절을 잊은듯하다. 블로그의 지난 오늘 글을 보니 새싹이 돋아나며 이른 봄소식을 알린다고 되어 있는데 올해 모과나무는 새싹이 돋아 나기는 하는데 아직도 지난해의 푸른 잎들을 그대로 달고 있어 계절 감각을 잊은 게 확실하다. 노지보다 따뜻한 베란다지만 연말이면 노란 단풍이 들며 낙엽이 지고 벌거숭이가 되어 노지보다 따뜻한 베란다에서는 1월 중순이면 이른 봄을 알리는 새싹이 돋아나곤 했었는데 올해 베란다에서는 이상 기온(?) 때문인지 따뜻했던 날씨 때문에 가지 끝의 생장점은 말랐지만 푸른 잎을 아직도 버리지 못하고 그대로 달고 있다. 지난해 베란다 천장에 가지가 닿아서 잘라주고 잎이 떨어지면 수형을 잡기 위하여 가지도 잘라 주어야 하는데 올해는 낙엽이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새싹이 나오고 수피(樹皮)가 붉은빛을 띠며 조각이 벗겨지는 멋짐 모습 대신 지난해 수피 모습 그대로를 하고 있다. 지난해의 잎과 올해의 새싹과 꽃눈이 공존하는 상태에서 모과 꽃이 피고 예쁜 모과 열매가 달릴지 몰라 한 해의 모과 농사를 망치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예년보다 따뜻했던 베란다 기온이 모과나무 화분의 계절감을 잃게 하여 올해의 모과나무 꽃과 열매가 걱정이 된다. #모과나무, #베란다모과나...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57
    선인장 가시 걱정 없는 투구, 난봉옥선인장의 유묘들 세계/가시 없는 선인장

    선인장을 키우다 보면 가시에 한두 번쯤은 찔려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언제부터인가 가시가 없는 간혹 있어도 찔리지 않는 선인장 종류만을 찾고 있다. 투구와 난봉옥선인장 유묘 투구와 난봉옥선인장의 씨앗을 파종하여 멋진 선인장을 만들어 보려 한다. 우연히 키우게 된 은사난봉옥과 청난봉옥 파종에서 나온 멋진 난봉옥금 선인장과 생장점에 몇 개의 가시가 있는 은사반야난봉옥선인장 그리고 가시가 조금 더 많은 은사반야난봉옥선인장 가시가 험악하게 길고 많은 은사반야난봉옥선인장 생장점에 가시가 아닌 털이 소복하게 나와있는 8각 능의 은사반야(?)난봉옥선인장등 정말 다양한 난봉옥선인장이 파종으로부터 나와 키우는 재미를 더해준다. 이웃으로부터 나눔 받아 파종한 슈퍼투구선인장과 투구교배종(하이브리드) 유묘(幼苗)도 이제 제법 투구의 모습을 갖추어 가고 있다. 투구에 금이 들어간 선인장(仙人掌)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투구교배종(하이브리드) 투구선인장은 별선인장(sand dollar)이라고도 한다. 학명 : Astrophytum asterias (Zucc.) Lem. 생물학적 분류 계 : 식물계(Plantae)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석죽목(Caryophyllales) 과 : 선인장과(Cactaceae) 속 : 아스트로피툼속(Astrophytum) 나눔 받아 파종한 투구교배종은 암수 어떤 종류의 선인장이 교배되어 얻...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27
    코노피튬 분갈이 후 뿌리 성장 40일간의 관찰 기록/관리 방법/코노피튬 키우기(초보자 용)

    코노피튬 빌로붐(Conophytum bilobum) 분갈이 후 뿌리 성장 40일간의 관찰 기록 다육식물인 코노피튬을 키우기 위하여 알아두어야 할 초보자를 위한 기본 상식 코노피튬의 분갈이 후 뿌리 성장 과정 및 관수 등의 관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40일간의 관찰을 실시함. 관찰용으로 코노피튬 빌로붐(Conophytum bilobum)을 준비 투명 용기에 식재 관찰 1일 경과 (관찰을 시작함) 코노피튬의 뿌리를 정리하여 목질 부분을 정리하여 준비함 관찰 15일 경과 코노피튬의 새로운 뿌리가 아직까지도 관찰되고 있지 않다. 관찰 20일 경과 코노피튬의 뿌리가 아직 관찰되지 않고 있다. (생육이 왕성한 분갈이의 계절인 봄과 가을이 아니고 겨울에 실험) 관찰 25일 경과 코노피튬의 뿌리가 목질과 근심 사이에서 성장하고 있다. 관찰 30일 경과 코노피튬의 뿌리가 성장하며 미세 뿌리가 발달하고 있다. 관찰 35일 경과 뿌리가 굵고 잘 발달하고 있다. 관찰 40일 경과 미세 뿌리가 매우 발달하며 뒤쪽으로도 뿌리가 발달하고 있다. 관찰 40일 경과(관찰 종료) 투명 컵이 뿌리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검은색으로 빛을 차단하여 줌 실험용 투명 컵에서 꽃이 피고 탈피도 하여 지난해 2두에서 5두로 탈피하고 올해는 5두에서 몇두로 탈피를 할지 왕성한 번식력이 궁금하다. 실험용 투명 컵에서 두 번의 탈피를 거치는 동안 뿌리가 가득하여 정식으로 분갈이...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44
    리톱스 분갈이 후 뿌리 성장 30일간의 관찰 기록/뿌리 정리/상처 치료/배합토 비율/흙갈이/물 주기 요령/리톱스 키우기(초보자 용)

    리톱스 키우기의 모든 것 다육식물인 리톱스(Lithops)를 키우기 위하여 알아두어야 할 초보자를 위한 기본 상식 리톱스 이름의 유래 리톱스(lithops) 이름은 "돌"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λίθος(líthos)와 "얼굴"을 의미하는 ὄψ(óps)의 합성어로 식물의 모습이 돌 같은 모양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리톱스의 활발한 생육기간은 개화시기와 겹치는 9~11월 말 무렵으로 연말 무렵부터 새싹(신엽)이 성장하며 2월 말~3월에 구엽이 마르며 신엽이 올라오는 탈피 과정을 거쳐 배분할로 증식도 하는 다육식물로 사랑받고 있다. 리톱스 분갈이 후 30일간의 기록 리톱스의 분갈이 후 뿌리 성장 과정 및 관수 등의 관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30일간의 관찰을 실시함 분갈이 예정인 리톱스 풀비셉스를 준비 콜 넘 버 : C284 식물 학명 : 리톱스 풀비셉스 변종 풀비셉스 Lithops fulviceps v. fulviceps 관찰용으로 준비한 리톱스 풀비셉스 관찰 1일 경과(관찰을 시작함) 리톱스의 뿌리를 정리하여 목질 부분을 제거해 준비하여 투명 용기에 식재(뿌리를 며칠간 건조시켜 안전하게 식재하여 주기도 함) Tip : 뿌리 정리 및 분갈이 방법은 아래 다시 기록함 식재 시 리톱스 뿌리가 굵은 마사, 펄라이트 등으로 배합토와 공간이 생길 수 있으므로 뿌리 부위에만 상토를 조금만 복토하여 뿌리 활착을 빠르게 할 수 있다. 관찰 15...

    상세 화면으로 이동
  • 청산에 살어리랏다
    이미지 수3
    찻잔(산울림, 노고지리)/7080 추억의 노래 : 음악 쉼터

    찻잔(산울림) https://youtu.be/6t-bmMS_RGw?si=rILOxdclFUAWqQfZ 찻잔(노고지리) https://youtu.be/sqsFyuB5oCs?si=1uh-6TK97GyfG1Wl 1980년 발매한 산울림 6집 앨범 앨범 부제 : 조금만 기다려요, 못잊어, 어느 비내리던 날 발매일 : 1980년 5월 5일 제작사 : 서라벌레코오드사 앨범유형 : 정규앨범 찻잔 (산울림) 너무 진하지 않은 향기를 담고 진한 갈색 탁자에 다소곳이 말을 건네기도 어색하게 너는 너무도 조용히 지키고 있구나 너를 만지면 손 끝이 따뜻해 온 몸에 너의 열기가 퍼져 소리없는 정이 내게로 흐른다 간주중 너무 진하지 않은 향기를 담고 진한 갈색 탁자에 다소곳이 말을 건네기도 어색하게 너는 너무도 조용히 지키고 있구나 너를 만지면 손 끝이 따뜻해 온 몸에 너의 열기가 퍼져 소리없는 정이 내게로 흐른다 #찻잔, #산울림, #노고지리, #7080추억의노래, #음악쉼터, #산울림6집앨범

    상세 화면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