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연년생 다둥이맘 베베유니입니다 : ) 아이를 계획하고 계신 부부라면, '언제쯤 우리에게 천사가 다가올까?' 라는 기대감을 갖고 계실텐데요 저도 첫 아이를 가졌을 때 임신과 관련한 단어가 왜인지 입에 '착' 달라붙지 않아서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가임기 뜻 계산 방법 임신확률과 가능성, 이 시기의 증상 및 배란일과의 차이는 뭐가 있는지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1. 가임기 뜻 가임기 뜻부터 알아보면 생리주기와 관련해서 임신 확률이 높은 기간을 의미한답니다 배란일 기준으로 5일 전에서 2일 뒤까지 (전후로는 약 5~7일 정도) 이며 이 시기에 관계를 갖는다면 임신가능성은 20~30% 사이가 된답니다 다른 뜻으로는 임신이 가능한 연령 범위를 뜻하기도 하며, 초경을 시작하는 10대 ~ 폐경전까지를 의미합니다 2. 임신 가임기 계산 3가지 방법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3가지 가임기 계산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날짜계산법 생리 주기가 일정한 경우 생리예정일 - 14일 = 배란일로 계산할 수 있어요 2) 배란일계산기 NAVER 검색창에 [가임기계산]을 쓰면 바로 뜰거예요 월경주기를 모를 경우와, 주기로 알아보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주기를 이용한 크나우스 오기노법(리듬 조절법)에 준해서 날짜를 알려 준답니다 마지막 생리 시작일을 적고 최근 6개월 간의 짧고 길었던 월경주기를 기록 후 확인하면 알 수 있어요 *생...
아이를 준비하는 동안 우리는 처음 보는 단어를 듣고 당황하기도 하고, '이게 맞나?' 싶은 은근히 애매한 계산도 해보는 경험을 하게 되죠 자연임신으로 이미 두 줄이 나온 게 아니라면, 준비중에 '가임기'와 '배란일'에 대한 계산 방법을 찾아보는데 영- 쉽지 않은 느낌이에요 저도 한참 찾아볼 때 정리가 어려웠던만큼, 조금 더 쉽게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1. 가임기 뜻 가임기 뜻은 '임신이 가능한 기간'을 의미하며 정자와 난자가 만날 수 있는 시기로 배란 전 5일 ~ 배란 후 2일까지 약 7일간의 기간을 가져요 생리주기 28일을 기준으로 예정일 - 14일을 빼면 '배란일'이기 때문에 가임기는 비슷한 날짜라고 생각하면 조금 더 기억하기 편할거예요 2. 배란일 뜻 배란일 뜻은 성숙한 난자가 난소에서 배출되는 날로, 난자는 약 24시간동안 생존할 수 있어요 정자가 평균 3일간 살아있는 걸 고려했을 때 배란일 기준으로 2~3일 전에 관계를 자주 해준다면 임신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해요 3. 가임기 임신확률 얼마나? 배.란.일 : 25~30% 배.란.일 전 후 2일 : 20% 가임기 : 약 20~30% 평균적으로 이 시기에는 통틀어 20~30퍼센트의 확률로 임신확률이 나타나는데요 생리 예정일 8월 28일 > 배.란.일 : 8월 14일 > 8월 11일~17일 = 가능성 UP 여기서 주의할 점은, '가능성' 즉 임신확률이 비교적 높은 것이기 때문에...
안녕하세요- 연년생 다둥이 엄마 베베유니입니다 오늘은 소중한 생명을 맞이하는 시간을 계획하고 있는 분들이나 작은 천사를 기대하고 계신 분들을 위해 다둥이 엄마의 경험담과 함께 육아정보를 나누는 시간을 가져봐요 가-임? 배-란? 무슨 말이지? 처음 듣는 단어들을 보고 당황했던 초보 엄마일 때가 생각나요 평소에는 접할 일이 없는 단어라서 들으면 어렵고 이해가 잘 가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조금 더 쉽게 뜻부터 계산 방법까지 설명해드릴게요 가임기 뜻 시기 배란기 뜻은? 가임기 뜻 : 임신이 가능한 기간 배란기 뜻 : 성숙한 난자가 난소에서 배출되는 시기 이 두 단어의 뜻을 먼저 이해하면 조금 더 쉬워져요 조합해보면 성숙한 난자가 난소에서 배출되면서 임신이 가능한 기간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요 가임기 시기는 기초체온을 체크해서 평소보다 높다면 배란이 되는 날의 전 후로 약 3~5일 사이를 잡아주시면 된답니다 배란일은 평균적으로 생리 주기가 규칙적이라면 (30일,28일 등) 예정일에서 14일 전을 기간으로 잡아요 요즘은 어플, 테스트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으니 미리 달력에 체크해두는 방법도 있어요 배란기 체온은? 어플이나 달력에 체크하는 방법 외에도 체온계로 기초 체온을 확인해서 알 수 있어요 주의할 점은, 아침에 일어나서 움직임이 덜한 상태로 측정해줘야 된다는 점. 일상 활동 중에는 큰 의미가 없다고 해요 (움직임, 식사, 생활 습관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