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도우미 정부 지원 제도와 서울시 산후조리경비 지원제도에 대해 소개합니다. 출산 후 산모 건강관리를 위한 제도에 대해 숙지하셔서 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
- 산후도우미는 엄마의 산후 조리와 신생아 돌봄을 위해 이용 가능
- 산모신생아건강관리사의 가정 방문으로 서비스 제공
- 정부 지원금은 소득에 따라 일부 지원 가능
- 산후도우미 정부 지원 대상은 국내에 주민등록 혹은 외국인 등록을 둔 출산 가정
- 산후도우미 정부 지원 선정 기준은 산모 또는 배우자가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 산후조리원 정부 지원 150% 소득 기준은 맞벌이부부인 경우, 부부 중 낮은 건강보험료 1/2을 감경한 후 합산
- 산모신생아건강관리사 산후도우미 신청은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 보건소 또는 복지로 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신청 가능
- 임신 16주 이상 발생한 유산사산의 경우 확인일로부터 30일 이내,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 신생아 퇴원일로부터 30일 이내 신청 가능
- 2025년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임산부 혜택 소개
-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1인당 70만원의 교통비 지원
- 산후조리경비 지원 사업: 1인당 100만원의 산후조리 경비 지원
- 엄마 북돋움 사업: 엄마아빠책, 아이책, 정책정보 안내책자 지원
- 임산부 혜택은 임신 3개월부터 출산 후 3개월까지 신청 가능
- 산후조리경비는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신청 가능
- 서울시맘케어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신청 또는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 가능
- 산후조리경비 바우처는 산모신생아건강관리 서비스, 의약품 등에 사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