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CPI 발표날마다 주식 시장이 요동치는 이유는?"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CPI(소비자물가지수)와 PPI(생산자물가지수), 단순히 물가 관련 지표라고만 알고 있다면 제대로 이해한 게 아닙니다.
CPI는 소비자가 직접 체감하는 물가 수준을 보여주고, PPI는 기업이 생산하는 단계에서의 물가 변동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특히 CPI와 PPI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이기 때문에, 이 수치에 따라 주식, 채권, 외환 시장이 크게 움직이죠.
그렇다면, CPI와 PPI가 경제와 투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고, 이를 활용한 투자 전략은 어떻게 세워야 할까요?
이번 토픽에서는 미국 CPI와 PPI의 정확한 의미와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포인트를 알아볼게요.
- CPI와 PPI는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중요한 가격 지수이다.
- CPI는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화를 측정한다.
- PPI는 상품이 최초로 상업 거래될 때의 가격을 측정한다.
- CPI와 PPI는 연준의 통화 정책 결정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 CPI는 소비자 물가의 변동을, PPI는 생산자 물가의 변화를 보여준다.
- CPI와 PPI의 발표는 미국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은 인플레이션 지표와 점도표, FOMC 구성원들의 발언 등으로 예측 가능
- 인플레이션 지표 중 PCE CPI가 대표적
-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높게 나올 수 있지만, 연준의 2% 목표를 향한 경로와 크게 동떨어지지 않을 것이라 발언
- 연준 정책 스탠스는 제약적이며, 2% 도달 때까지 금리 인하 개시를 기다리는 생각에 동의하지 않음
- PCE와 CPI는 모두 소비자물가지수를 측정하는 지표이지만, 가중치가 달라 실제 물가상승률이 다르게 반영됨
- PCE는 부동산 렌트비 비중이 낮고, 더 넓은 상품과 서비스 범위를 포함하므로 더 선호됨
- 미국 PCE 발표시간은 한국시간 기준 매달 말 보통 목요일이나 금요일 오후 10시 30분
- 미국 CPI 발표시간은 보통 매월 11 ~ 14일쯤 발표되며, 2월 기준 한국시간 오후 10시 3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