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투자하려면 무조건 S&P500부터 알아야 한다?"
많은 투자자들이 S&P500을 미국 시장의 대표 지수로 꼽습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같은 초대형 기업 500개로 구성된 지수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수익률을 2배로 만들 수 있는 ETF도 있습니다. 바로 2배 레버리지 ETF인데요.
이 ETF는 S&P500의 상승 폭을 두 배로 따라가기 때문에, 강세장에서는 수익이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하락장에서는 손실도 그만큼 커질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죠.
그렇다면 S&P500이란 무엇이고, 2배 레버리지 ETF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며, 투자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이번 토픽에서는 S&P500의 개념과 2배 레버리지 ETF의 구조 및 장단점을 알아볼게요.
- 주가지수는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주가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
- 주가지수는 주가 평균법과 주가 지수 방식으로 계산
- 우리나라는 스탠더드 앤드 푸어 회사의 시가총액식 방법을 활용
- 주가지수의 상승과 하락은 국가의 경제 상태를 대변
- 주가지수는 경기선행지수로 활용되며, 투자 판단 지표로 활용
- 우리나라에는 코스피, 코스닥, 미국에는 에쓰앤피500, 다우, 나스닥 지수 등이 있음
- 미국 S&P500은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의 주식을 모아 만든 지수
- S&P500에 관심이 있다면 ETF를 매수하는 것이 좋음
- ETF는 다양한 종목이 있으며, 환헷지 상품을 선택하면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음
- QLD SSO USD ETF는 각각 나스닥100, S&P500, 미국 반도체 지수를 2배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 상품이다.
- QLD ETF는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등 기술주의 비중이 높다.
- SSO ETF는 대형 기술주와 금융, 헬스케어 등 다양한 대형주가 포함되어 있다.
- USD ETF는 엔비디아, 브로드컴, AMD, 퀄컴, 어플라이드, 램리서치 등 반도체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들 ETF는 모두 ProShares 자산 운용사의 상품으로, 2배 레버리지 상품이기 때문에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