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펀드EBITDA 영업이익 한계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총이익 이익잉여금 개념 정리
3일 전콘텐츠 2

기업의 재무 상태를 평가할 때 EBITDA, 영업이익, 한계이익, 매출총이익, 당기순이익, 이익잉여금과 같은 다양한 지표가 활용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기업의 수익성, 현금 창출 능력, 비용 구조 등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EBITDA는 감가상각비 등을 제외한 순수한 영업 성과를 나타내며,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영업이익은 본업에서 발생한 수익성을 보여주며, 한계이익은 추가적인 매출에 따른 이익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한편, 매출총이익은 매출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한 값으로 기업의 기본적인 수익성을 측정하는 지표이며, 당기순이익은 이자 비용, 세금 등을 차감한 기업의 최종 이익을 의미합니다. 이익잉여금은 누적된 순이익에서 배당금을 제외한 금액으로,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번 토픽에서는 EBITDA, 영업이익, 한계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총이익, 이익잉여금 개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01.EBITDA 영업이익 한계이익

EBITDA, 영업이익, 한계이익은 기업의 재무 성과와 수익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EBITDA(이자·세금·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는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을 나타내며, M&A나 기업가치 평가 시 많이 활용됩니다. 영업이익은 매출에서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를 차감한 금액으로, 기업의 핵심 사업 수익성을 분석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한계이익은 매출에서 변동비를 제외한 금액으로, 추가 매출 발생 시 이익 증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손익분기점(BEP) 분석과 가격 전략 수립에 활용됩니다. 각각의 지표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다각도로 평가하는 데 필수적이며, 투자와 경영 의사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블로그에서 더보기
02.당기순이익 매출총이익 이익잉여금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이자비용, 법인세 등을 차감한 기업의 최종 이익으로, 주주 배당이나 재투자에 활용됩니다.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값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본적인 수익성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이익잉여금은 누적된 순이익에서 배당금을 제외한 금액으로, 기업이 미래 투자나 비상자금으로 활용하는 재무적 안전성을 보여줍니다.

블로그에서 더보기
#영업이익률#영업이익#당기순이익#EBITDA#ebitda#매출총이익#ebitda계산#이익잉여금#영업이익계산#영업이익뜻#당기순이익뜻#매출총이익뜻#공헌이익#한계이익률#한계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