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투자 포트폴리오에 관심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저는 시장상황이나 배당수익률을 고려하여 투자포트폴리오를 짜고 있는데요.
(요즘은 저는 고배당주 위주로 가고 있음..)
요즘에는 RA라고 로보어드바이저로 AI투자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고 합니다.
(물론 코스콤 테스트 통과도 까다로움!!)
같이 로보어드바이저 살펴보면서 국민연금 포트폴리오도 살펴볼까요?
- 로보어드바이저는 빅데이터, 알고리즘 등에 기반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포트폴리오의 자문이나 운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자산 관리서비스
- 로보어드바이저는 로봇과 어드바이저의 합성어로, 낮은 비용으로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음
- AI의 고도화로 신뢰성이 높아져 자산운용에도 적용 가능
- 로보어드바이저는 투자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거나 시간을 쏟기 어려운 투자자에게 적합
- 글로벌 RA운용자산 규모는 2025년 2조 8,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
- 국내에서는 미래에셋증권과 키움증권이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제공
- 미래에셋증권의 로보어드바이저는 자산배분, 상품선택, 변경시점을 판단하는 세 개의 모델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포트폴리오 운용 시스템
- 키움증권의 로보어드바이저는 '키우GO'라는 이름으로, 투자목표 달성을 위한 최적의 자산군 비중을 결정하고 세부 종목간 투자비율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사용
- 국민연금은 1998년에 설치되었으며, 2023년 6월 말 현재 983조원 규모의 대형 글로벌 연기금 중 하나임.
- 1999년에 설치된 기금 운용 전담조직인 기금운용본부가 국민연금기금을 체계적/전문적으로 관리, 운영함.
- 2003년에 기금 100조원을 돌파하였으며, 이후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줌.
- 연금보험료 822조 원, 연금지급 357조 원, 운용수익금 648조원으로 총 1,113조 원의 기금적립금을 보유함.
- 국민연금의 기금운용 계획은 중기자산배분에 의한 자산군별 목표비중 등을 반영한 이행계획 상의 연도별 운용계획임.
- 금융자산 중 대체투자가 살짝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의 투자 비중은 증가하고, 채권의 투자비중은 감소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