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장담그는날 장담그기 좋은 날 소금물 만들기 소금 물 비율 된장담그는방법 안녕하세요, 제제에요. 작년부터 11월 고추장을 담그려고 다 준비해 놓고 벼르다 해를 넘기더니 장담그기도 계속 미루다가 어제, 2025년 2월 18일, 음력으로 정월 스무하루, 말날이자 우수에 장담그기를 했어요. 날짜를 맞추려고 한 것은 아닌데 보통 장담그는 사람들이 손 꼽아서 장담그기 좋은 날로 꼽는 음력 정월 말( 午 )날 장을 담갔어요. 남쪽은 북쪽보다 따뜻해서 보통 음력 정월에 장을 담그는데요 추운지방에서는 삼월장도 많이 담그는데 갈수록 봄 기온이 급작스럽게 높아지니 저희가 사는 추운 곳에서도 이제는 정월장을 담가야 안심입니다. 이렇게 장을 담가 놓고 60일에서 90일 사이에 장가르기를 하는데 이렇게 해서 갈라진 것이 된장과 조선간장입니다. 맛있는 된장과 국간장을 만드는 첫번째는 잘 띄운 메주와 좋은 물과 소금으로 장담그기를 하고 햇볕이 좋은 장독대에서 잘 익어서 장과 된장을 가르고 나서도 장독대에서 숙성이 되어야 맛있는 된장이 됩니다. 장담그기는 메주를 기본으로 해서 물을 준비하고 소금을 준비합니다. 메주와 물과 소금의 비율을 자세하게 알려 드리겠습니다. 장담그기 된장담그는법 재료 메주 6kg 물15L 간수 뺀 천일염 3kg 숯 건고추 대추 <메주, 물, 소금 비율> 메주 1kg에 물 2.5L 메주 6kg=물 15L 물 1L에 소금 200g 물...
장가르기 된장가르기 간장달이기 장달이는법 2024년 된장만들기 조선간장만들기 안녕하세요, 제제에요. 장 달이는 날은 냄새가 온 집안에 퍼지고 집안뿐만 아니라 동구밖까지 우리집 장 달여요~~ 하고 동네방네 광고하던 어린 날 기억이 새롭습니다. 된장 간장을 섞어 놓은 듯한 꿈꿈하고 이상한 이 냄새가 싫어서 코 잡고 찡긋 하곤 했는데, 지금은 이 냄새마저 아련한 추억을 소환해 그립고, 그 냄새 속에는 수건을 머리에 두르고 장을 가르던 음식에 진심이신 친정어머니가 떠오릅니다. 이르게 장가르기를 했어요. 장가르는 시기는 장담그기를 하고 보통 60일이 지나 된장과 장을 가르는데 올해는 예년에 비해 더위가 더 빨리 오는 통에 베란다에 담가둔 장 항아리가 열기에 푹푹 찌는 것 같더라고요. 맛과 냄새는 아직까지 참 좋아서 더 두었다가는 무슨 사달이 날지 몰라 부랴부랴 장가르기를 했어요. 2024년 3월 7일, 음력 정월 스무이레, 즉 음력 1월 27일 장 담그기를 했는데 60일을 채우지 못하고 53일만에 장가르기를 했어요. 숙성이 되어 장이 된 항아리 속에서 된장이 된 메주를 꺼내서 으깨 부수어 꼭꼭 눌러서 채운 된장항아리와 항아리에 남아 있던 조선장은 베보자기에 걸러서 달여 주는 과정, 2024년 장가르기, 된장가르기 소개해 드릴게요. 장가르기 된장가르기 항아리 속에서 먼저 메주를 꺼내 줍니다. 메주는 소금물 속에서 거의 2달을 담가져서 쏟아질 수...
2024년 장 담그기 장담그기좋은날 메주 물 소금 비율 1년 된장 담그는법 안녕하세요, 제제에요. 2024년 3월 7일, 음력 정월 스무이레, 말(午)날, 장담그기 했어요. 장담그기는 잘 띄운 메주를 소금물에 담가 숙성시켜 60일에서 90일 사이에 장가르기를 하는데 이 장 가르는 것이 된장과 조선간장으로 분리하는 것이에요. 잠 담그는 시기도 날이 더워지기 전에 좋은 날을 잡아서 하는데요, 주로 음력 정월에 12간지 중의 말(午) 날을 잡아 담는데, 정월은 1월을 의미해요. 지금은 기상예보를 보고 적당한 날을 잡는 것이 좋더라고요. 남쪽이라면 이미 정월장을 다 담가 끝냈으리라 생각됩니다. 여기는 기온차가 너무 크고 비와 눈도 잦은데다 불쑥 추워져서 영하 10도까지 내려가기도 해서 기상 관측하는 것이 습관이 되어 버렸어요. 저도 어제 음력 정월 마지막 말날인 1월27일(양력 3월7일) 장담그기를 끝냈어요. 어쨋든 정월장 담갔어요 ㅎㅎ 잘 띄운 메주만 있으면 장 담그는 것은 어렵지 않아요. 메주에 따른 적당량의 물과 소금의 비율만 알고 계시면 장담그기 잘 할 수 있어요. 지금부터 장 담그는 방법, 메주와 물과 소금의 비율을 자세하게 알려 드릴테니 도전해 보세요. 2024년 장 담그기 된장 담그는법 재료 메주 7kg(4개) 물 17L 소금 3.4kg ( 메주 1kg에 물 2.5L, 물 1L에 소금 200g 적당, 물의 양은 조선간장의 필요에...
장 담그기 2023년 장담그기 좋은날 잘 띄운 메주로 1년 된장 만들기 안녕하세요, 제제에요. 2023년 장담그기를 했어요. 이곳은 많이 추운곳이라서 입춘이 지나고도 밤에는 기온이 영하10도를 넘나들어요. 새벽에는 어찌나 춥던지 한 겨울보다 더 춥다고 투덜거렸네요. 차에 시동을 거는데 전날 멈춘 온도에서 뚝뚝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7도까지 내려가니 입춘을 넘긴 제 마음이 더 추운것 같았어요. 장 담그려고 계속 날씨를 체크 해 보니 이제 밤에도 영하 5도 이하는 안 내려갈듯 해서 드디어 #장담그기 했어요. 잘 띄운 메주만 있으면 장 담그기는 참 쉬워요. 장을 담그는 것은 1년 된장을 만드는 과정인데요, 잘 띄운 메주를 적당한 소금물에 담가서 보통 60일 이후에 장가르기를 하는데, 이 과정이 장과 된장을 분리하는 과정이에요. 장 담그는 시기와 날도 가려서 많이 담는데요, #장담그기좋은날 은 주로 정월에 말(午)날을 택해서 담는데, 정월은 음력으로 1월을 의미해요. 2023년 정월 말날은 2월 5일,17일이고요, 음력 2월로 넘어가서 2월장, 말날은 3월 1일, 13일입니다. 저희는 워낙 추운곳이라 이런 날도 좋지만 기온을 보고 장을 담그게 됩니다. 따뜻한 남쪽에서는 정월장을 필수로 담그셨던 어머니는 날이 더워지면 변질되지 않게 소금을 더 넣어야 하니, 쨍한 정월에 담는 것이 좋다고 하셨던것 같아요. 장담그기는 기본만 알면 정말 쉽고, 또...
된장가르기 장가르기 된장과 장 분리하는법 안녕하세요. 제제에요. 오늘 장가르기 했어요. 된장을 담근지, 정확히 말하면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지 딱 60일이 지났어요. 지난 2월 22일 된장을 담갔는데, 오늘이 4월 24일, 2월이 28일까지니까 딱 60일만에 장 가르기를 하네요. 보통 60일장을 담그니 날은 제대로 잡았네요. #된장가르기 는 메주를 소금물에 담가서 60일부터 90일이 지나면 된장과 장으로 분리를 하는데 제가 장을 담가보면 60일 정도가 알맞은것 같아요. 때에 따라서 3월장을 담갔는데 날씨가 너무 더워지면 45일만에 장가르기도 하고 그렇게 되더라고요. 위의 저렇게 담았던 장을 된장과 장으로 분리하면~ 이렇게 되는데, 올해는 남편의 성화에 못 이겨 고추씨를 빻아와서 섞어서 조금 따로 담아서 된장항아리 2개와 장항아리, 이렇게 3개가 되었어요. #된장가르기 #장가르기 소개 해 볼게요. 60일동안 소금물에서 불은 메주를 꺼냅니다. 그 동안 빨래 널며 들락날락하며 콕 찍어 장 맛을 보았는데 구수하고 맛있더라고요. 먼저 숯이랑 대추 고추를 건져낸 다음에요, 남편이 모두 건져놓았더라고요 ㅎㅎ 메주를 꺼낼때 조심조심, 옆에 큰 다라이를 두고 항아리에 바짝 대서 여차 하는 순간 메주가 와르르 쏟아질때 얼른 받쳐주어야 해요. 올해 메주가 유난히 크고 납작해서 꺼내기도 힘들고 항아리안에서 조각이 나서 건지느라 힘들었어요. 메주가 너무 크면...
장담그기 잘 띄운 메주로 정월 된장담그기 안녕하세요, 제제에요. 오늘이 2022년 2월 22일, 정월장 담기 좋은 날이라 #장담그기 했어요. 장담그기는 1년 먹을 된장을 만드는거라서 좋은 재료를 가지고 알맞은 때에 담그는거라 해마다 날짜를 따져보고 잡아서 담아요. 이곳은 대한민국에서도 좀 추운곳에 속해서 예전에는 3월장도 담갔는데 요즈음은 온난화로 인해 날씨가 오락가락 일정하지 않아서 차라리 좀 추울때가 낫겠다 싶어 이제는 정월장으로 굳혀가네요. 장담그기는 주로 정월(음력1월)에 많이 하는데 날을 잡을때는 12간지중 말이 해당하는 날을 주로 잡아서 하는데요, 음력으로 정월, 말날이 올해는 양력 2월 10일과 22일, 오늘이에요. 음력 정월 편한 날에 담으면 되겠지만 해마다 해온 행사라 습관처럼 이 날을 잡아 하게 되는데 정윌이 지나면 음력 2월에는 장을 담그지 않고 3월로 넘어가서 장을 담그는데 지금은 온난화로 인해 4,5월만 되어도 더워지니 되도록이면 정월에 담그는 것이 좋을것 같아요 대문짝만한 방앗간 달력을 보면 12간지와 절기가 제대로 표시되어 있어 장담그고 농사 시작해서 수확하는 시기와 김장과 메주 쑤고 갈무리 하는 시기 등을 결정하는데 참고가 되니 꼭 하나 가져오지요. #장담그기 #된장담그기 는 초겨울에 김장끝내고 메주를 쑤어 겨우내 따뜻한 곳에서 띄운 뒤 (발효) 날씨가 풀리는 시기에 장을 담가서 60일 정도 후에 장을 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