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토픽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주식투자 / 2018.11 ~ ing
@김부자
#주식투자
#주식종목
#독서
#월간결산
#경제
팬을 맺고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독서와 글쓰기, 투자, 돈에 대한 이야기를 즐깁니다. 꾸준함을 무기로 나 자신의 성장과 자산의 성장을 통해 경제적 자유와 시간적 자유를 꿈꾸고 있습니다.🙏
<돈의 심리학> 찰리 멍거는 복리의 첫 번째 규칙은 "절대 불필요하게 중단하지 않는 것"이라 했다. 복리의 마법이 나타날 때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우리는 오랫동안 투자를 유지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투자 전략을 세우고 꾸준히 이어 나가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꾸준히 투자하겠다고 마음먹지만 얼마 못가 모든 주식을 팔아버리고 투자 시장을 떠나버리곤 한다. 이런 식으로 해서는 절대로 복리의 마법이 일어나지 않는다. 우리는 어떤 자산에 투자해야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많은 고민을 하지만 어떻게 투자해야 가능한 오랫동안 투자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고민을 잘 하지 않는다.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언제 시작했든 미국 S&P 500 지수 또는 나스닥 100지수에 꾸준히 투자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현시점에서 손실을 본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런데 실제로는 미국 S&P 500지수와 나스닥 100지수에 투자해서 손실을 본 사람이 수없이 많을 것이다. 왜 그럴까? 스스로 팔았기 때문이다. 어떻게 하면 지속 가능한 투자를 할 수 있을까? 그건 자기 자신만이 알 수 있다. 모든 사람들의 성향이 다르고,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매월 수입의 20%를 평생 동안 투자한다는 전략은 지속 가능한 전략이다. 주식 시장이 폭락해도 아무런 타격이 없다. 오히려 이런 사람에게 주식 시장의 폭락은 장기적으로 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남...
#주식장기투자 #2025년1월결산 2025년 1월 결산 주식장기투자 2,284일 차. 2025년 1월이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달라질 것은 없습니다. 지난 6년간 해왔던 대로 앞으로도 마찬가지로 매월 수입의 일부분을 가장 먼저 떼어내서 투자를 하고 남는 돈으로 생활하는 패턴을 이어나갈 것입니다. 주식장기투자 프리덤 펀드의 평가금액은 2024년 12월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나 그랬듯 변동성은 늘 있어왔습니다. 단기적인 변동성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좋은 기업과 ETF를 꾸준히 모아나간다면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하게 될 것입니다. 2018년 11월부터 주식 장기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그때는 지금만큼의 주식 자산을 보유할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습니다. 앞으로 5년 후, 10년 후도 마찬가지겠죠. 지금은 불가능이라 생각되는 금액도 매월 꾸준히 투자하고 시간이 누적된다면 이룰 수 있지 않을까요? 어제 2025년 첫 월급이 들어왔습니다. 이번에도 즐거운 마음으로 주식 쇼핑을 해야겠습니다. 꾸자사모! 배당금 연간 배당금(세후) 2019년 ▶ 195,965원 2020년 ▶ 446,286원 2021년 ▶ 540,411원 2022년 ▶ 1,200,153원 2023년 ▶ 1,264,768원 2024년 ▶ 1,094,114원 2025년 ▶ 5,040원 이번 달 배당 수익은 5,040원. ▶ PLUS 고배당주 - 5,...
부자로 가는 지름길이 있다면. 그건 바로 "절약" 많은 사람들이 그거 아끼고 모아봐야 얼마나 되겠냐고 말하지만 부자들은 하나같이 절약을 강조한다. <세이노의 가르침> <세이노의 가르침>에는 이런 글이 나온다. 사업과 투자의 종잣돈을 마련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소비는 최대한 억제하였다. 그리고 그렇게 하여 모은 돈들은 점점 더 불어나더니 나를 부자로 더욱더 만들어 주었고 그때부터 비로소 소비를 하기 시작했다. 일단 절약하고 모아서 종잣돈을 마련해야 한다. 일정 규모의 자산을 구축한 뒤에는 자산에서 발생되는 수익만으로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다. 그때가 되면 소비를 해도 된다. 순서의 문제다. 로버트 기요사키도 말했듯 가난한 사람들은 사치품을 가장 먼저 사고 부자들은 사치품을 가장 나중에 산다. 이것을 기억하고 절약하여 종잣돈을 먼저 구축한다면 평범한 사람이라도 부자가 될 수 있다. <세이노의 가르침> 평범한 사람이 부를 쌓는 법칙은 단 하나. 자신의 몸값을 최대한 올려 나가면서 최대한 절약하고 최대한 먼저 모아야 한다. 그러면 돈은 쌓이게 될 것이고 그 돈이 부자가 될 종잣돈이 된다. <세이노의 가르침>은 3년 전에 처음으로 읽은 책이다. 이 책만큼 적나라하게 팩트 폭행을 하는 책은 없었다. 나는 대놓고 쓴소리를 해주는 책이 좋다. 나의 생각에 균열이 가게 만들어 주고 기존과는 다른 행동을 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부자들의 ...
2025년 새해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한 달이 지나갔다. 내일은 월급 날이다. 월급을 받으면 가장 먼저 투자를 하고 남는 돈으로 생활한 지 6년이 지났다. 이 패턴만 지키면 자산은 불어날 수밖에 없다. 과거에는 이것을 지키지 못했다. 쓰고 남는 돈이 있으면 투자를 하려고 했다. 그런데 그런 돈이 있을 리가... 우리는 보통 쓰고 남는 돈으로 투자를 하려고 하지만 쓰고 남는 돈이란 없다. 그래서. 반드시 투자를 먼저 하고 남는 돈으로 생활하는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 이 습관만 만들 수 있다면 한 달 한 달이 지날 때마다 조금씩 부가 쌓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꾸자사모를 시작한 지 어느덧 2,282일이 됐다. 돈을 모으는 것은 처음이 가장 힘들다. 하지만 꾸준히 자산을 모으고 시간이 누적되면 누적될수록 돈이 모이는 속도는 빨라지게 된다. 평생 동안 이러한 습관을 유지할 수 있다면 부는 자연스럽게 모이게 될 것이다. 이제 꾸자사모를 시작한 지 6.2년이 지났다. 조급한 마음을 갖기보다는 돈이 모일 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들고 일상을 즐기면 된다. 부를 만드는 것도 일상의 습관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좋은 습관이든 나쁜 습관이든 습관은 자신의 재정적 상황을 결정한다. 현재 당신의 재정 상황이 어떻든 지금까지 돈을 쓴 방식 때문에 현재의 상황에 이른 것이다. 재정적으로 더 나은 상황에 있고 싶다면 논리적으로 볼 때 ...
국내 위주 투자
전문지식
분석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