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을 하고 나면 분만일 계산부터 주수를 계산하게 됩니다. 또 아이가 태어나면 개월 수로 아이를 구분짓게 되는데요. 분만일과 주수 계산 방법은 어떻게 되고, 개월수는 또 어떻게 계산하는지 정리해보았어요.
- 출산 예정일은 마지막 생리 시작일을 기준으로 계산함
- 생리 시작일은 생리주기 어플이나 생리 시작일 기록을 통해 확인 가능
- 생리주기가 규칙적인 경우, 마지막 생리 시작일에서 1년을 더하고 3개월을 뺀 후 7일을 더함
- 생리주기가 불규칙한 경우, 주기가 28일보다 짧으면 출산 예정일을 앞당기고, 주기가 길면 출산 예정일을 늦춤
- 출산 예정일은 초음파 검사를 통해 더 정확하게 확인 가능
- 임신 초기에는 출산 예정일이 변경될 수 있음
- 임신 주차는 마지막 생리 시작일을 기준으로 계산
- 임신 기간은 일반적으로 40주(280일)
- 출산 예정일은 마지막 생리 시작일 + 280일
- 임신 주수 계산 공식은 '임신 주수 = 마지막 생리 시작일로부터 지난 주 수'
- 출산 예정일은 2023년 10월 1일 + 280일 = 2024년 7월 7일
- 임신 0~2주는 실제 임신이 아닌 난자가 준비되는 시기
- 배란일(보통 생리 시작일 기준 14일 후)에 수정이 이뤄지면 임신 2주 차에 착상
- 병원에서는 마지막 생리 시작일 기준으로 임신 주수를 계산
- 아기의 개월 수는 출생일로부터 현재 날짜까지의 기간을 계산하여 계산함
- 아기가 1월 1일에 태어났다면, 2월 1일부터 개월 수가 바뀜
- 아기가 11월 12일에 태어났다면, 12월 12일에 1개월 1일이 됨
- 네이버 아기 개월 수 계산기는 월 수 계산 시 30일을 1개월로 계산하여 오차가 있을 수 있음
- 아기는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개월을 계산하므로, 네이버 날짜와 아기의 개월 수 계산은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