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만사성
여행 전문블로거국내 전문

팬을 맺고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강화도 문화재 여행 이야기 입니다 사진, 글, 링크 맘껏 사용 가능합니다 사진은 과거 촬영분 일수도 있습니다 강화도의 잘 알려지지 않은 문화재도 소개합니다

새로운 토픽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인플루언서 정보

여행 스타일

맛집 매니아

자연경관 선호

창작 분야

여행 리뷰

경험해본 여행 타입

친구와 여행

가족 여행

여행 취향

계획적인

대표 여행지

인천광역시 100회 방문

본인참여 2021.02.19
인플루언서 정보는 창작자 본인이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됩니다. 네이버는 입력된 정보를 매개 서비스하는 정보 제공자로서, 해당 정보의 정확성, 신뢰성, 최신성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NBLOG

5
[강화도][역사인물] 화남 고재형 선생 생가터

화남 고재형 (1846~1911) 선생 생가터 인천 강화군 불은면 화남2길 28-1 아직도 후손이 살고 계셔서 내부까지는 못보고 외부만 보고 왔네요 강화군청 문화관광과 홈페이지에서는 강화군 불은면 두운리 출신으로 1906년 강화군 17개 면 100여 마을을 필마로 직접 돌아다니며 점차 사라져가는 전통과 풍습을 남기고자 7언 절구 256수를 지어 화남집을 저술했다. 여기에 실린 한시는 강화의 유구한 역사와 수려한 자연 그리고 강화가 배출한 수많은 선비와 의인에 바치는 찬가라 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문학작품이며 동시에 당시의 민속지이자 지리지로서의 가치를 갖고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고재형선생은 1846년 선대로부터 살아온 강화군 인정면(현 불은면) 두운리 두두미 마을에서 아버지는 고창환이고, 네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제주이고, 자는 용여(用汝)이며, 호는 화남(華南)이다. 1911년에 65세로 별세하였으며, 묘는 단분으로 불은면 두운리 생가 뒤에 있으며 생가에는 직계 고손자가 살고 있다. 화남집은 1906년 봄 강화도 인정면 두두미 마을에 사는 고재형 선비가 강화도의 산천유적을 돌아보며 7언 절구 256수의 한시를 작시한 문집이다. 고재형 선생은 을사늑약으로 인한 을씨년스럽고 울적한 마음을 어떻게든 달래 보려고 이듬해 봄나들이를 하기로 마음먹고 강화도 순례길을 떠났다. 동시에 당시의 시대상황으로 일제와 서구 문...

13
[강화도][역사인물] 홍익한 택지

홍익한 택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흥왕리 352-1 위키백과에서는 조선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시 주전론을 주장하던 삼학사 중 한사람인 홍익한(1586-1637)의 옛 집터이다. 선생의 자는 백승, 호는 화포, 운옹, 본관은 남양이며 진사 이성의 아들이다. 이정귀의 문인으로 인조 2년(1624) 정시 문과에 장원한 이후 사서, 장령이 되었으며 인조 14년(1636)청나라의 사신이 모욕적인 조건을 내걸자 참사를 청했으며 병자호란시에는 주전론을 주장하였다. 화의가 성립된 후 평양부 서윤을 지냈으나 오달재, 윤집과 함께 청나라에 잡혀가서 피살되었다. 후에 영의정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정이다. 저서로는 「화포집」 「북행록」 「서정록」 등이 전한다. 선생이 살던 택지에 세워져 있던 비는 1963년에 파손되어 자연석의 대석만이 남아있다 카페 도레도레와 마호가니 카페 옆에 있더군요 이 카페에 정말 많은 사람들 가는데 바로옆에 이런 문화재가 있다는걸 알기나 할까요 도레도레 강화점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해안남로1844번길 19 마호가니 강화점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해안남로1844번길 19 #강화도문화재 #강화도역사인물 #홍익한 #조선인조 #병자호란 #주전론 #삼학사 #오달재 #윤집 #화포집 #북행록 #서정록

33
[강화도][역사인물] 허유전 묘, 두산재 (김해 허씨)

허유전 묘 인천 강화군 불은면 두운리 산297 고려 후기 충숙왕 때의 문신인 충목공 허유전 (1243∼1323) 선생의 묘소이다. 허유전은 1243년(고종 30년) 출생했으며, 고려 원종 때 문과에 급제하였고 1309년(충렬왕 34) 전라도안찰사를 거쳐, 밀직사사에 올라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여러 인물을 선발하는 일을 맡았다. 충숙왕 초에는 가락군에 봉해지고 충숙왕 8년(1321)에 수첨의찬성사를 거쳐 정승에 올랐다. 묘는 도굴된 상태로 방치되었다가 1985년 후손 허관구(許官九)에 의해 세상에 알려졌다. 1988년 6월 묘지 발굴 당시 고려청자 잔 여러 조각, 고려 토기조각 수십 점, 얇은 청동 조각 여러 점, 나무관에 사용한 쇠못 한 점, 11∼12세기에 만들어진 중국 송·금대의 엽전 19개가 나왔으며, 유골인 엉치뼈도 출토되었다. 이 외에도 많은 부장품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도굴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화운문 (외삼문) ● 두산재 신도문 묘표석 駕洛許侍中公(가락허시중공) 시묘유지 (侍墓遺址) 가락허시중공(駕洛許侍中公)의 세 하드님이신 영(榮) · 화(華) · 창(敞)께서 侍墓살이(상중에 무덤옆에 막을 짓고 3년동안 사는일)하시던 옛자리 허유전묘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강화동로549번길 88 #강화도문화재 #강화도역사인물 #허유전묘 #고려시대 #문신 #충숙왕 #충목공 #허유전 #충렬왕 #지공거 #전라도안찰사 #밀직사사 # ...

3
[강화도][역사인물] 최영섭 선생 생가터 기념비 (그리운 금강산 작곡가)

최영섭 선생 기념비 (그리운 금강산 작곡가)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 77-1 이곳은 1929년11월 28일 화도면 사기리 77번지 에서 출생한 작곡가 최영섭선생의 생가터입니다 통일을 염원 하며 민족의 애끓는 심정을 그리운 금강 산으로 승화시켜 국민이 가장 애창하는 가곡의 작곡 가로 잘알려져 있고 "추억""모란이피기까지는" 등 100여곡을 작곡 하였으며 1992년에는 대한민국 방송대상을 수상한바 있습니다. 문화와 예술을 사랑 하는 화도 면민의 뜻을 모아 작곡가 최영섭 선생의 업적을 세세 토록 기리고자 이 비를 세웁니다 한자리한턱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해안남로 1046 한자리한턱 #강화도문화재 #강화도역사인물 #최영섭 #그리운금강산 #작곡가

연동채널

1개 채널에서4,310에게 영향력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