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을 맺고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돈에 관심 많은 경제 전문 블로거 입니다.
팬하기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협업관련 이메일 goodbye2022@naver.com
(네이버톡톡, 댓글 사절)
새로운 토픽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거시적으로 접근
전문지식
분석적인
출처 : 보건복지부 당초 국민연금 고갈을 노인 빈곤 문제와 청년들의 연급 부담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려 했던 잘못이 지금까지 와버렸다고 생각합니다. 조금씩 상황에 맞는 변경 정도만 했더라도 지금까지 오지 않았을 것입니다. 개혁 타이밍이 늦어버린 국민연금은 최근 여러 아이 나오고 있지만 반발할 수밖에 없는 청년들을 보면 그들이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가 당연하다는데는 절대적으로 공감을 하는 편입니다. 국가에서 실시하는 정책을 신뢰하거나 공감하는 분위기는 사라지고 이제 너희들이 무언가를 한다고 내놓는 정책에 항상 이의 제기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지고 있죠. 무엇 때문에 이러한 반발심은 더욱 늘어난 것일까 생각해 보니 아무래도 금번 절세 계좌에서 국내 상장 해외 etf의 이중과세 논란이 가장 컸던 이유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물론 그전부터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감은 컸던 것은 사실입니다. 조금씩 쌓아온 신뢰가 절세 계좌에서의 이중과세 논쟁 등이 촉발을 시킨 것은 아닐까 생각됩니다. 국민연금 납부로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면 젊은 세대에게 개인연금을 통해서 미래에 대한 생활 보장을 하겠다는 정부 생각도 어긋나는 정책이기도 하죠. 공적연금뿐만 아니라 개인연금도 믿을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으니 크게는 국내 금융시장에 나의 소중한 돈을 놔두기보다는 외국에 투자를 해놓는 게 낫다는 판단을 했던 것 같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
미국 대선이 있기 전 트럼프의 대선공약과 그의 행동은 인플레이션을 야기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실제로 미국 국채금리 10년 물이 11월에 반등한 것을 생각하면 그를 두고 인플레이션 대통령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지금의 트럼프의 행동은 절대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없습니다. 혼란을 야기하고 불안을 조장하면서 시장 심리를 얼어붙게 만들며 소비를 감소시키는 전형적인 디플레이션적인 요소가 강하죠. 현재 사람들은 과연 과거처럼 소비행위를 유지할 수 있을까요? 정국이 불안하고 세계경제가 암울한 전망이 나올수록 위험자산보다 안전자산 선호가 강해지면서 서서히 현금 비중을 늘리고 사람들은 지갑을 닫게 됩니다. 시장에 유동성이 풀린 상황에 공급이 부족해지는 인플레이션이 나올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건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죠. 시장의 주체인 사람들은 소비 감소로 인해 기업들의 실적이 부족해지죠. 기업들의 실적 부진은 고용을 악화시키고 주가를 끌어내립니다. 일각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우려하지만 실제 디플레이션을 야기하는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제가 생각하는 게 맞는지는 시간이 지나봐야 알겠지만 아마도 시장은 결코 좋을 리 없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일 뿐입니다만 미국이 계속 좋아질 수는 없습니다. 이상 망고주스였습니다.
[1억모으기] 1억투자의 중요성 - 나의 투자경험(절약,꾸준한 투자, 72법칙) 안녕하세요~ 망고주스입니다. 오늘은 제가 경험한 1억모으기 그리고 1억투자에 대해서 얘기해보록 하겠습니... blog.naver.com 과거 1억 모으기의 중요성을 강조한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투자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금액이기도 하지만 상징적인 의미도 크다고 봅니다. 1억을 모으려면 각자의 방법으로 해도 평균 직장인들이 몇 년은 절약해서 모아야 그나마 만들 수 있는 금액이기도 하죠. 흔히 투자를 할 때 목표를 두라는 말이 있습니다. 난 10억을 모을 거야? 아니면 난 20억을 만들어꺼야라는 등의 목표 설정금액이 있는데요. 목표를 크게 두라는 것 역시 이 목표를 실현 가능하기 힘들다는 전제조건을 깔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1억 모으기를 하려면 3억 모으기 등의 목표를 설정해두면 좋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목표로 인한 스트레스로 자칫 투자에 노예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합니다. 반드시 성과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절약하고 소비를 극단적으로 줄여나가야만 합니다. 그런데 말이죠. 1억이라는 돈, 목표로 설정해놓았던 돈 등은 단순하게 재테크의 목표이지 인생의 목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돈이라는 프레임에 갇혀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돈만 모으는 사람이 과연 행복한 삶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돈은 있지만 불행한 삶을 살고 있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
얼마 전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포스팅을 한 적이 있는데요. 발행하고 난 이후 얼마 되지 않아 LH에서 악성 미분양 아파트를 매입하겠다는 기사가 나오게 됩니다. 우려했던 일이 벌어졌는데요. 저는 이렇게 심각하게 반대를 하는 것이 건설사들이 무리해서 아파트를 지어놓고 안 팔리게 되니깐 결국 국가가 도와준다고 생각하는 마인드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충분히 과잉공급이라고 그들 역시 생각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팔아보고 미분양되는 것은 국가가 매입해 줄 것이라고 믿고 강행하는 것이죠. 왜 미분양 아파트를 굳이 매입하려 드는 것일까요? 철저하게 시장의 논리에 따라서 미분양된 아파트가 많을 경우에는 건설사가 부도가 나버리게 놔두는 게 맞다고 보는 느 입장입니다. 미분양된 물량을 국가가 매입한다는 선례를 남기면서 앞으로 건설사들은 이 방법을 계속해서 사용할 것입니다. 저는 미분양된 아파트의 경우 저가로 그들이 알아서 시장에 팔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주식과 비교한다면 주식을 높은 가격 매수해서 손실을 보고 있다면 그걸 국가에서 대신해 매입해 주지는 않습니다. 주식과 부동산의 차별이 이렇게 심한 시장에서 과연 주식시장이 좋아질 지도 장담하기 어렵습니다. 추가적으로 매번 이렇게 악성 미분양 아파트를 매수해 주는 게 맞는지는 심각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이 악성 미분양 아파트의 조건이 까다롭다는 것인데요.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