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은 광물 투자워렌버핏이 금투자를 좋아하지 않는 이유
4일 전콘텐츠 2

금은 고금리 시기에는 금 시세가 상승하기 어렵지만,
최근에는 안전자산의 성격이 더 강해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금투자방법, 그리고 시세와 관련 ETF정리해보자 합니다.
그리고 워렌버핏은 금에 투자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데 왜 그런지 같이 살펴보고자 합니다.

01.금투자방법 및 시세 그리고 금ETF 정리

- 금 한돈의 가격은 2023년 12월 7일 기준으로 살 때 369,000원, 팔 때 316,000원임.
- 고금리 시기에는 금 시세가 상승하기 어렵지만, 최근에는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인식이 강함.
- 2020년 코로나 시기에 안전자산 투자에 관심이 쏠리면서 금 시세가 상승했음.
- 최근 2023년 말 금 값 상승 요인으로는 2024년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하마스 전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 심리 등이 있음.
- 금은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헷지 수단으로도 활용됨.
- 금ETF는 간접적인 투자수단으로, 삼성자산운용 KODEX와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가 대표적임.

블로그에서 더보기
02.금시세 및 전망 : 금투자를 하는 이유, 워렌버핏은 금투자를 하지 않는 이유

- 금시세는 2023년 9월 11일 기준 순금(내가 살 때) 352,000원/ 순금(내가 팔 때 ) 311,000원입니다.
- 작년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서 미국이 급격히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 고금리 시기는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금 시세에 우호적이지 않지만, 금리 인상으로 주식, 부동산 등의 전통적 투자자산보다는 안전자산인 금투자에 관심이 쏠려 금시세가 상승하는 것 같습니다.
- 금투자는 대표적인 안전자산투자에 속합니다. 코로나 시기에 안전자산으로 관심이 쏠리면서 금의 시세가 급등했습니다.
- 최근에는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높아지면서 금의 시세는 아직까지 우상향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금시세 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달러 강세, 채권금리 상승, 인플레이션 발생, 실질금리 등이 있습니다.

블로그에서 더보기
#금ETF#금시세#금투자방법#금투자#금시세전망#금한돈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