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퇴직금 세후 실수령액 계산법과 세금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퇴직금 역시 소득에 해당하기 때문에 수령 시 세금을 제외 후 받게되는 만큼 미리 퇴직금에서 납부해야 할 세금까지 계산해 보시길!
- 퇴직금 세후 실수령액 계산법과 세금 계산기 활용 방법 소개
- 퇴직금 세금은 근속 연수와 급여 액수에 따라 차이가 있음
- 퇴직금 세금은 다른 소득과 합산하지 않고 그 자체로 계산
- 퇴직금 세금 계산 시 퇴직소득공제, 환산급여계선, 누진세액공제 고려 필요
- 퇴직소득금액은 퇴직금에서 근속 연수를 공제한 것
- 환산급여는 퇴직금에서 퇴직소득금액을 뺀 다음 12를 곱한 후 근속연수를 나눈 값
- 환산급여공제표를 참고하여 과세표준을 구함
- 퇴직금 세금 계산 후 지방세를 빼면 실제 수령액이 조금 더 낮아짐
- 홈택스 퇴직금 소득세 계산기를 통해 쉽게 세금 계산 가능
- IRP 퇴직연금은 노후 대비를 위한 금융상품으로, 근로자의 퇴직금을 금융사에 맡김
- 퇴직연금은 근로자의 요청에 따라 일시금이나 연금 형태로 수령 가능
- 퇴직연금은 근로자가 금융사를 통해 퇴직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함
- 퇴직연금의 종류는 DC(확정급여), DB(확정기여), IRP(개인형 퇴직연금) 등으로 나뉨
- DB와 DC에 가입한 근로자는 법적으로 IRP계좌로 퇴직연금을 수령해야 함
- IRP의 장점은 세액공제 혜택이 있으며, 개인연금저축과 합산한 금액으로 연 900만원까지 가능
- IRP의 단점은 중도해지 시 세액공제 혜택이 추징될 수 있으며, 해지 수수료도 부담해야 함
- IRP는 노후 대비용이기 때문에 만 55세 이후에 해지 가능
- IRP는 긴급한 자금이 필요할 때 부담스러울 수 있음
- IRP는 만 55세 이후에 연금이나 일시금으로 수령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