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인플루언서 유현태입니다.
한국GM의 판매량을 견인하던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입니다.
출시 이래 국내 쉐보레의 판매량이 급증한 바 있는데요.
지난해 국내 소형 SUV시장 점유율 12.8%로 대략 1만 8천 6백대를 판매하여 전체 판매량은 2023년에 비해 감소했습니다. 2023년에는 2만 3천대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했죠.
대신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국내 생산분 수출량이 29만 대나 달하며, 국내 자동차 수출 1위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한국 GM의 자동차 수출량은 10.6%나 상승했다고 하네요.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시승기도 준비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쉐보레의 트랙스 크로스오버 1.2 가솔린 ACTIV 모델을 시승함
- PPI 상승에도 불구하고 국내 자동차 3사는 가격 인하 정책 등으로 수요 회복 노력 중
- 3사의 실적 부진은 브랜드 파워 약화보다는 제품성의 결여가 원인
-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제품을 선호하며, 3사의 가성비 전략이 유효할 수 있음
-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가격 대비 큰 차체 크기와 합리적인 옵션 구성, 매력적인 디자인으로 경쟁력 있음
- 트랙스 크로스오버 2025 연식변경 모델은 RS트림에 '온스타' 시스템 추가, LT트림 단종 후 레드라인 등급 신설
- 차량의 내부는 깔끔하고 모던하며, 8인치 디지털 클러스터와 11인치 디스플레이 탑재
-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주행 성능은 안정적이며, 서스펜션은 단단하게 세팅되어 있음.
- 기아 셀토스 페이스리프트 시그니처 트림은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음.
- 6월에는 국내 자동차 판매량 6위, 소형 SUV 중 1위를 차지함.
- 일반 모델과 하이브리드를 별개로 집계하면, 셀토스는 6월 국산차 판매량 1위임.
- 시그니처 등급은 옵션 등급 중 최고 사양에 해당하며, 추가해야 하는 패키지 옵션이 많음.
- 시그니처 등급의 외관 디자인은 라디에이터 그릴, 헤드램프, 범퍼 등이 특징적임.
- 실내 디자인은 캐러멜 색상과 다양한 옵션 선택 가능성으로 만족스러움.
- 엔진 트림은 1.6 가솔린 터보와 2.0 자연흡기로 구분되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