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초전도체, AI, HBM 등 숨가쁘게 돌아가는 테마주 장세이다. (섹터라고 불릴만한 것도 있으나 대부분은 테마주에 가까움) 여기저기 불기둥이 솟았다가 없어졌다가 아주 바쁘다. 공매도 금지령이 떨어지자마자 몇몇 기업은 상한가까지 치솟기도 했다. 숏커버링이 아니라 숏커버링을 예상한 투기세력들이 만들어낸 작품이었다. 주식시장에서 불장난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현재 투자 시장에서의 주류는 30초중반~40초이다. 태어난 연도로 보면 대략 1980년~1992년 사이 정도 될 것 같다. 여의도 증권가 또는 요즘 유튜브, 텔레그램, 블로그 등에서 날고 긴다는 투자자들의 연령대도 그리 다르지 않을 거라고 본다. 학번으로 치면 99학번~11학번 정도이고, 졸업연도로 치면 남자 기준으로 군대 포함 대략 06년도~18년도 될 것이다. 투자 시장의 주류인 30초중반~40초인 사람 중에서 가장 빨리 주식시장에 투입된 인원들은 당연히 40초인 사람들이다. 1년 정도 휴학 했다 치고 바로 증권가에 입사를 한다면 2006년도 즈음이다. 2006년도에 운좋게 증권가에 입사하거나 돈과 관련된 일(은행, 보험까지 포함)에 들어왔다고 해도 시장에 개인적으로 풀배팅 상태로 극심한 하락을 맞이한 사람은 극히 드물 것이다. 사회 초년생부터 주식 100%로 투자하지는 않으니까 말이다. 3년~4년 정도의 수련 기간을 거친 후에 자신감이 충만할 때 보통 주식 100...
부동산시장 '버블'의 징조는? "투자 '영웅'이 쏟아질 때"[박원갑의 집과삶]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 주식시장이나 부동산시장에선 일정 주기로 영웅이 탄생한다. 투자해서 큰돈을 번 성공신화의 주인공이다. 그 영웅은 가만히 집에 앉아 있지 않는다. 매스컴, SNS(소셜네트워크서 n.news.naver.com 재미있는 기사를 봤다. 나도 요즘하고 있는 생각인데, 기사로 접하니 나만 하는 생각은 아니라는 확신이 든다.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 뉴스 할 것 없이 너도나도 투자 전문가를 자처하는 사람들이 넘쳐나고, 대중들은 그 사람들을 '투자 영웅'으로 모신다. 심지어 팬클럽까지 만들어질 정도이다. 투자 영웅이 나타나는 현상은 종종 발생하긴 한다. 다만, 주가가 과도하게 오른 국면이나 부동산 대세 상승기의 끝물엔 그 영웅의 숫자가 특히 많이 늘어난다. 내가 한창 유튜브를 할 때 '동학개미운동'이라는 말을 처음 만들었지만, 그건 단순히 내가 '현상'에 이름을 붙여줬을 뿐이다. 이미 개인투자자가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었고, 그것은 주식시장에 거대한 유동성 폭발을 만들어냈다. 코스피는 최초로 3,000을 돌파하고 코스닥은 1,000을 넘었다. 코로나라는 전례 없는 위기가 무색하게 순식간에 버블의 역사를 만들어냈다. 각국 중앙은행이 헬리콥터처럼 저금리로 돈을 뿌려댄 결과였다. 주식, 부동산 외에도 미술품, 와인, 코인 등 다양한 자...
2023년 7월 18일 오후 12시경, 등락종목 수를 보자 코스피는 지수가 0.59% 하락하고 있지만 하락종목수는 737개, 상승 종목수는 160개(상한가 1개 포함)이다. 보합이 36개. 코스닥은 지수가 1.05%나 '상승'하고 있지만 하락 종목수가 무려 1,247개, 상승 종목수는 286개이다. 보합은 46개. 코스닥 지수는 상승하고 있지만 하락 종목수가 상승 종목수를 완전히 압도한다. 철저하게 소외받는 섹터는 소외받고 철저하게 주목받는 섹터는 끝없이 오르는 장이다. 지금 글을 쓰는 이 와중에 에코프로비엠은 시가총액이 30조원이 넘어섰는데도 멈출 줄 모르고 끝없이 오른다. 에코프로는 29조6천억원으로 거의 30조원 다다랐다. 나노신소재, 대주전자재료도 기업의 과거 실적, 1~2년 뒤의 실적으로는 도저히 가치평가를 할 수 없는 수준으로 오르고 있다. 코스닥을 구성하고 있는 시가총액 1위, 2위 종목이 엄청난 상승세를 보여주니 지수가 왜곡되어 보인다. 하락 종목이 더 많지만, 코스닥의 시총 상위주가 오르니.. 철저하게 시가총액 상위 주식만이 상승하고 있고 그 외에는 별 재미가 없거나 오히려 하락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이는 시장에서 철저하게 쏠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만 이런 것은 아니고 미국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엔비디아, 테슬라,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AI와 관련된 몇몇 업체들에만 매수세가 몰리고 ...
한 해가 넘어갈 때 돌이켜보면 항상 다사다난했다고 느낍니다만, 2022년은 특히나 더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잊을 수 없는 2022년입니다. 2022년을 돌이켜보고 2023년을 예상해 봅니다. ■ 2022년의 증시 투자자의 입장에서 보면 쉽지 않은 시기였습니다. 코스피가 1월 3일 2,998에서 시작하였는데 12월 29일 2,236으로 마감하여 무려 25.4%나 하락했습니다. 코스닥은 1,039에서 시작해서 679로 마감하여 코스피보다 더 깊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락률은 34.6%에 달하네요. IT가 시가총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대한민국의 증시 특성상 대부분이 힘들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다 힘들 때 나만 특출나게 수익을 달성하기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가치투자라는 것을 하는 사람들도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증시에서 자금이 빠져나갈 땐 투자 아이디어가 잘 먹히지 않습니다. 시장에 돈이 많을 때는 아이디어에 동조해 주는 사람들이 현금 들고 들어와 매수해 주지만 지금처럼 다들 평가손실인 상황에는 매수세가 만들어지기 어렵습니다. 태조이방원이라는 키워드가 증시를 뜨겁게 달궜지만 이내 식어버렸던 것을 기억해보면 앞으로도 어떤 키워드들이 나오더라도 그렇게 강하게 반응하지는 않을 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0년, 자금이 쏟아져 들어올 때는 몇 달 간 한 섹터를 끌고 나갈 수 있는 일들도 썰물 환경에서는 굉...
KOSIS라는 곳에 가면 누구나 우리나라 증시와 관련된 각종 통계자료를 무료로 볼 수 있다. 또는 이 글의 가장 아래에 링크된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 가도 누구나 증시와 관련된 자료를 재미있게 찾아볼 수 있다. 오늘 코스피 2,250을 깨고 밑으로 내려가고 코스닥은 680깨고 밑으로 내려가고 있길래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분명 어제 배당락이었던 것 같은데.. 오늘도 배당락인가?' '바닥 근처인 것 같은데 이렇게 잔인하게 빠진다고?' 투자자들 사정 안 봐주고 증시가 하락하고 있다. 2022년은 이렇게 마무리되려나 보다. 명색이 그래도 16년 된 투자자고 회계사고 하니까 감성적 접근 말고 숫자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했다. 코스피의 바닥이 어디쯤인지 알고 싶으면 KOSIS 들어가서 자료를 뒤적거려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주가의 흐름은 어땠는지 보자. 코스피PER 자료는 2004년부터 제공되고, 2022년 11월까지 참고하여서 자료를 허접스럽게 가공해 보았다. 여기에 사용된 PER은 과거 PER이다. 선행PER(미래 이익을 예상해서)은 사용하기가 어렵다. 상장된 기업들의 실적을 하나하나 예상하기가 어렵기 때문. 코스피의 PER가 가장 낮았던 시기를 적어보았다. 2005년 4월: 7.37 2008년 11월: 8.57 2009년 2월: 8.47 2011년 9월: 10.48 2018년 12월: 9.58 2022년 9월: 9.26 2022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