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식을 취득하는 것은 기업이 자신이 발행한 주식을 직접 취득하여
보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주가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시행되는데요.
이러한 자기주식 취득결정 공시와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또한 공개매수는 회사의 경영권 강화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는데 공개매수사례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자사주 취득이란 기업이 자신이 발행한 주식을 직접 취득하여 보유하는 것을 말함
- 자사주 취득은 주로 주가 안정과 주주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함
- 자사주 취득은 임직원 성과급 지급, 재무구조 개선, 경영권 방어 등에도 활용됨
- 자사주 취득은 유통주식수를 줄이고 주당 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음
- 자사주 취득은 주총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음
- 자사주 취득 효과는 자사주 직접 취득이 신탁취득보다 주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침
- 자사주 취득 방법은 자기주식취득과 신탁계약 두 가지가 있음
- 자기주식취득은 기업이 직접 주식을 매수하는 방식이며, 신탁계약은 증권사가 대신 매수함.
- 주식 공개매수는 회사 경영권 강화와 주주평등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 공개매수는 기업의 지배권 획득을 위해 과거 6개월 간 10인 이상의 자로부터 주식 등을 취득하는 것이다.
- 공개매수 후 지분율이 5% 이상이거나 지분율이 5% 이상인 경우에만 가능하다.
- 공개매수제도는 저가에 보유지분을 매도하는 압박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목적이다.
- 미국, 영국 등에서 1970년대부터 공개매수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M&A시장에서 많이 쓰인다.
- 주식을 공개매수하려는 자는 공개매수신고서를 작성해 증권거래위원회에 신고해야 한다.
- 공개매수에 있어 중요한 것은 '공개매수가'로, 주주들이 얼마에 응할지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