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비즈니스 기타정보텅장인데 축의금 부의금 얼마 내야 할까?
10시간 전콘텐츠 2

결혼식 축의금, 10만 원이 국룰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많다. 예전에는 5만 원이 기본이었지만, 물가가 오르면서 10만 원이 당연시되는 분위기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 점이 있다. 축의금은 홀수 단위로 내는 게 좋다는 말이 있는데, 그럼 10만 원은 괜찮을까? 홀수 관례에 따르면 3, 5, 7만 원은 길한 금액이지만, 10만 원은 짝수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10만 원은 단위가 바뀌는 금액이라 홀수처럼 취급된다. 실제로 40만 원은 불길한 금액이라 피하지만, 10·20·30만 원은 괜찮다고 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상대와의 관계다. 가까운 사이면 좀 더 넉넉하게, 어정쩡한 사이면 고민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런 고민도 이제는 사치일지도 모른다. 결혼식이 많아질수록 축의금 부담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01.결혼식 축의금, 이제 10만 원이 기본?

친구에게 결혼 소식을 듣고 축의금을 고민했다. 친한 사이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예 안 주기엔 애매한 관계라 10만 원을 보냈다. 그런데 주변 반응이 갈렸다. "요즘 기본 10 아니야?"라는 말과 "난 5만 원 줄 건데"라는 의견이 반반이었다. 몇 년 전만 해도 5만 원이 일반적이었지만, 이제는 10만 원이 기본이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 결혼식이 많아질수록 부담도 커진다. 한 친구는 최근 결혼식 다섯 곳을 다녀오면서 축의금만 50만 원을 썼다. 결혼을 축하하는 마음은 있지만, 참석하는 입장에서도 부담이 크다. 앞으로 축의금 기준이 또 올라갈까? 몇 년 후엔 15만 원이 기본이 될 수도 있겠다.

블로그에서 더보기
02.축의금, 짝수는 피해야 한다?

축의금 금액을 정할 때 홀수로 맞추는 것이 좋다는 말이 있다. 유교적인 음양오행설에서 홀수가 양을 의미해 길한 숫자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3, 5, 7만 원 같은 홀수 금액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10만 원은 짝수인데도 예외로 취급된다. 10만 원, 20만 원처럼 단위가 올라가면 짝수라도 허용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40만 원은 불길한 숫자로 여겨 피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런 관례가 미신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받는 사람이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지키는 게 좋다. 결국 축의금은 금액보다 관계가 중요하다. 친한 사이라면 더 주고 싶고, 애매한 사이면 최소한의 금액만 넣게 된다. 고민된다면 주변 기준을 참고해 결정하는 것이 좋다.

블로그에서 더보기
#축의금#부의금#축의금기준
피끄
경제 전문블로거
피끄
네이버에서 검색하고 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