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고양이과 동물들인 사자나 호랑이, 표범 등은 강력한 신체능력을 바탕으로 생태계의 먹이사슬에서 꼭대기를 차지하고 있는 대형 포식자입니다.
그러나 이 대형 고양이과 동물들도 가죽을 노린 밀렵이나 스포츠 헌팅 등 무분별한 사냥의 표적이 되었고 많은 종들이 멸종되거나 멸종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이번 토픽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한 대형 고양이과 동물들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 밀렵, 밀렵으로 인한 먹이 기반 고갈, 국경 지역에 군대의 주둔 및 훈련과 같은 인간의 방해, 삼림 벌채, 화재, 농업 확장, 과도한 방목, 인프라 개발로 인한 서식지 감소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
- 이란의 표범 사망률을 평가한 결과, 2007년부터 2011년 사이에 18개 주에서 71마리의 표범이 죽었고, 이 중 70%는 불법적으로 사냥되거나 독살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18%는 교통사고로 죽은 것으로 나타났다.
- 2000년부터 2015년 사이에 이 나라에서는 표범 147마리가 죽었다. 그 중 60% 이상이 밀렵, 독이 있는 미끼 사용으로 인해 죽었고, 레인저, 트로피 사냥꾼, 군대에 의해 총에 맞아 죽었다.
- 베른 협약(유럽의 야생동물과 자연 서식지 보존에 관한 협약) 부록 II에 엄격히 보호되는 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 아제르바이잔에서는 표범이 1969년부터 법으로 보호를 받고 있으며, 아르메니아와 소련에서는 1972년에 법으로 보호를 받았다.
- 아시아사자는 현재 단일 하위 개체군이라서 전염병이나 대형 산불과 같은 예측할 수 없는 사건으로 멸종되기 쉽다.
- 원래는 남유럽과 서아시아, 동유럽, 남아시아에 걸쳐 분포 했었다.
- 그러나 지금은 개체수가 크게 줄어 인도 구자라트 주 기르숲에 200~300마리밖에 안되는 소수의 개체들이 살고 있다.
- 인도 정부에서는 기르숲의 사자 서식지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 한때 아라비아 반도와 중앙아시아, 인도까지 널리 분포 했으나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야생동물 보호가 중단 되었고 가젤의 개체수 감소와 밀렵, 사막화, 서식지 감소로 개체수가 줄어들었다.
- 1987년부터 2018년 사이에 56마리의 치타가 죽임을 당했다.
- 2007년부터 야생동물 보호협회 직원들과 이란 환경부는 아시아치타에 위치 추적기들 부착 했다.
- 2022년 5월에 이란 정부가 아시아치타의 번식에 최초로 성공 했다.
- 호랑이에게 가장 큰 위협은 불법 야생동물 거래를 위한 밀렵이다.
- 호랑이 뼈는 1,500년 이상 중국 전통의학의 재료로 약주에 첨가되거나 분말 형태로 사용되거나 접착제와 같은 농도로 끓여진다.
- 1970년에서 1993년 사이에 한국은 태국으로부터 607kg의 호랑이 뼈를, 1991년에서 1993년 사이에 중국으로부터 2,415kg의 호랑이 뼈를 수입했다.
- 2000년에서 2011년 사이에 태국, 라오스, 베트남, 캄보디아, 중국에서 196건의 사건으로 살아있는 호랑이와 죽은 호랑이 모두 641마리가 포획되었고, 275마리의 호랑이가 포획 시설에서 무역으로 유출된 것으로 의심된다.
- 인도차이나호랑이는 1993년부터 CITES 부록 I에 등재되어 국제 무역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 중국, 한국, 베트남, 싱가포르, 대만은 호랑이 거래와 의약품 파생상품 판매를 금지했다.
- 모피용이나 약용 밀렵, 가축과의 경합에 의한 사냥감 감소, 해수로서의 구제 등으로 서식수는 감소하고 있다.
- 최근에는 도로 건설이나 철도 부설·채굴에 의한 영향, 감염증 등도 우려되고 있다.
- 눈표범은 1985년 이후 야생동물의 이동 종 보전에 관한 협약의 별표 1에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로 등재되었다.
- 키르기스스탄에서는 1950년대부터 눈표범 사냥이 금지되어 왔다.
- 네팔에서는 1973년부터 그들을 법적으로 보호해 왔으며, 밀렵과 거래에 대해 5년에서 15년의 징역과 벌금을 부과했다.
- 중국에서는 1989년부터 눈표범을 법적으로 보호해 왔다.
- 눈표범이나 눈표범의 신체 부위를 사냥하고 거래하는 것은 재산 몰수, 벌금 및 최소 10년 이상의 징역형으로 처벌되는 형사 범죄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