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토픽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since 2012
Home
Influencer
도시농의 텃밭이야기
텃밭돌보미
뚜벅이 여행
팬을 맺고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도시농으로 주말농장에서 텃밭을 가꾸고,
여행으로 삶의 무료함을 달래면서 그렇게 힐링을 찾아갑니다.
blog.naver.com/tameones
알리움 키우기 알리움 구근, 꽃말 알리움은 그 독특한 외관과 이쁜 꽃으로 인해 많은 이들에게 매력적인 식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알리움의 꽃은 구형 혹은 원추형의 독특한 형태를 띠어 한 송이의 꽃이 만들어내는 기하학적 아름다움이 돋보이죠. 이러한 꽃 모양은 단순한 관상용 식물 이상의 예술적 가치를 지니며 정원이나 도시 경관에 설치했을 때 현대적이면서도 우아한 분위기를 연출해 줘요. 알리움이라는 이름은 라틴어 allium에서 유래되었으며, 마늘을 의미합니다.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종류의 향신재와 관련 식물을 포괄하는 명칭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식물 분류학적으로 볼 때 알리움은 과거에는 백합과에 속하다가 20세기 후반부터 독립적인 아과 (Allioideae)로 분류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주로 아모리딜리과 (Amaryllidaceae) 내의 아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분류 체계는 알리움속 식물들의 유전적, 생화학적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알리움은 관리가 비교적 쉬운 식물로, 식물 키우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초보 식집사부터 전문 가드너까지 모두가 손쉽게 키울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라 할 수 있어요. 적절한 햇빛과 배수가 잘 되는 토양만 제공된다면 별다른 복잡한 관리 없이도 잘 키울 수 있습니다. 한 해의 대부분을 건강하게 자라나게 할 수 있다는 점은 현대인의 바쁜 생활 속에서 자연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을 ...
장염 빨리 낫는법 급성 장염 증상, 초기 증상 원인 장염(Enteritis)은 장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감염, 독소, 음식물 알레르기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현대인의 생활 방식과 식습관 변화로 인해 장염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증상 또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어요. 장염은 일반적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며 특히 급성 장염(Acute Enteritis)은 단기간에 심한 증상이 나타나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장염이 무엇이고, 급성 장염과 만성 장염의 차이, 원인 및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장염을 빨리 낫는법에 대해서도 살펴볼까 해요. 장염 장염은 소장 또는 대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하며, 흔히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소화기 증상을 동반합니다. 장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원인에 따라 감염성 (Infectious Enteritis)과 비감염성 (Non-infectious Enteritis)으로 구분됩니다. 감염성 장염은 주로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의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통해 전파됩니다. 비감염성 장염은 음식 알레르기, 자가면역 질환, 약물 부작용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죠. 장염은 발병 속도와 지속 기간에 따라 급성장염 (Acute Enteritis)와 만성장염 (Chronic E...
스투키 키우기 햇빛 물주기 번식 분갈이 스투키는 길고 곧게 뻗은 원통형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잎의 색상은 진한 녹색에서 회녹색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이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외형은 어떤 인테리어와도 조화를 이루며 현대적이고 미니멀한 공간을 꾸미는 데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어요. 특히 다른 식물과 함께 배치했을 때도 조화롭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답니다. 스투키라는 이름은 독일 식물학자인 '헤르만 스투키'를 기리는 의미에서 붙게 되었습니다. 스투키는 전통적으로 산세베리아속에 속하는 식물로, 스웨덴의 식물학자이자 카를 린네의 제자였던 '칼 피터 투베르크'에 의해서 '라임프란체스코 산세비에로' 왕자의 이름을 따서 Sansevieria라는 속명을 명명하였습니다. 하지만, 스투키는 오랫동안 산세베리아속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가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라 드라세나속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이는 DNA 분석을 통해 산세베리아속이 기존의 분류보다 드라세나속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어요. 스투키는 매우 강한 생명력을 가진 식물로, 초보자도 쉽게 키울 수 있습니다.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견디며 햇빛이 적은 실내에서도 잘 자라죠. 이는 스투키가 자연적으로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오랫동안 건강하게 생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투키 키우기는 바쁜 현대인이나 식물 키우기에 자신...
신경섬유종 원인, 증상, 검사, 치료 신경섬유종(Neurofibroma)은 말초신경을 둘러싸고 있는 신경초(Sheath)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주로 신경섬유종증 1형(Neurofibromatosis type 1, NF1)과 연관되어 나타납니다. 이 질환은 피부, 신경계, 심혈관계 등에 다양한 임상적 증상을 유발하며, 드물게 악성으로 변형될 가능성이 있어요. 본 포스팅에서는 신경섬유종의 병리학적 특징, 원인, 증상, 검사 및 치료법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해 볼까 합니다. 신경섬유종은 신경초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슈반 세포(Schwann cell), 섬유아세포(Fibroblast), 마스트 세포(Mast cell) 및 신경세포(Neuron) 등 다양한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계가 불분명하고 부드러운 결절 형태를 띠며, 단일 병변 또는 다발성으로 나타날 수 있어요. 조직학적으로는 콜라겐 섬유의 불규칙한 배열과 다양한 크기의 신경세포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성숙한 신경 조직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경섬유종 신경섬유종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1. 국소 신경섬유종(Localized Neurofibroma) 가장 흔한 유형으로, 피부나 피하조직에서 발견되며 단일 병변으로 나타납니다. 2. 다형 신경섬유종(Plexiform Neurofibroma) 주로 NF1 환자에서 발생하며, 신경총을 따라 광범위하게...
작두콩 키우기모종 심기 심는시기 심는방법 수확시기 비염에 좋다는 작두콩 씨앗을 얻어 텃밭에 심어 보기로 합니다. 대형 콩이기도 하고, 차로 끓여 마시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키우는 재미가 있을 듯 하여 작두콩 심기에 도전해 볼까 합니다.그러기에 앞서 작두콩 키우기 방법에 대해서 알아야겠죠? 작두콩 씨앗 씨앗 계의 코끼리인 것처럼 콩 사이즈가 어마무시합니다. 씨앗만 봐도 작두콩인 줄 알 정도입니다. 작두콩 심기 전날 작두콩 씨앗을 반나절 정도 물불림해서 준비합니다. 바로 텃밭에 파종해도 되지만, 조금이라도 발아를 앞당기기 위해서 물불림을 한후 심는 게 좋습니다. 심는시기 작두콩은 심는시기 (파종시기)는 늦서리가 지난 5월초가 적당합니다. 씨앗은 4월 중순에 심기 시작하면 되고요. 작두콩 모종은 5월초에 심는 게 좋습니다. 심는방법 포기간 30cm 간격으로 씨앗 심기나 모종 심기를 합니다. 씨앗 파종의 경우, 작두콩은 한 구멍에 한두 알씩만 심습니다. 콩은 3의 법칙이 적용되어야 하지만, 작두콩은 씨앗이 워낙 크다 보니 3알 심기가 부담스럽습니다. 새나 벌레가 먹으면 어쩔 수 없다 생각하고 한두 알씩만 파종합니다. 영 불안하다 싶으면 3알을 심으셔도 되고, 발아할 때까지 짚이나 비닐로 덮어두셔도 됩니다. 모종은 포기 간격에 맞춰 모종 포트 깊이만큼 구멍을 뚫고 물을 충분히 부어 준 다음 심으면 됩니다. 이때 흙은 포트 흙과 평행...
영국 독일 장미 종류핑크색 흰색(하얀) 노란 자나 찔레(목향) 장미 꽃말 꽃말 예쁜 꽃 중에 장미를 빼놓을 수 없죠. 장미는 종류도 많고 색도 다양하기 때문에 그에 맞는 꽃말도 다양하답니다. 장미는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전파된 꽃으로 19세기에 들어서면 교접을 통한 품종 개량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서 종이 다양해졌다고 해요. 영국장미와 독일 장미가 있는데, 대표적인 영국장미는 데이비드 오스틴이 있으며 독일 장미로는 노발리스와 코르데즈가 있습니다. Rose 하면 5월에 피는 꽃으로 알고 있는데, 품종 개량이 되어 사시사철 피는 장미가 출현하기도 했으니까요. 간혹 길 가다가 늦가을에 피는 Rose를 보곤 하는데, 처음에 봤을 때만 해도 이상 기온으로 개화시기를 착각하는 줄 알았었죠. 하지만 품종 개량으로 봄, 가을에 2번 피는 Rose 가 있는가 하면 기온만 맞으면 사계절 내내 꽃을 피는 품종도 있습니다. 오늘은 이 다양한 장미의 꽃말을 알아볼까 해요. Rose는 색깔이 다양해서 색깔별로 꽃말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Rose를 선물할 때 꽃말에 맞게 색깔을 선택한다면 주는 이와 받는 이에게 기쁨이 2배가 될 거예요.그럼 꽃말 예쁜 꽃인 장미 꽃말에 대해서 알아볼게요.분홍색 분홍장미 꽃말은 '사랑의 맹세', '행복한 사랑'이에요. 연인에게 사랑을 고백할 때 분홍장미와 함께 말을 건넨다면 감동이겠죠? ...
옥상 미니 정원스티로폼 화분 만들기 옥상이 있는 집에서는 옥상을 정원이나 텃밭으로 만들기할 수 있죠. 화분 인테리어라고 화분 꾸미기로 텃밭이나 정원 가꾸기를 합니다. 겨울에도 옥상 미니 정원에서 소소하게 집에서 상추 키우기를 하시고 계신데, 겨울이라고 믿기 힘들 정도로 상추가 잘 자라고 있어요. 도심이라 기온이 낮지 않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겨울인데... 이렇게 잘 자란다면 겨울에도 상추 키우기를 해도 좋을 듯하네요. 다만 추위에 강한 채소 이외의 작물은 없다는 게 아쉬움입니다~한 겨울에도 이렇게 상추가 자랄 수 있는 비결이 무엇일까요? 한 수 배워야겠습니다. ^^ 낮 기온은 영상이더라도 밤 기온은 영하의 추위가 이어지는 계절인데 냉해를 안 입고 자라고 있는 것인지.. 여기에는 수고스러움이 동반된다고 보시면 돼요. 저녁이 되면 화분을 실내로 옮겨서 놔두었다가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가는 오전 시간부터 다시 밖으로 나와 햇빛을 받게 합니다. 이러기 위해서는 큰 화분보다는 작은 화분으로 옥상 정원을 가꾸기해야 합니다. 무게가 나가는 것을 여러번 옮기는 일이 쉽지 않거든요. 물론 스티로폼 화분에 심겨져 옮길 수 없는 작물들은 두꺼운 비닐로 덮어두었다가 햇빛이 나면 다시 걷어줘야 합니다. 상추 물주기는 실내로 들였을 때 화분에 물주기를 합니다. 실외에 있을 때 물주기를 시행했다가는 냉해 피해를 입기 때문에 실내에서 화분 물주기를 해야 합니다. ...
다육식물 용설란 키우기베란다(배란다) 인테리어로 꾸미기 100년 만에 꽃을 피운다고 해서 행운을 비는 상징으로 여겨지는 식물이 용설란이지요. 꽃을 보고 소원을 빌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설이 내려오고 있죠. 오랜 기다림이 있어야 꽃을 볼 수 있기에 영험함이 있어서 용설란 꽃 피우는 것을 찾아 새해 복을 기원하기도 한답니다. 베란다 인테리어로 꾸미기에 좋은 식물입니다. 꽃 보시고 새해 소원을 빌어보시는 건 어떠실까요? 생김이 용의 혀를 닮아서 용설란이라고 부른다죠. 길게 자라면 그럴 수 있을 듯합니다만, 실내 화분에서 키우다 보니 길게 자라지는 않고 오동통하게 자라서 귀여운 이미지를 갖고 있어요. 아기용의 혀 같은 느낌입니다. 크게 자라면 길이가 2m 이상, 너비는 20cm까지 자란다고 하니 제대로 키운다면 용의 혀를 볼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용의 혀라고 하는데 부드럽지 않고 까칠해요. 잎의 가장자리에는 가시가 돋아나서 마치 선인장 같은 느낌이지만,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이에요. 다육식물의 한 종류라고 보시면 돼요. 원산지는 멕시코로 우리나에 들어온 귀화식물인 셈이죠.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실내 화분에서 관상용으로 많이 키우고 있습니다. 실내 식물로 많이 키우고 있으며 배란다 인테리어로 저도 화분 키우기 중이죠. 용설란은 100년에 한번 꽃을 피운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꽃이 핀 다음에는 생을 마감한다고 하고요. 평생 꽃을 한번 피우기 ...
내추럴
가족들과 거주 중
경험/노하우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