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만눈의 자동차

까만눈
자동차 전문블로거자동차 트렌드 전문
블로그 이웃 3,000+

팬을 맺고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CAR(xEV) & 재TECH & IT
자동차, 재테크, IT에 대해 포스팅 하며 하이브리드, 전기차에 대해 전문적으로 포스팅하고자
문의 : 이메일

새로운 토픽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CAR

테슬라 배터리 분석(탭리스, 4680, 배터리데이 발표자료)
상세 페이지로 이동
하이브리드 배터리 수명 (연비감소?, 배터리 교체?, 열화 걱정 안해도 된다)
상세 페이지로 이동
하이브리드 연비 운전법 (연비 향상?, EV 모드 주행법?)
상세 페이지로 이동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구분(HEV,PHEV,EV,FCEV, xEV)
상세 페이지로 이동

NBLOG

moment thumbnail
14
"나쁘진 않은데, 과연 잘 팔릴까?" BYD 아토3 (ATTO3) 소형 SUV 전기차 가격 실내 제원 크기 주행거리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의 입지 10위권 BYD(비야디) & Geely(지리) 마냥 중국차라고 욕할 수는 없을 수준 BYD는 이차전지 배터리 사업으로 시작한 중국 전기차 업체입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 1위라는 소식이 있지만, 이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중국 내수 시장 판매가 포함된 수치라 실제로 1위를 했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25년 현재, 중국 전기차는 어느 정도 수준일까요?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출처 : SNE 리서치) 24년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EV, PHEV) 통계를 살펴봤습니다. 1위는 테슬라, 2위 폭스바겐, 3위 현대기아가 차지했습니다. 10위권 내 중국 회사는 6위 지리(Geely) 와 10위 비야디(BYD) 두 업체가 있습니다. 기존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자동차 업체의 입지는 전혀 없었던 것에 비해 이제는 10위권 내에 점차 진입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비 중국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출처 : SNE 리서치) 마냥 중국차가 수준 떨어진다고 욕할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올해 BYD를 시작으로 지리차도 국내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BYD 아토3, 외관 디자인은 만족 실내 디자인은 다소 난해하다 느껴져 소형 SUV 전기차 수준 이상의 소재 BYD 아토3가 출시했다길래, 궁금해서 전시장에 다녀왔습니다. 저 역시 중국차에 대한 인식은 좋지 않은 편이었지만, 요즘...

8
"쌍용 코란도, 부활 선언? 그러나, 숨겨진 반전이 있다!" KGM KR10 신형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 취소?! 진실은?

추억의 명차 "쌍용 뉴코란도" 그 시절 대학생들의 드림카 쌍용 코란도가 인기를 끌던 것은 96년 2세대 모델이 출시하고부터입니다. '뉴 코란도'는 당시에 정통 오프로드 SUV 스타일에 현대적인 느낌을 더한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출시하며 엄청난 호평을 받은 차량입니다. 밴, 소프트탑 모델까지 출시하며 저렴한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었는데요. 그래서 많은 젊은세대와 대학생들의 드림카로 지금까지 그 명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마 많은분들이 추억의 명차 '쌍용 코란도' 를 기다리시는분들이 많으실거라 생각됩니다. 쌍용 코란도 부활하나..? KGM KR10 디자인 공개했으나, 2023년 서울모빌리티쇼에서 KG모빌리티는 'KR10' 이라는 차량의 목업이 공개되었습니다. 외관 디자인을 살펴보면 당시 쌍용 뉴코란도의 정통 디자인을 그대로 계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전면부에는 원형형 헤드램프와 LED 주간 주행등이 탑재되며, JEEP 스타일의 라디에이터 그릴 형상을 적용하였습니다. 직접 실물을 보고 온 입장에서 차량의 크기는 소형 SUV급이었습니다. 후면부에는 스페어 타이어 자리에 V2L 커넥터와 서바이벌 키트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KR10 프로젝트는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으로 목표로 개발했다고 합니다. 테일램프는 'KORANDO'의 K를 형상화한 그래픽 디자인이 적용되었습니다. 디자인면에서는 충분히 '뉴 코란도'...

13
"아빠들, 캠핑족 주목!" 기아 PV5 미니밴 캠핑카 전기차 패신저 위켄더 예상도 및 출시일은?

기아 PBV 첫 차량 PV 시리즈 출시 예정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 eS 적용 기아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 확장으로 전동화 및 자율주행 기반의 PBV 차량을 출시할 것으로 예고했습니다. PBV란 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 모빌리티로 기존 운전자 중심으로 설계된 자동차 개념을 넘어 사용 목적에 초점을 둔, 간결한 구조의 이동 및 운송 수단을 의미합니다. PV 시리즈 중 첫 번째로 출시되는 차량은 PV5로, 프로젝트명 SW1으로 개발 중입니다. 현대기아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S 플랫폼이 적용되어, 보다 확장된 휠베이스와 실내 공간을 보여줄 예정이라고 합니다. PV5 패신저, 차세대 미니밴을 보여준다 2-0-3, 1-2-2 등 새로운 시트 배열 카니발 대신 선택할만한데? 기아 PV5 예상도 (출처 : 뉴욕맘모스) 기아 PV5는 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을 적용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으로 개발 중입니다. 그중 패신저 모델은 기존 차량의 일원화된 시트 레이아웃을 벗어난 2-0-3, 1-2-2, 2-3-0 배열의 5인승 모델과 2-2-2 배열의 6인승 모델을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존 국내 미니밴 하면 떠오르는 차는 바로 카니발인데요. 오히려 카니발의 대항마로 기아 PV5가 떠오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6인승 모델은 2, 3열 모두 넉넉한 공간을 제공해 가족들에게 알맞은 시트 배열이 될...

16
"충전 중 찌릿?" 누설전류가 원인! 65W 접지형 초고속 충전기 솔루엠 스마트폰부터 노트북충전기까지

찌릿 정전기가 느껴진다면 누설 전류가 원인, 접지형 충전기가 필요한 이유 스마트폰, 아이패드, 포터블 모니터를 사용하다 보니 고출력 고속 충전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여러 충전기를 사용해 봤는데, 충전을 하면서 제품의 테두리를 만지면 찌릿하는 정전기가 종종 느껴지곤 하더라고요. 뭔가 그 느낌이 불쾌하고 혹시나 제품에 문제는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왜 그런지 좀 찾아봤더니, 바로 접지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접지형 충전기를 통해 누설전류 방지는 물론 제품 보호까지 솔루엠 65W 초고속 접지형 충전기 누설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접지가 되는 충전기 사용이 필수입니다. 접지 단자를 통해 누설전류를 외부로 방출하기 때문에 찌릿하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누설전류는 터치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터치 오작동도 발생할 수 있는데, 접지형 충전기를 사용하면 모두 해결이 가능하죠. 간혹 일부 제품들은 이러한 누설전류로 인해 제품의 회로에 영향을 미쳐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요. 제가 사용하고 있는 포터블 모니터도 여러 후기들을 보면, 접지형 충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더라고요. 그래서 이번에 선택한 제품이 바로 ‘솔루엠 65W 초고속 접지형 충전기’입니다. 접지는 물론, 65와트라는 충분한 출력, GaN 소재를 사용해 고효율 충전, 발열 최소화, PD3...

토픽

  • 시승기/리뷰

“쏘렌토·싼타페 취소하고 넘어가요" 르노 그랑 콜레오스 하이브리드 호평

콘텐츠 3
토픽 목록 더보기
  • 트렌드/뉴스

전기차 화재 원인은 무엇? ”무지성 비난은 멈춰야할 때“

콘텐츠 3
토픽 목록 더보기
  • 관리/수리

"하이패스 후진 절대 하지마세요" 고속도로 미납요금 납부 방법 많습니다.

콘텐츠 3
토픽 목록 더보기
  • 트렌드/뉴스

"전기차 출입금지" 화재 후 곳곳에서 갈등 확산, 대책이 시급

콘텐츠 2
토픽 목록 더보기
  • 시승기/리뷰

"그랜저 이제 끝" 기아 K8 페이스리프트 가격 인상한만큼 상품성 역대급

콘텐츠 3
토픽 목록 더보기

정보

대표사이트
https://blog.naver.com/thwnd20
Email
thwnd20@naver.com

인플루언서 정보

선호 차량 특징

SUV

세단

리뷰한 자동차 수

자동차 200대 이상

창작 분야

자동차 분야 소식

선호 차종 타입

대형

준대형

자동차 리뷰 스타일

얼리어답터

소유한 차량

현대자동차-2019-그랜저

기아자동차-2021-EV6

본인참여 2022.01.24
인플루언서 정보는 창작자 본인이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됩니다. 네이버는 입력된 정보를 매개 서비스하는 정보 제공자로서, 해당 정보의 정확성, 신뢰성, 최신성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연동채널

1개 채널에서3,022에게 영향력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