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토픽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Money will

Set You FREE

내 시간의

온전한 주인

자본이 자유케 하리

은퇴연구소
경제 전문블로거경제동향 전문
이달의 블로그 (2023.5)

팬을 맺고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안녕하세요, 은퇴연구소 입니다.

순자산 1억에서 16억까지 8년
근로+사업+자본+소득파이프로 연 2억원을 저축하며,
경제적 자유를 위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제 채널에서 함께 하고 계신 여러분도
저와 함께 나아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입에 발린 경제적 자유가 아니라
진정한 시간 부자가 되시길 바라며,

응원합니다 :)

토픽

  • 경제/비즈니스 기타정보

25년 연말정산의 모든 것

콘텐츠 4
토픽 목록 더보기
  • 경제 동향/뉴스

기초생활수급자가 받을 수 있는 혜택 정리

콘텐츠 3
토픽 목록 더보기
  • 경제 동향/뉴스

국민연금의 모든 것 (나이, 금액, 인상, 유족연금, 임의가입)

콘텐츠 4
토픽 목록 더보기
  • 경제/비즈니스 기타정보

실업급여 A to Z

콘텐츠 3
토픽 목록 더보기
  • 투잡/사이드 잡

경제적 자유를 위한 소득파이프 (블로그)

콘텐츠 3
토픽 목록 더보기

인플루언서 정보

경제 스타일

장기 투자

창작 분야

경제 관련 리뷰

경제 콘텐츠 스타일

분석적인

본인참여 2024.09.30
인플루언서 정보는 창작자 본인이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됩니다. 네이버는 입력된 정보를 매개 서비스하는 정보 제공자로서, 해당 정보의 정확성, 신뢰성, 최신성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연동채널

1개 채널에서5.3만에게 영향력이 있어요!

키워드 챌린지

키워드 챌린지 참여 콘텐츠

NBLOG

7
육아휴직 사후지급금 폐지와 소급, 이직 (24년에 이미 낸건 25년에)

이게 왜 만들어졌나 싶었던 육아휴직 사후지급금에 대한 글입니다. 25년 1월 1일부터 육아휴직 급여 인상과 더불어 사후지급금이 폐지 됐습니다. 사후지급금과 폐지에 대해 (24년도에 낸건 언제 받는지) 출처 : 고용노동부 사후지급금이란 육아휴직 직후 회사를 그만두는 케이스가 늘어나자 정부에서 매월 휴직급여 중 25%는 미지급했다가,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속했을 때, 일시금으로 주던 걸 말합니다. 회사의 폐업이나 해고 등 비자발적으로 퇴사 한 경우에는 6개월이 안되더라도 사후지급금 수령이 가능하지만, 자발적 퇴사의 경우에는 내가 낸 휴직 급여이지만, 못 받는거죠 25년 1월 1일부터 사후지급금 폐지 다들 잘 아시겠지만 2025년 1월 1일부터 휴직급여 인상과 함께 사후지급금은 완전 폐지 되었습니다. 급여의 100%를 육아휴직 기간 중에 지급하는 것으로 바뀌어서 25년 1월 1일부터 시행 중입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이미 24년부터 쭉 휴직을 하면서 25년도에도 이어서 휴직중이실텐데, 24년도에 이미 냈던 25%의 사후지급금은 어떻게 될까요? 사후지급금 소급으로 25년도에 그동안 냈던 25%를 일시에 돌려받는지 아니면 회사에 복직 후 6개월 근속해야 주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딱 정리해드립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복직 후 6개월 지나야 줍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의 상담 내역에서 보시는 것 처럼 25년 육아휴직 ...

14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자격) 혜택 및 생계급여 지원금 기준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상향되면서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이 다소 완화됐고, 지원금도 늘었습니다. 아래에서 수급자 자격및 기준과 지원금액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25년도의 기준 기준도 많이 완화되서 수급자가 6.4% 늘었고, 지원금도 4인 최대 195만원으로 늘었습니다. 이 모든건 신청주의 이므로 본인이 스스로 챙기지 않으면 아무도 챙겨주지 않으니, 아래 조건 확인하셔서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꼭 신청하세요! 기초생활수급자는 생계급여 / 의료급여 주거급여 / 교육급여 4가지 급여를 수급가능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은 크게 4가지 입니다. 생계 / 의료 / 주거 / 교육급여인데, 이 중 가장 혜택이 큰 건 뭐니뭐니 해도 생계급여 입니다. 보통 기초생활수급이라고 하면 생계급여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게 가장 혜택이 크기 때문이죠 수급자 자격 ① 소득인정액 기준 충족 (재산+소득을 환산한 금액) ② 자녀 (자녀의 배우자 포함) 소득은 폐지 됐으나, 고소득이면 불가능함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은 소득인정액이 각 급여별로 중위소득 하위 이내여야되고, 더불어 자녀가 고소득이 아니어야 합니다. 과거에는 부양의무자 (자녀)의 소득도 같이 봤었는데, 부양의무자 소득 조건은 폐지됐고, 연봉 1억 3천만원 이내면 됩니다. (그 이상이면 못 받음)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소득인정액 기준 우선 "중위소득" 이라는 걸 먼저 아셔야 하는데, 중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