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토픽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Money will
Set You FREE
내 시간의
온전한 주인
자본이 자유케 하리
팬을 맺고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안녕하세요, 은퇴연구소 입니다.
순자산 1억에서 16억까지 8년
근로+사업+자본+소득파이프로 연 2억원을 저축하며,
경제적 자유를 위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제 채널에서 함께 하고 계신 여러분도
저와 함께 나아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입에 발린 경제적 자유가 아니라
진정한 시간 부자가 되시길 바라며,
응원합니다 :)
장기 투자
경제 관련 리뷰
분석적인
이게 왜 만들어졌나 싶었던 육아휴직 사후지급금에 대한 글입니다. 25년 1월 1일부터 육아휴직 급여 인상과 더불어 사후지급금이 폐지 됐습니다. 사후지급금과 폐지에 대해 (24년도에 낸건 언제 받는지) 출처 : 고용노동부 사후지급금이란 육아휴직 직후 회사를 그만두는 케이스가 늘어나자 정부에서 매월 휴직급여 중 25%는 미지급했다가,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속했을 때, 일시금으로 주던 걸 말합니다. 회사의 폐업이나 해고 등 비자발적으로 퇴사 한 경우에는 6개월이 안되더라도 사후지급금 수령이 가능하지만, 자발적 퇴사의 경우에는 내가 낸 휴직 급여이지만, 못 받는거죠 25년 1월 1일부터 사후지급금 폐지 다들 잘 아시겠지만 2025년 1월 1일부터 휴직급여 인상과 함께 사후지급금은 완전 폐지 되었습니다. 급여의 100%를 육아휴직 기간 중에 지급하는 것으로 바뀌어서 25년 1월 1일부터 시행 중입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이미 24년부터 쭉 휴직을 하면서 25년도에도 이어서 휴직중이실텐데, 24년도에 이미 냈던 25%의 사후지급금은 어떻게 될까요? 사후지급금 소급으로 25년도에 그동안 냈던 25%를 일시에 돌려받는지 아니면 회사에 복직 후 6개월 근속해야 주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딱 정리해드립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복직 후 6개월 지나야 줍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의 상담 내역에서 보시는 것 처럼 25년 육아휴직 ...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상향되면서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이 다소 완화됐고, 지원금도 늘었습니다. 아래에서 수급자 자격및 기준과 지원금액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25년도의 기준 기준도 많이 완화되서 수급자가 6.4% 늘었고, 지원금도 4인 최대 195만원으로 늘었습니다. 이 모든건 신청주의 이므로 본인이 스스로 챙기지 않으면 아무도 챙겨주지 않으니, 아래 조건 확인하셔서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꼭 신청하세요! 기초생활수급자는 생계급여 / 의료급여 주거급여 / 교육급여 4가지 급여를 수급가능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은 크게 4가지 입니다. 생계 / 의료 / 주거 / 교육급여인데, 이 중 가장 혜택이 큰 건 뭐니뭐니 해도 생계급여 입니다. 보통 기초생활수급이라고 하면 생계급여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게 가장 혜택이 크기 때문이죠 수급자 자격 ① 소득인정액 기준 충족 (재산+소득을 환산한 금액) ② 자녀 (자녀의 배우자 포함) 소득은 폐지 됐으나, 고소득이면 불가능함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은 소득인정액이 각 급여별로 중위소득 하위 이내여야되고, 더불어 자녀가 고소득이 아니어야 합니다. 과거에는 부양의무자 (자녀)의 소득도 같이 봤었는데, 부양의무자 소득 조건은 폐지됐고, 연봉 1억 3천만원 이내면 됩니다. (그 이상이면 못 받음)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소득인정액 기준 우선 "중위소득" 이라는 걸 먼저 아셔야 하는데, 중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