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을 맺고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자동차 튜닝과 시승기를 비롯한 카라이프와 자동차에 관련된 기술적인 지식들을 공유하는 블로거입니다.
새로운 토픽 콘텐츠를 확인해보세요.
3개 채널에서3.5만명에게 영향력이 있어요!
얼마전 쉐보레 스파크 EUV가 쉐보레의 브라질 진출 100주년 기념 행사를 통해서 공개되었습니다. 외형으로 볼 때 우리가 알고 있는 쉐보레 스파크의 정체성은 전혀 느껴지지 않죠? 외형 스타일이 지프 레니게이드와 비슷한 스타일이라는 느낌도 들지만, 디테일에서는 차이가 좀 있습니다. 여하튼 오프로더를 연상시키는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네요. 일단, 국내에서 판매되었던 쉐보레 스파크는 경차이고, 차량 형태는 5도어의 경형 해치백 이었기 때문에 쉐보레 스파크 EUV라는 이름을 들었을 때, 단종된 스파크가 전기차로 부활한건가?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예전에 스파크 EV가 출시된 적도 있었구요. 하지만, 이번에 공개된 쉐보레 스파크 EUV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경차가 아닌 소형 SUV 스타일의 외장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실, 쉐보레 스파크 EUV는 GM이 개발한 차량도 아니고, 이전의 스파크의 정체성을 계승하는 차량도 아닙니다. 쉐보레 스파크 EUV는 중국 상하이 자동차와 GM의 합작한 상하이GM 산하의 브랜드인 바오준에서 출시한 옙 플러스의 뱃지 엔지니어링 모델입니다. 바오준 옙 플러스는 2024년 1월에 공개되어 4월부터 판매가 시작된 모델로, 저가형 소형 전기차로 개발된 모델입니다. 쉐보레 스파크 EUV는 바로 이 바오준 옙 플러스를 쉐보레 브랜드로 뱃지 엔지니어링해서 브라질을 중심으로 멕시코, 아르헨티나, 중동 등에서 판매...
이번에 소개할 맵핑 작업 차량은 오랜만에 SM6 1.5 dCi 입니다. SM6 맵핑의 경우 SM6 1.6 Tce는 자주 맵핑 작업 의뢰가 있는 편이지만, 1.5 dCi (디젤)의 경우는 맵핑 의뢰가 많은 편은 아닙니다. 이전 모델인 SM5 1.5dCi의 경우는 종종 맵핑 작업 의뢰가 있어서 작업을 많이 하는 편이지만, SM6의 경우는 디젤 모델이 거의 판매가 되지 않아서 도로에서도 거의 보기 힘든 차량이라 맵핑 의뢰도 드문편입니다. SM6 디젤은 중형 세단에 적용하기에는 엔진 출력이 많이 낮은 편이기도 하지만, 오너분들의 불만은 출력 그 자체보다는 굼뜬 악셀 응답성과 울컥임이 심한 변속감이 많아서 이 부분을 개선하고자 맵핑을 의뢰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사실, 굼뜬 악셀 응답성과 울컥임이 심한 변속감은 SM6 1.6Tce에서도 불만이 많아서 맵핑을 할 때 공을 들여서 불만을 해소할 수 있도록 맵핑을 하고 있지만, 디젤의 경우는 그 정도가 더 심하고, 아무래도 디젤 엔진이다 보니 1.6 Tce 보다 악셀 응답성을 개선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게다가 1.6Tce의 경우 습식 7단 dct가 적용되지만, 1.5 dCi는 6단 건식 DCT가 적용되기 때문에 변속시 울컥임이 더 심합니다. 르노의 습식 DCT도 울컥임이 있지만, 건식은 더 심하죠. 많은 분들이 이 울컥임을 변속기 탓이라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변속기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올해 출시될 예정인 기아 PV5의 디자인이 공개되었습니다. 기아 PV5는 기차 최초의 전용 PBV (목적 기반 모빌리티)로 기아는 PV1, PV5, PV7까지 3가지 라인업으로 구성이 됩니다. 그중에서 이번에 가장 먼저 양산 디자인이 공개된 것은 PV5인데요. 앞서 현대차는 목적 기반 유틸리티인 ST1을 이미 출시한 바 있는데, 현대 ST1이 좀 더 전통적인 형태의 외장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는 것과 달리, 기아 PV5는 상당히 미래적인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게다가 현대 ST1이 상용차의 형태로만 출시된 것과 달리, 기아 PV5는 미니밴, 카고, 탑차 등 보다 다양한 형태로 활용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더욱 관심이 가는군요. PBV (목적 기반 유틸리티)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개인화 설계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도심형 친환경 모빌리티를 추구하고 있는 모델입니다. 전통적인 형태의 자동차보다는 모빌리티 개념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는 모델로, 4~6미터까지 확장 가능한 전용 플랫폼으로 프레임을 구축하고, 프레임 상단에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모듈을 적용하여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개인화 설계가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기아 PV5는 현대기아차 그룹에서 전용 PBV에 최적화된 플랫폼인 e-CCPM을 이용해서 개발한 모델로, 향후 미국, 일본 등으로의 수출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미래전략형 모델입니다. 현...
최근 KGM의 (구 쌍용자동차) 토레스 하이브리드 인증과 함께 올 1분기 출시 예고 소식이 있었습니다. 요즘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은 바로 하이브리드 차량인데, 그동안 KGM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출시하지 않았었습니다. 그런데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개발할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KGM이 갑자기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출시한다고 해서 놀라시는 분들도 있었을 겁니다. 사실, KGM은 약 1년 전에 중국 BYD와의 협업을 통해 하이브리드 기술을 도입하여 자체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과연 곧 출시하게 될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어떤 차량일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KGM 토레스는 처음 출시되었을 당시 멋진 디자인과 괜찮은 가격으로 많은 관심을 받으며 반짝 인기를 누렸으나, 경쟁차에 비해 완성도가 떨어지고, 인기 파워트레인인 하이브리드가 없다 보니 최근 들어서는 판매량이 급감한 상태입니다. 현재는 국내 동급 SUV 중에서 가장 낮은 판매량에 머물고 있는 수준입니다. 토레스는 지난 1월 547대를 판매하며, 1위인 쏘렌토 7,454대, 2위인 스포티지 6,547대, 3위인 싼타페 4,819대, 4위인 투싼 3,636대와 비교해서 처참한 수준의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2024년 12월 판매량은 더욱 처참한데요. 고작 453대를 판매하며 8,828대를 판매한 쏘렌토, 6,122대를 판매한 ...
SUV
세단
자동차 500대 이상
자동차 리뷰
준대형
중형
디테일에 집중
폭스바겐-2015-골프 GTD
테슬라-2020-모델3
기아자동차-2017-올 뉴 모닝 터보 GDi
메르세데스 벤츠-2015-A45 A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