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키워드 1,013
2025.01.16참여 콘텐츠 89
7
소비자물가지수 급등에도 나스닥이 급등한 이유

미국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9%를 기록합니다. 연준의 목표인플레이션인 2%보다 훨씬 초과합니다. 물가가 이렇게 상승하면 기준금리 인하가능성이 낮아지면서 나스닥은 폭락해야 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폭등합니다. CPI상승률이 크게 상승했지만, 근원CPI상승률이 기대보다 낮게 나오면서 나스닥은 폭등합니다. CPI상승률은 상승하고 있지만, 그외 근원CPI,근원서비스는 하락하고 있습니다. 근원CPI는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것을 말합니다. 12월 CPI상승률이 높게 나온 이유는 에너지가격이 크게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요소는 물가갭과 생산갭,기대인플레이션입니다. 생산갭은 GDP갭으로 실제GDP와 잠재GDP의 차이를 말합니다. GDP갭이 크다는 것은 경기가 과열이라는 의미입니다. 연준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경기과열을 식히게 됩니다. 현재에는 실제GDP가 잠재GDP보다 큰 상태입니다. GDP갭이 플러스입니다. 이 경우 연준은 기준금리 인하가 아니라 인상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잠재GDP는 추상적인 값입니다. 그래서 언제든지 수정이 가능합니다. GDP갭은 플러스이지만, 물가상승률이 하락한다면 잠재GDP를 잘못 추정한 것이 됩니다. 이 경우 연준은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아도 됩니다. 실업률과 자연실업률의 차이를 실업률갭이라고 합니다.실업률이 자연실업률보다 높으면 실업률갭은 플러스입니다. 현재는 실업률이 자연실업률보...

2025.01.16
2
생산자물가지수 전망치 하락에도 나스닥이 하락한 이유

미국 생산자물가등락률은 예상치 0.4%보다 낮은 0.2%을 발표합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도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나스닥은 상승해야 합니다. 물가가 낮아지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다만, 트럼프가 관세를 부과하면 수입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그래서 현재 수입물가지수가 예상치보다 낮아 발표가 되어도 주식시장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연준은 실제GDP와 잠재GDP를 일치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2010년대 전세계적인 특징은 돈을 풀어도 경기침체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이였습니다. 실제GDP가 잠재GDP보다 아래에 있었습니다. GDP가 상승하려면 소비,투자가 늘어나야 합니다. 돈을 풀었지만, 소비와 투자는 별로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유로존과 일본은 마이너스금리를 도입합니다. 2010년대초반 CBDC를 도입하려고 했던 이유는 마이너스금리 적용 때문입니다. CBDC는 중앙은행 예금입니다. CBDC에 마이너스금리를 적용하게 되면 소비가 늘어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였습니다. 트럼프가 당선이 되고 소비가 늘어나면서 GDP갭은 플러스로 전환이 됩니다. 2021년말부터 실제GDP는 잠재GDP를 상회하게 됩니다. 24년 9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GDP갭은 더 확대가 되고 있습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것은 물가만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산출량도 고려합니다. GDP도 고려를 합니다. 테일러준칙에서는 물가와 생산을 고...

2025.01.15
7
채권자경단이 나타나면서 장단기금리차가 확대되고 나스닥다우지수 급락가능성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금,부동산,주식등 실물소유자와 채권소유자간에 부의 재분배가 발생합니다. 채권은 원금이 변동없지만, 부동산,주식은 원금이 변동되기 때문입니다. 30년전 나스닥100에 10만달러를 투자했다면 현재 원금은 1000만달러이지만 채권원금은 그대로 10만달러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때 채권투자자는 채권을 매도하게 됩니다. 이를 채권자경단(Bond Vigilantes)이라고 표현합니다. 재정적자가 심할 경우 채권자경단은 나타납니다. 적자국채발행량 증가로 국채가격하락 때문입니다. 미국이 자유시장경제를 포기한 것이 양적완화입니다. 비트코인에게 생명을 준 이유이기도 합니다. 2008년이후 미국정부부채는 폭발적으로 증가합니다. 이런 경우 채권자경단이 나타납니다. 미국국채를 매도하는 것입니다. 중국이 2010년대초반이후 미국국채를 매도한 원인이기도 합니다. 채권자경단이 채권을 매도해도 채권가격은 하락을 하지 않습니다. 중국이 보유국채를 전부 매도해도 미국채권시장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왜냐면, 연준이 채권을 매입했기 때문입니다. 채권자경단이 채권을 매도해도 미국국채금리에는 영향이 없는 이유가 연준이 대규모 채권을 매입했기 때문입니다. 2020년 연준이 보유한 국채는 2.1조달러에서 5.7조달러까지 증가합니다. 연준이 국채를 매입하게 되면 통화량증가로 이어집니다. 현재는 현금보다는 예금을 많이 쓰기 때문에 지급준비금...

2025.01.13
7
고용지표가 좋게 나오면서 나스닥이 하락한 이유

https://blog.naver.com/andree77/223723341455 미국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핵심요소 https://blog.naver.com/andree77/223721023828 1980년대 우리나라는 고물가시대였습니다. 하지만, 기준금... blog.naver.com 아래 설명이 부족하면 위 내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1월 10일 미국실업률은 4.1%를 기록합니다. 예측치는 4.2%입니다. 실업률이 낮아진다는 것은 경기가 좋다는 의미입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주가는 올라야 합니다. 그런데, 나스닥은 하락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죠. 연준이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요소는 GDP갭입니다. GDP갭은 실제GDP와 잠재GDP차이입니다. GDP갭이 확대가 되면 물가는 상승합니다. 실제GDP가 잠재GDP보다 높은 상태를 예를 들어보죠. 마라톤선수가 있습니다. 마라톤선수가 초반에 오버페이스(over pace)하면 끝까지 달리기 어렵습니다. 마라톤에서 페이스메이커들이 GDP갭이 플러스인 상태입니다. 자신이 보유한 능력보다 오버페이스를 유지합니다. 중간쯤이 되면 페이스메이커는 선두권에 있다가 뒤처지게 됩니다.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오버페이스를 하면 안됩니다. GDP갭이 너무 커지면 현재 경제가 오버페이스된 상태입니다. 이 경우 경제성장속도를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능력이 다르듯이 ...

2025.01.12
7
나스닥100이 3만을 가기 위한 조건

주식,부동산가격은 M2가 증가하면 상승합니다. M2는 대부분 예금을 의미합니다. 은행잔고를 의미하죠. 고객예탁금도 예금입니다. M2가 늘어나는 원리를 간단하게 살펴보죠. 중앙은행이 100을 공급합니다. 이 100을 본원통화라고 합니다. 100을 공급하면 은행은 지급준비금만큼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대출할 수 있습니다. 90을 대출하면 예금잔액은 190이 됩니다. 예금은 대출을 통해서 늘어나게 됩니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정책은 대출을 통제하는 정책입니다. M2가 늘어난다는 것은 대출이 늘어난다는 의미입니다. 기준금리를 높게 유지하면 대출증가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M2증가율도 낮아집니다. 중앙은행이 아무리 기준금리를 낮게 유지를 해도 본원통화규모가 작다면 예금이 크게 늘어나기는 어렵습니다. 본원통화가 크게 증가하면 M2가 쉽게 증가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됩니다. 본원통화는 현금통화와 지급준비금의 합입니다. 나스닥100이 계속해서 상승하는 이유는 M2가 계속해서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M2는 지급준비금과 기준금리로 결정됩니다. 나스닥이 3만을 가기 위한 조건은 곧 지급준비금이 증가하거나 기준금리 인하입니다. 2008년이후 나타나는 현상은 패닉바잉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이나 부동산을 매입할 경우 가격하락위험을 걱정합니다. 2015년이후 주식,부동산의 가격하락보다는 가격상승을 걱정하게 됩니다. 나스닥100은 끝없이 상승합니다. 비트코인은 대폭등합니...

2025.01.07
2024.12.04참여 콘텐츠 22
5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가결이후 코스피야간선물과 달러환율,엔화환율 안정중

이번 계엄령선포는 헌법 제77조에 근거해서 선포됩니다. 계엄령은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가 있을 때 선포할 수 있습니다. 주관적인 부분이 있지만, 현재 상황은 전시,사변 또는 국가비상사태에 준하지 않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입니다. 제77조5항에서는 국회의원 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계엄 해제를 요구한 때에는 대통령은 이를 해제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국회의원 190명 만장일치로 계엄해제 요구안은 가결이 됩니다. 헌법제77조에 따라서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해제해야 합니다. 만약, 해제를 하지 않으면 명확하게 법을 위반했기 때문에 탄핵사유입니다. 해제요구안이 가결이 되고 코스피야간선물은 급반등합니다. 하지만, 고점대비 2.7% 하락한 상태입니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해제해야 반등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해제해도 헌법 제77조1항에 대해서는 다툼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가 전시에 준하는 비상상황인 것에 대한 다툼입니다. 야당에서는 탄핵할 명확한 명분이 없었는데 이번 사태는 대부분 국민들이 납득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탄핵의 명분을 민주당으로써는 얻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달러환율 역시 해제안 가결이후 하락 중입니다. 엔화환율은 거의 안정화되었습니다. 급락이전 가격으로 거의 되돌아왔습니다. 1차적으로 코스피야간선물이 반등하려면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해제해야 할 것으로 보...

2024.12.04
10
엔화환율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방법

일본이 기준금리를 낮게 유지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경기를 호황으로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일본의 임금이 낮다면 일본 경제는 활성화될 것입니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공장을 짓는다고 해보죠. 우리나라에서 반도체 공장을 짓는 것보다 일본에서 반도체 공장을 짓는 것이 유리합니다. 왜냐면, 반도체 공장을 짓기 위해서 돈을 빌려야 하는데, 우리나라보다 일본금리가 낮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기준금리를 낮추면 세계 기업들이 일본으로 올 것이라는 기대를 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의 높은 임금으로 인해서 세계 기업은 일본으로 진출하지 않습니다. 자본은 두가리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실물자본과 금융자본입니다. 과거 자본이라고 하면 실물자본을 의미합니다. 주식,채권,예금은 금융자본입니다. 자본론에서 자본은 실물자본을 의미합니다. 일본이 기준금리를 낮추어서 고정투자를 늘리는 것이 주요한 목표였습니다. 고정투자가 늘어나면 실물자산이 형성됩니다. 일본의 경우 돈을 풀어도 고정투자가 늘어나지 못합니다. 지리적 특성, 높은 임금 등의 영향으로 일본에서 공장을 짓는 것에 주저하게 되죠. 특히, 지진은 공장을 짓는데 가장 큰 방해요소입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일본에서 고정투자가 늘어나기 더욱더 어렵게 만듭니다. 일본인들도 이때부터 일본을 벗어나기 시작합니다. 대부분 투자자들이 오해를 하는 부분이 일본의 저금리 정책으로 일본인들이 ...

2024.09.16
9
엔화환율와 금값 변동성 원인과 금값 고점 타이밍

최근 엔화에 대한 투기적포지션을 보면 하락배팅 규모가 컸습니다. 최근에는 선물포지션은 플러스로 전환됩니다. 일반적으로 헤지펀드들은 엔화에 대해서 하락배팅합니다. 엔화 하락배팅을 한다는 것은 달러엔(현물)상승에 배팅한다는 의미입니다. 2024년 헤지펀드들은 너무 과도하게 엔화에 하락배팅을 합니다. 과도하게 하락배팅했다는 것은 선물매도포지션을 많이 쌓았다는 것이죠. 달러엔이 상승하는 이유는 미국과 금리차이 때문만은 아닙니다. 2016년 11월 트럼프가 당선이 되고 옐런은 본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합니다. 2007년부터 연준은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달러엔도 하락합니다. 그런데, 특이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2012년말부터 달러엔은 폭등합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시기는 2015년 12월부터입니다. 2016년 11월 트럼프가 당선이 되고 본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합니다. 2016년 12월부터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달러엔은 오히려 하락합니다. 그리고 2019년 7월부터 연준은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그러면 달러엔은 하락해야 합니다. 2020년 3월 미국은 기준금리를 제로로 인하했지만, 달러엔은 하락하지 않습니다. 2022년 3월부터 미국은 기준금리를 인상합니다. 22년 6월부터 자이언트 인상을 시작하면서 달러엔도 급격하게 상승합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달러엔이 상승한다고 하지만 2016년 12월부터 2018년 12월에는 오히려 ...

2024.08.17
9
엔화환율과 니케이지수의 상관관계

BOJ 부총재는 시장불안시 기준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엔화환율은 크게 상승합니다. 달러엔은 BOJ 부총재 발언 이후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엔화환율 상승이 니케이지수 상승을 이끌었고 나스닥 선물도 크게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니케이지수와 달러엔은 2024년 1월부터 동조화되고 있습니다. 23년 7월부터 12월까지 상관관계는 크지 않았습니다. 23년 1월부터 6월까지 니케이지수와 달러엔은 거의 같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2012년말 아베노믹스를 시작으로 달러엔은 급등합니다. 니케이 역시 엔화약세에 따라서 같이 급등합니다. 현재 니케이지수 폭락과 유사한 시기는 2013년 5월입니다. 2012년 말 아베노믹스 시작 이후 니케이지수는 폭등합니다. 8000대에서 15000대로 6개월만 대폭등합니다. 니케이지수가 상승할 때 특징은 달러엔과 연동이 되었습니다. 2012년말 아베노믹스로 달러엔이 상승하고 니케이지수가 상승한 원인은 자산매입에 있습니다.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와 유럽재정위기로 미국과 유럽도 금리를 제로로 내립니다. 일본의 제로금리 정책에도 엔화는 다시 강세로 전환하죠. 이때 일본은 엔화약세를 전환하기 위해서 새로운 방법을 고안합니다. 일본은행 자산을 대폭늘리는 것입니다. 엔화를 대폭적으로 발행하는 것입니다. 아베노믹스 이후 일본은행은 국채를 대규모로 매입입니다. 현재에도 매입하고 있습니다. 주식,부동산 시장...

2024.08.07
12
엔화환율과 니케이지수 급락원인, 일본주식 바닥 신호..일본은행의 일본 ETF 매입시점

달러엔은 일본은행 금리인상으로 급락합니다. 달러엔이 급등한 원인은 헤지펀드들에게 있습니다. 헤지펀드들은 달러엔하락배팅 규모를 높입니다. 달러엔 매도포지션은 계속해서 증가했습니다. 23년 12월 달러엔은 급락합니다. 이때 CFTC 투기적포지션은 급감합니다. 이후 하락배팅을 늘리면서 달러엔은 하락했고 최근 숏커버링이 늘어나면서 달러엔은 하락하게 됩니다. 최근 10년동안 달러엔 차트를 보면 지속적으로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팬데믹 이후 달러엔은 급등합니다. 이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입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2020년처럼 제로금리로 유지하게 되면, 달러엔은 급락하게 될 것입니다. 헤지펀드들은 기본적으로 엔화에 대해서는 하락배팅을 하고 있습니다. 2016년 달러엔이 100엔까지 하락했을 때 헤지펀드들은 엔화의 롱포지션을 구축합니다. 2020년 미국기준금리 인하로 롱포지션을 구축한 이후 계속해서 숏포지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달러엔이 급등하면서 일본은행은 외환시장에 개입하게 됩니다. 개입한다는 것은 일본은행이 보유한 달러로 엔화를 매수한다는 의미입니다. 최근 일본은행은 외환시장에 개입합니다. 일본은행은 달러로 엔화를 매수하게 됩니다. 일본은행 외환보유액은 줄어들게 됩니다. 우리나라 역시 2022년 달러원은 급등하게 되고 한국은행은 달러를 매도하고 원화를 매수합니다. 2022년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크게 줄어들게 ...

2024.08.02
2022.03.12참여 콘텐츠 1
8
원전 관련주로 수익내기

정권 교체로 탈원전에서 원전 강국으로 정책이 전환됩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도 재개하고 노후화로 재개되었던 월성 1호기의 재가동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또한, 미국이 러시아를 강하게 몰아붙이면서 고유가 시대는 시작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독일의 경우 탈원전으로 러시아로부터 많은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전기 생산에서 원전 비중을 줄이고 있기 때문이죠. 다음은 독일의 전력 생산 비중입니다. 전기차 역시 친환경이 아닙니다. 전기를 대부분 화석연료나 원자력으로 생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태양광,풍력,수력등 전기를 친환경으로 만들어야 하지만 이 부분에는 자본이 투입되지 않고 있습니다. 전기차를 친환경이라고 대중들은 인식하고 있죠. 이것은 자본의 힘입니다. 자본은 투자할 곳이 없고 새로운 투자처를 만들어 냈습니다. 그것이 전기차입니다. 전기차로 바뀐다고 친환경이 되지 않습니다. 물론 도시는 깨끗해집니다. 하지만 지구전체에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 전기는 화석연료로 생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기생산에서 화석연료 가격 급등으로 원전의 경제성은 높아 질 것입니다. 지난 2년동안 전기차관련주들이 급등을 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은 양극재 관련주로 주가는 10배이상 상승합니다. 에코프로비엠은 업황호전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세가 있었고 이에 주가는 상승하게 되고 주가상승에 따라서 2021년 8월 MSCI에 편입을 합니다. MSCI편입은 주식을 매도...

2022.03.12
1일 전참여 콘텐츠 55
5
딥시크로 인한 코스피하락과 달러환율이 상승하는 이유

최근 달러환율은 다시 상승하고 있습니다. 1월 달러환율이 하락한 원인은 국민연금이 환헤지를 했기 때문입니다. 국민연금은 한국은행으로부터 달러를 빌려옵니다. 빌려온 달러를 매도합니다. 이로 인해서 달러환율은 하락했죠. 외국인이 주식을 강하게 매도하면서 달러환율은 상승하고 있습니다. 외국인이 코스피를 매도하면 매도한 원화를 달러로 바꿀 것입니다. 달러수요가 증가하면서 환율은 상승하게 됩니다. 외국인이 강하게 매도하고 있는 업종은 전기전자업종입니다. SK하이닉스는 외국인 매도로 급락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딥시크 영향입니다. 고사양 AI반도체의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으로 엔비디아는 급락합니다.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보다 고사양 반도체를 양산하면서 SK하이닉스 매출감소폭이 커질 전망으로 주가 하락폭은 삼성전자보다 큽니다. 딥시크로 인해서 엔비디아주가 하락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딥시크로 인해서 엔비디아의 불확실성은 대폭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엔비디아가 하락하게 되면 SK하이닉스를 외국인들은 매도하게 될 것입니다. 외국인이 전기전자업종을 매도하면 국내 달러수요는 대폭 상승하게 되고 달러환율은 상승하게 됩니다. 엔비디아주가가 달러환율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여기에 지속적으로 해외로 자금은 유출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증시 침체와 미국금리 상승 때문입니다. 미국주식과 미국채권으로 자금은 꾸준히 유출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달러환율...

1일 전
8
트럼프 관세언급에 따라서 움직이는 달러환율

트럼프는 취임식에서 관세부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면서 달러환율은 급락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언급이후 달러환율이 하락하는 이유는 달러인덱스가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달러인덱스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로 하락합니다. 9월 트럼프 당선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달러인덱스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트럼프 당선이후에도 계속해서 상승합니다. 달러인덱스 가격이 트럼프 당선이후에도 계속해서 상승한 이유는 물가상승 때문입니다. 트럼프가 관세를 부과하면 수입물가가 상승하면서 물가는 상승할 것입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연준은 기준금리를 내릴 수 없습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높게 형성이 되면 미국내로 자금은 유입이 될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채권투자는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트럼프가 관세부과를 줄인다는 것은 미국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미국내로 자금유입이 줄기 때문에 달러의 수요가 줄어들 것입니다. 달러가격은 달러의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이 됩니다. 달러수요가 줄면 달러가격은 하락할 것입니다. 달러가격을 다른 표현으로 달러인덱스라고 합니다. 달러,원화,엔화가격은 자국내 금리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이를 금리평가설이라고 합니다. 원화의 가격은 금리에 의해서만 결정이 되지 않습니다. 금리 뿐만아니라 경상수지, 생산성, 기대심리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원화가격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금리입니다. ...

2025.01.21
8
한국은행이 돈을 풀 수 없는 이유...부동산담보대출로 부동산가격급등과 미국주식투자로 달러환율급등

국가예산의 재원은 세금과 적자국채입니다. 국가채무는 두가지로 구성이 됩니다. 적자성채무와 금융성채무입니다. 적자성채무는 대응되는 자산이 없는 것을 말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는 이 적자국채를 중앙은행이 인수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경우 연준이 이 적자국채를 인수하면서 자산은 크게 증가합니다. 연준은 국채 뿐만 아니라 MBS도 매입하고 있습니다. 미국 주택가격의 버블을 만든 주체는 연준입니다. 연준이 국채와 MBS를 매입하면 대변항목도 증가합니다. 본원통화는 현금통화와 지급준비금의 합니다. 2008년이후 현금통화와 지급준비금은 계속해서 증가를 하고 있습니다. 본원통화만 보면 미국은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해야 합니다. 연준자산이 10배이상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M2는 2019년까지 안정적이였습니다. 2020년과 2021년 크게 증가를 하면서 물가를 급등시키고, 자산가격을 급등시킵니다. 본원통화가 증가한다고 M2가 바로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M2가 증가하려면 대출이 늘어나야 합니다. 2019년까지 본원통화는 크게 증가를 했지만, M2 증가율은 일정합니다. 이것은 LCR영향입니다. 은행들이 예금을 받으면 과거에는 지급준비금을 적립했습니다. 현재에는 지급준비금 대신에 LCR을 적용합니다. 우선 소매예금과 도매예금을 나누고 그에 대응해서 이탈율을 적용합니다. 이 이탈율이 지급준비율입니다. 과거에는 예금종류에 상관없이 지급준비율을 일정하...

2025.01.17
8
국민연금이 달러환율시장에 개입하는 주된 목적

https://blog.naver.com/andree77/223415704978 금융위기와 달러환율...CRS와 스왑포인트 금융위기가 발생하게 되면, CRS금리와 스왑포인트,스왑레이트는 하락하게 됩니다. 2008년 9월 리만 브라... blog.naver.com 주식투자자입장에서는 CRS와 스왑포인트에 대해서만 알아도 충분합니다. CRS가 급락하거나 스왑포인트 또는 스왑레이트가 급락하면 금융위기라는 사실만 알아도 됩니다. 2020년 3월 팬데믹에서 스왑레이트,CRS,IRS는 급락합니다. CRS는 고정금리이며, IRS는 변동금리입니다. 스왑레이트,CRS는 외환시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고 외화자금시장에서 사용이 되는 용어입니다. 외환시장은 외환을 교환하는 시장이고 외화자금시장은 외화를 빌리는 시장입니다. 우리나라 외환거래규모를 보면 24년 11월 현물환은 138.5억달러이며, 외환스왑은 167.7억달러입니다. 현물환보다 외환스왑 거래대금이 더 많습니다. 외화자금시장의 중요한 지표가 스왑레이트와 CRS(통화스왑금리)입니다. IRS는 이자율스왑금리입니다. 환헤지 개념을 모르면 사기당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투자자들이 많이 투자하는 상품이 2621입니다. 일본에서 달러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엔원은 상승하고 미국채권에 투자하기 때문에 고금리와 환차익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고 사기치는 상품이죠. 만약, 일본에서 미국채권에 투...

2025.01.03
7
달러환율 1500원대 안착이 문제가 되는 시기

선물옵션이 존재하는 이유는 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리스크를 헤지한다는 것은 스퀘어포지션으로 만든다는 것입니다. 수입업체가 있다고 해보죠. 최근처럼 달러환율이 상승하면 수입업체는 수입원가가 상승할 것입니다. 구리수입업자는 환율이 상승하면서 구리수입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렇게 가격이 변동하는 위험을 시장위험이라고 합니다. 구리수입업자는 환율변동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해서 선물환을 매수합니다. 수입업자가 9월 달러환율이 1350원에서 선물환을 매수했다면 달러환율이 올라도 수입업자가 지불할 달러환율은 1350원으로 고정이 됩니다. 선물환을 통해서 수입업자는 환율변동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습니다. 가격변동위험을 시장리스크라고 합니다. 파생상품은 대부분 시장리스크를 헤지하는 상품들입니다. 신용리스크(Credit Risk)는 가격변동위험이 아니라 채불불이행위험입니다. 부도,파산등으로 원금을 받지 못할 위험이죠. 신용위험을 회피하기 위해서 만든 상품이 CDS입니다. CDS는 신용부도스와프라고 합니다. CDS는 보험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연대보증으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친구가 대출을 받고 연대보증을 해주는 것입니다. 대신에 연대보증수수료를 받습니다. 연대보증을 상품화시킨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대출받은 친구의 사업이 잘 될 경우 대출을 갚지 못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이 경우 연대보증수수료는 줄어들 것입니다. 반대로 경기가 불황이 되어 사...

2024.12.29
2024.11.04참여 콘텐츠 43
5
금투세폐지되면 PF대출,NPL투자,부동산 사모펀드에 대악재

금융권 부동산 PF대출에서 연체율은 상승하고 있습니다. PE대출에서 연체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부실채권이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 부실채권을 NPL이라고 합니다. 우선,채권과 물권의 차이를 이해해야 합니다. 금값이 상승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금의 존재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물건에 대한 권리를 물권이라고 하죠. 물권은 함부로 만들어내지 못합니다. 물건이 있어야 물권이 존재합니다. 이에 반해서 채권은 무제한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채권은 당사자간에 계약에 의해서 무제한으로 만들어냅니다. 제가 친구에게 1조를 받을 권리가 있으면 저는 친구에게 채권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1조채권이 있다고 해서 그 채권의 가치를 아무도 인정해주지 않을 것입니다. 그 채권의 가치를 인정해주는 기관이 신용평가기관입니다. 제가 국가로부터 1조의 채권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 누구나 인정할 것입니다. 원래 달러는 채권의 계약으로는 형성이 되지 않았습니다. 달러는 물건의 권리로만 형성이 되었습니다. 달러는 곧 금이였습니다. 금의 존재량은 정해져 있습니다. 달러의 발행량도 정해져있었습니다. 사회가 발달하면서 더 많은 달러수요는 발생합니다. 이 수요에 따라서 달러를 찍어냅니다. 현재, 달러는 채권계약에 의해서 만들어냅니다. 미국정부가 나중에 돈을 준다고 하고 국채를 찍어냅니다. 미국 정부에게 빚을 갚으라고 하면 미국정부는 새로운 채권으로 빚을 갚습니다. ...

2024.11.04
4
금투세 폐지 가능성으로 코스닥,코스피 급등과 부동산시장에도 호재인 이유

이재명 대표의 금투세 폐지 동의로 코스피는 급반등합니다. 특히, 코스닥의 반등폭이 더 큽니다. 코스닥 반등폭이 큰 이유는 불법자금이 많기 때문입니다. 불법정치자금 등 불법자금이 작전세력들의 쩐주의 역할을 합니다. 현재, 주식양도소득세가 부과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국세청으로 정보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금투세가 시행이 되면 자동으로 국세청으로 정보가 전달됩니다. 연말이면 코스닥이 하락하는 이유가 바로 이 불법자금들 때문입니다. 배당을 받는다는 것은 주주명부에 기재가 된다는 것이죠. 주주명부에 기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연말에 주식을 매도하면서 급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배당락일 이후 급등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죠. 코스피에 비해서 코스닥 상승폭이 큰 이유가 바로 이 불법자금 이탈 가능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금투세 시행은 불가능합니다. 왜냐면, 금투세 가능성으로 국외로 자금은 지속적으로 이탈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투세로 부동산 시장 역시 침체를 겪고 있습니다. 왜냐면, 1년동안 국외로 유출된 자본은 80조입니다. 이 중에서는 미국의 고금리로 인한 자금이탈도 있지만, 금투세로 인한 이탈도 있습니다. 80조가 이탈이 되지 않았다면 은행예금에 있을 것입니다. 대출의 재원은 예금입니다. 예금이 존재해야 대출을 할 수 있습니다. 80조 예금이 존재하면 은행들은 대출을 늘릴 수 있습니다. 과거와 달리 가계대출이 금융위기로 이...

2024.11.04
3
금투세와 고려아연으로 급락하는 국내증시

민주당 정태호의 금투세 개정안 발의 이후 코스피는 급락하고 있습니다. 주식 양도소득의 기본공제를 1억으로 늘리고 기본공제대상 소득금액에서 금투세를 제외하고 원천징수를 없애는 것이죠. 이재명은 금투세 시행을 주장했습니다. 대신에 기본공제액을 5천만원에서 1억으로 늘리는 방식을 택했죠. 고려아연의 유상증자는 일반공모 방식입니다. 일반공모 방식은 IPO 방식입니다. IPO를 할 때 신규로 주주를 모집합니다. 상장회사가 일반공모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보통 유상증자는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또는 제3자배정이 일반적입니다. 고려아연은 기존주주에게 우선청약권 없이 일반공모를 합니다. 청약한도도 3%로 제한합니다. 2003년 정몽헌 회장의 자살이후 현대엘리베이터는 배우자인 현정은에게 넘어갑니다. 정주영의 막내동생인 정상영 KCC회장은 사모펀드와 현대엘리베이터를 적대적으로 인수하려고 했습니다. 이때 현정은이 했던 방식이 일반공모입니다. 1인당 청약한도를 300주로 제한합니다. 주주배정유상증자를 하면 기존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이 부여됩니다. 일반공모를 허용하면 기존주주들은 희석효과로 큰 손해를 봅니다. 결국 가처분소송이 진행이 되었고 2003년 12월 13일 유상증자는 철회됩니다. 이번 유상증자는 MBK의 가처분신청을 법원에서 받아들여 철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3639...

2024.10.31
05:48
정치인들이 금투세 시행을 원하는 이유
재생수 8982024.10.15
01:00
금투세 시행이후 벌어질 일들 #금투세#사모펀드#자진상장폐지#고려아연#MBK파트너스
재생수 3,2632024.09.29
2024.11.20참여 콘텐츠 7
8
삼성전자 3분기 배당금 지급과 삼성전자 보통주보다 우선주를 매입해야 하는 이유

삼성전자는 매분기말 주식보유자에게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미국주식은 분기마다 배당하면서 배당락이 분산됩니다. 우리나라 역시 분기배당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배당락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주당 배당금은 361원입니다. 배당기준일은 9월 30일입니다. 이는 주식 매수일 기준일이 아니라 결제일 기준입니다. 결제는 매수하고 2영업일 이후입니다. 9월 26일까지 매수를 해야 9월 30일 주식을 보유하게 됩니다. 9월 27일이 배당락일입니다. 분기배당의 경우 배당락이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습니다. 삼성전자 장기투자자라면 보통주보다 우선주를 매입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 이유는 가격이 낮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 우선주는 42,650원까지 하락합니다. 만약, 42650원에 우선주를 매수했다면 배당수익률만 연 3.9%입니다. 은행예금보다 삼성전자 우선주를 보유하면 이자율도 높고 시세차익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보통주 가격이 우선주보다 15% 가량 높은 이유는 경영권 때문입니다. 고려아연의 경우 경영권분쟁으로 주가는 폭등합니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기 때문에 경영권분쟁이 발생해도 급등하지 않습니다. 만약,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있는 회사라면 우선주보다 보통주를 매입하는 것이 좋지만, 일반적으로는 보통주보다 우선주를 매입하는 것이 더 안전한 측면이 있습니다. 우선주의 경우 의결권이 없기 때문에 배당금이 높은 경우가 있고 배당금이 동일할 경...

2024.11.20
8
삼성전자 배당주 매력증가로 주가 상승 중..회사채 발행과 자본적 지출 축소 가능성

삼성전자는 매년 주당 1444원 배당을 하고 있습니다. 주가가 5만원이면 배당수익률은 2.9%입니다. 이에 삼성전자주가는 기술적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2차전지와 삼성전자의 차이점이죠. 2차전지 기업들은 바이든 시절에도 적자였습니다. 적자기업이 주가만 상승했을 뿐이죠. 삼성전자는 흑자 뿐만아니라 매년 1444원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만약, 매년 주당배당금으로 1444원을 지급한다면 은행예금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하면 매년 2.9% 이자를 받기 때문입니다. 은행예금은 원금이 변화되지 않지만, 삼성전자주가는 원금이 변합니다. 주가가 다시 8만원대로 상승도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삼성전자 주가 하락은 배당금축소에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당배당금이 줄어들 가능성으로 주가는 하락합니다. 주당배당금만 변화가 없다면 5만원에 주식을 매입해서 물려도 상관이 없습니다. 왜냐면, 매년 2.9% 이자를 받기 때문입니다. 24년 3분기 기준 삼성전자의 현금및 단기금융상품은 100조입니다. 현금성 자산이 100조라는 의미죠. 삼성전자의 매년 자본적지출(CAPEX)은 50조수준입니다. 현금 등이 100조있는 삼성전자의 경우 현재 큰 무리는 없습니다. 다만, 영업활동으로 돈이 들어오지 못할 가능성으로 주가는 하락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무차입경영을 하고 있습니다. 부채비율은 30% 수준입니다. 최근 삼성전자는 회사채 발행을 고려하고 있습...

2024.11.15
9
삼성전자 주가를 높이는 방안, 회사채발행으로 삼성전자 배당금을 늘리기

최근 정부의 밸류업의 일환으로 상법 제382조의3인 이사의 충실의무를 개정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회사를 위하여를 회사와 주주를 위하여로 개정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물적분할은 주주에게 피해를 줍니다. 이사의 충실의무가 개정이 되면 물적분할 이후 상장은 법률을 위반하는 행위가 됩니다. 2009년 대법원 판례에서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에서 주주는 없다고 판결하면서 법률 조항에 주주를 삽입하려는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23년 3분기까지 잉여현금흐름은 마이너스 28조를 기록합니다. 올해에도 잉여현금흐름은 마이너스입니다. 주가는 PER로 결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잉여현금흐름으로 결정합니다. 삼성전자 배당금의 재원이 잉여현금흐름입니다. 잉여현금흐름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배당할 돈이 없다는 것이죠. 삼성전자 당기순이익은 매년 흑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2년 55조를 기록합니다. 2024년에도 41조가 예상됩니다. 이 돈들이 전부 주주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삼성전자주가는 우상향한다고 착각합니다. 주가는 이런식으로 계산하는 것이 아닙니다. 삼성전자 주가는 FCF(잉여현금흐름)에 달려 있습니다. FCF의 50%를 배당하기 때문입니다. 2023년 삼성전자의 FCF는 마이너스 13조입니다. 삼성전자의 문제점은 자본적지출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지만, 영업활동현금흐름은 별로 증가하지 않고 있습니다. 식당을 할 때 매년 안정적으로 매출이 유지...

2024.08.14
11
삼성전자 배당금지급, 회사채 발행과 자금시장변화

삼성전자는 무차입경영을 하고 있습니다. 부채비율은 25.36%입니다. 기업들은 가계에게 임금을 지급합니다. 가계는 일정부분을 소비하고 나머지를 저축하죠. 이 저축은 다시 기업이 대출합니다. 그리고 가계에게 이자를 지급합니다. 이것이 시장경제의 기본원리입니다. 과거에는 자본주의에 대해서 경멸했습니다. 대부분 피지배계급이였기 때문이죠. 프롤레타리아(노동자)라고 하죠. 19세기 자본은 실물자본을 의미했습니다. 21세기 자본은 실물자본보다 금융자본이 훨씬 큰 시대입니다. 우리나라 국민대차대조표를 보면 비금융자산보다 금융자산이 더 큽니다. 비금융자산의 대부분은 부동산이죠. 현재 프롤레타리아도 실물자본을 소유하지는 못하지만, 금융자본 소유는 가능해졌습니다. 상속의 의미도 21세기는 20세기와 다르게 느껴집니다. 노동자들도 상속세를 낼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자본가들은 실물자본을 보유하고 노동자들은 금융자본을 보유하면서 노동자와 자본가들은 서로 공존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만약, 삼성전자가 회사채를 발행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현상이 발생할까요? 삼성전자 회사채는 국채와 거의 같습니다. 2024년 1분기 가계 저축액은 77.6조입니다. 이 중에서 50.5조는 정부에게 귀속이 되고 26.2조는 국외로 유출됩니다. 삼성전자가 회사채를 10조 발행하게 되면, 비금융법인으로 10조가 플러스됩니다. 중견,종소기업들은 자금조달이 더욱더 어려워집니다. ...

2024.07.27
10
삼성전자주가와 삼성전자우선주가가 박스권인 이유..삼성전자 배당금

주가를 PER,PBR로 산출하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주가는 현금흐름을 예측하는 것이지, 회계적 이익으로 산출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ER,PBR로 산출하는 것은 아주 쉽기 때문입니다. 모든 투자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가를 산출할 필요도 있죠. 어짜피 애널리스트들이 주가를 예측해도 틀리는 것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상장회사들은 재무제표를 두가지 발표합니다. 연결 재무제표와 개별 재무제표입니다. 여기서부터 주식투자자들은 모르는 이야기로 넘어갑니다. 연결 손익계산서에서는 일반 투자자들이 모르는 계정과목이 등장합니다. 지배기업 소유주지분과 비지배지분입니다. 삼성전자 연결재무제표를 보면 두가지로 구분해 놓았습니다. 지배기업 소유주지분과 비지배지분으로 나누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이것은 연결회계의 독특한 특징 때문입니다. 에코프로의 실적입니다. 에코프로 매출액은 IFRS연결이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연결재무제표 상의 매출액을 의미합니다. 연결재무제표의 특징은 자회사 매출이 모회사 매출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 매출액이 에코프로 매출액 속에 포함이 되어 있죠. 에코프로 매출액이 에코프로비엠 매출액보다 큽니다. 이 부분 때문에 이중상장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죠. 에코프로의 PER를 연결회계 기준으로 산정하면 순이익을 이중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연결재무제표는 단순히 자회사와 모회사 재무제표를...

2024.07.01
2024.12.20참여 콘텐츠 21
3
미국증시급락에 따른 VIX지수급등과 나스닥전망

일반적으로 1년에 3번정도는 큰 조정이 나옵니다. 나스닥은 4월에는 이스라엘 하마스전쟁으로 급락하고 8월에는 엔케리트레이드로 급락합니다. 현재에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감소로 하락합니다. 급락할 때 특징적인 부분은 VIX지수가 급등한다는 것입니다. 4월에는 전쟁 위험이 있었지만, VIX지수가 크게 급등하지는 않았습니다. 8월에는 VIX지수가 폭등합니다. 최근에도 VIX지수는 27까지 급등합니다. 일반적으로 1년중에 VIX지수가 급등하는 시기는 3번정도입니다. 24년을 보면 4월,8월,12월입니다. 4개월마다 한번씩 폭등합니다. 이것은 미국증시의 급락을 말합니다. 증시가 상승하는 이유는 명목GDP에 있습니다. 경제가 성장하거나 물가가 급등해야 증시는 상승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2023년부터 물가는 크게 낮아집니다. 하지만, 주가는 급등하게 됩니다. 물가가 급등하면 주가가 상승하는 것은 직관적으로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짜장면을 500에 팔때와 5천원에 팔 때 마진은 다르기 때문이죠. 판매가격이 높아지면 마진은 상승하게 됩니다. 마진율은 변화가 없어도 마진 자체는 커지게 되고 이익증가는 주가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부동산가격도 상승하는 원리는 물가에 있습니다. 물가가 오르면 임금이 인상됩니다. 소득이 오르면 월세도 오르게 되죠. 월세가 오르면 임대수익률이 상승하면서 건물가격도 오르게 됩니다. 최근 중심지에서 임대료를 내리지 ...

2024.12.20
8
나스닥 100,VIX지수,버핏지수를 이용한 투자전략

나스닥 100을 투자할 때 특징은 VIX지수와 나스닥 100은 반대로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나스닥 100이 고점에서 VIX지수는 낮은 값을 갖습니다. 반대로 VIX지수가 급등할 때 분할매수하면 수익을 내게 됩니다. 2024년초 VIX지수는 낮게 유지됩니다. VIX지수가 낮게 유지되면서 나스닥 100은 신고가를 돌파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VIX지수가 낮으면 나스닥 100이 고점이지만, 신고가를 돌파할 때에는 VIX지수가 낮게 유지되면서 나스닥 100은 계속해서 상승합니다. 이때 하락배팅을 하면 골로 가게 됩니다. 2017년도 VIX지수가 낮게 유지되면서 나스닥 100은 신고가를 계속해서 돌파합니다. 2018년에도 신고가를 돌파할 때 VIX지수는 낮게 유지됩니다. 신고가를 돌파하는 시점에서 VIX지수가 낮게 유지가 되면 오히려 매수타이밍입니다. 2024년에도 나스닥 100이 신고가를 돌파하면서 VIX지수는 낮게 유지됩니다. 신고가 돌파패턴에서는 VIX지수가 낮다고 해서 지수하락을 예상하면 안됩니다. 오히려 상승배팅을 해야 하는 타이밍입니다. 2019년에도 나스닥 100은 신고가를 돌파합니다. 이때에도 VIX지수는 낮게 유지가 되었습니다. 나스닥 100이 신고가를 돌파하고 VIX지수가 낮게 유지되면 하락배팅이 아니라 상승배팅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VIX지수가 낮다고 나스닥 100이 고점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습...

2024.08.21
11
높게 유지되는 코스피200 VIX지수...변동성 확대가능성

현재, VKOSI지수는 하락하지 않고 있습니다. 2011년 8월 미국신용등급 강등에서 VKOSPI는 70.33까지 상승합니다. 그리고 지수 상승과 함께 변동성지수는 급락합니다. 현재 변동성지수가 높게 형성이 된 만큼 추가 변동성이 나올 가능성은 높습니다. 연준이 긴급인하를 하면 변동성이 하락하면서 급등하는 경우는 있지만, 연준입장에서는 금리인하가 쉽지 않습니다. 높은 주택가격 때문입니다.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주택가격은 상승합니다. 미국 30년만기 모기지 고정금리는 6%대입니다. 현재에도 주택가격은 신고가를 돌파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미국 주택가격은 급등하게 됩니다. 신용경색이 발생하는 것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경우 주택가격 폭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연준입장에서는 선제적으로 기준금리 인하가 어렵습니다. 미국은 주택가격이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 정도되므로 주택가격 인상은 곧 물가인상으로 이어집니다. 변동성지수는 기초자산가격의 내재변동성을 의미합니다. 현재, 코스피 200의 내재변동성이 높다는 의미죠. 이 경우 옵션매도자들은 높은 프리미엄을 요구합니다. 등가격인 행사가격 342.50에서 등가양합은 20정도입니다. 만기 3일 앞두고 이렇게 높은 프리미엄이 발생하는 것은 흔한 경우가 아닙니다. 이번달 만기인 코스피풋옵션 행사가격 347.5에서 0.01이 18.95로 마감됩니다. 이틀동안...

2024.08.06
6
코스피와 나스닥 하락발 금융위기 가능성...VIX지수

현재 코스피200 변동성지수는 42.57를 가리킵니다. 이렇게 빠르게 오른 것은 처음입니다. 2008년과 2020년에는 71.75까지 상승했지만. 이렇게 빠르게 오르지 않았습니다. 주식시장이 갑자기 급락하면 유동성 위기는 발생합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695949055 유동성 위기...최종대부자기능 2007년 11월 현대미포조선은 20만원을 찍습니다. 2002년대비 주가는 100배이상 상승합니다. 2000년대는 조... blog.naver.com 통화량은 대출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주식시장이 이렇게 급락하면 주식담보대출,신용대출,CFD, 선물옵션 등에서 유지증거금 이상으로 현금을 요구합니다. 현금을 납입하지 못하면 반대매매는 나오게 되죠. 작년 라덕연 사태가 대표적인 유동성 위기입니다. 서울가스를 CFD로 매수했고 주가하락으로 증권사에서는 라덕연에게 추가증거금을 요구합니다. 납입을 못하면서 반대매매로 주가는 폭락합니다. 이것을 코스피로 생각하면 됩니다. 유동성 위기의 특징은 전 자산가격이 하락합니다. 2020년 3월에는 주식 뿐만 아니라 채권, 금,비트코인 등 안전자산들도 모두 하락합니다. 유동성 위기를 해결하는 방법은 최종대부자기능입니다. 현대 통화시스템의 특징은 본원통화 100으로 대출을 통해서 통화량을 늘려나갑니다. 예금이 통화입니다. 유동성 위기로 예금을 현금으로 찾으면 은행은 줄...

2024.08.05
6
미국증시와 VIX지수..테슬라주가 하락원인

부동산 시장과 주식시장의 가장 큰 차이점은 파생상품시장입니다. 부동산은 파생상품시장이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2000년대 부동산도 파생상품시장이 있었습니다. 신용파생상품입니다. 예금으로 대출을 해줄 수 없다보니 MBS를 만들었습니다. 이 MBS를 통해서 다양한 파생상품을 만듭니다. 주식,환율시장의 경우에는 파생상품시장이 현물시장에 바로 영향을 줍니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주식시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파생상품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외환시장 역시 파생상품시장이 현물시장을 주도합니다. 통화스왑과 외환스왑시장에 대한 정확한 정보 없이 환율시장을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나마 코스피는 현물 매매동향과 선물 매매동향, 프로그램 매매동향을 통해서 현물시장과 파생상품시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미국시장의 경우에는 이런 정보가 없다보니 지수예측은 어렵습니다. 그나마 미국주식시장의 파생상품정보를 알려주는 지표가 VIX지수입니다. VIX지수는 S&P500 옵션의 내재변동성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상승장에서는 변동성이 줄어듭니다. VIX지수는 하락합니다. 하락장에서는 변동성이 높아지죠. VIX지수는 높아집니다. VIX지수를 보면 나스닥 100과 상관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2020년 3월 나스닥 100이 폭락할 때 VIX지수는 80까지 상승합니다. VIX지수가 이렇게 급등하면 주식시장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도 됩니다...

2024.07.25
1일 전참여 콘텐츠 113
5
딥시크로 인한 코스피하락과 달러환율이 상승하는 이유

최근 달러환율은 다시 상승하고 있습니다. 1월 달러환율이 하락한 원인은 국민연금이 환헤지를 했기 때문입니다. 국민연금은 한국은행으로부터 달러를 빌려옵니다. 빌려온 달러를 매도합니다. 이로 인해서 달러환율은 하락했죠. 외국인이 주식을 강하게 매도하면서 달러환율은 상승하고 있습니다. 외국인이 코스피를 매도하면 매도한 원화를 달러로 바꿀 것입니다. 달러수요가 증가하면서 환율은 상승하게 됩니다. 외국인이 강하게 매도하고 있는 업종은 전기전자업종입니다. SK하이닉스는 외국인 매도로 급락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딥시크 영향입니다. 고사양 AI반도체의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으로 엔비디아는 급락합니다.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보다 고사양 반도체를 양산하면서 SK하이닉스 매출감소폭이 커질 전망으로 주가 하락폭은 삼성전자보다 큽니다. 딥시크로 인해서 엔비디아주가 하락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딥시크로 인해서 엔비디아의 불확실성은 대폭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엔비디아가 하락하게 되면 SK하이닉스를 외국인들은 매도하게 될 것입니다. 외국인이 전기전자업종을 매도하면 국내 달러수요는 대폭 상승하게 되고 달러환율은 상승하게 됩니다. 엔비디아주가가 달러환율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여기에 지속적으로 해외로 자금은 유출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증시 침체와 미국금리 상승 때문입니다. 미국주식과 미국채권으로 자금은 꾸준히 유출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달러환율...

1일 전
7
국민연금이 코스피를 계속해서 매수하는 이유와 미국증시의 전고점돌파가 어려운 이유

국내증시 투자에 있어서 연기금의 투자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2024년 10월말기준 국내주식의 비중은 12.4%입니다. 24년말 목표비중은 15.4%입니다. 10월말 코스피종가는 2556포인트입니다. 12월말에 정확하게 15.4%를 맞추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투자허용범위는 5%이내입니다. SAA는 전략적자산배분, TAA는 전술적자산배분이라고 합니다. SAA는 포트폴리오를 매수하는 것입니다. TAA는 종목을 선정하고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SAA는 시장수익률을 추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를 베타수익이라고 합니다. TAA는 시장수익률보다 초과수익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알파수익이라고 합니다. 연기금의 수익은 대부분 SAA에서 발생합니다. 연기금은 계속해서 국내주식을 매수하고 있습니다. 국내주식비중은 코스피 2500아래에서 12%이하로 추정됩니다. 연기금은 24년10월7일부터 코스피를 6조 매수하고 있습니다. 코스피가 2600선이하에서는 연기금이 지속적으로 매입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이 코스피를 집중매수하는 이유는 해외주식 영향도 있습니다. 24년10월31일 나스닥 종가는 18095입니다. 이때 해외주식비중은 35.6%였습니다. 24년말 목표비중은 33%입니다. 국민연금은 나스닥이 2만부근에서는 해외주식을 매도한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해외주식비중이 36%를 초과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25년 국내주식비중은 낮고 해외주식비중...

2025.01.13
6
고객예탁금 증가로 코스피와 코스닥 상승

https://blog.naver.com/andree77/223712641589 코스피보다 코스닥,테마주가 연초에 강세인 이유 12월 27일은 배당락일입니다. 12월26일이 배당부로 배당을 받기 위해서 12월 26일 주식을 보유해야 합니다.... blog.naver.com 코스닥은 배당락일 부근에서 강세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보통 12월 26일부터 강세를 보입니다. 저가매수 영향입니다. 고객예탁금을 보면 12월 26일부터 증가를 하기 시작합니다. 고객예탁금이 늘어나는 이유는 두가지입니다. 양도소득세와 불법자금입니다. 대주주기준은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정합니다. 지분율과 달리 금액기준 대주주는 12월 31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배당락일에 주식을 대규모로 매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대주주 기준은 50억이지만, 12월 31일 종목당 잔고가 50억이 아니면 1년이내 삼성전자 1000억을 매수해서 1500억에 매도해도 대주주에 해당이 되지 않습니다. 지분율조건만 충족하지 않으면 됩니다. 삼성전자 지분 1%를 보유하려면 보유가치가 3조가 넘어야 합니다. 삼성전자 2조를 매수하고 2.5조에 매도해도 대주주에 해당이 되지 않습니다. 세금이 없습니다. 코스닥의 경우에는 불법자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코스피는 분기배당을 일반적으로 하지만, 코스닥은 배당자체가 거의 없습니다. 배당을 한다는 의미는 주주명부에 이름이 기재된다는 의미입니다....

2025.01.06
7
코스피보다 코스닥,테마주가 연초에 강세인 이유

12월 27일은 배당락일입니다. 12월26일이 배당부로 배당을 받기 위해서 12월 26일 주식을 보유해야 합니다. 12월 27일 배당락효과가 별로 없는 이유는 기업들이 분기배당을 하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는 분기배당으로 바꾸면서 배당락효과는 과거에 비해서 사라졌습니다. 12월 26일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확정보다는 주주총회 의결권기준일의 역할이 더 큽니다. 23년부터 배당기준일을 정관 또는 이사회에서 결정을 할 수 있게 했습니다. 12월 결산법인의 경우 3월달에 주주총회를 합니다.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를 확정하는 날이 12월 26일입니다. KB금융은 12월 13일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를 합니다. KB금융은 2월에 이사회를 개최합니다. 이사회에서 배당기준일을 결정합니다. 배당금의 경우 정관에 이사회에서 정할 수 있다고 변경하면 12월 31일은 배당기준일이 아닙니다. 이사회에서 정하는 날이 기준일입니다. 정관에 따로 배당기준일을 정하지 않으면 12월 31일이 배당기준일이 됩니다. 12월 결산법인의 경우 12월 31일은 주주총회 의결권기준일입니다. 최근 코스피는 하락하지만, 코스닥은 매수세가 유입이 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두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첫째는 주식양도소득세입니다.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코스닥의 경우 지분율이 2%이상 또는 평가액이 50억이상이면 25년 대주주가 됩니다. 단, 지분율은 2%이상이 되...

2025.01.02
7
코스피,코스닥의 바닥시점

현재 코스피를 적극적으로 매수하는 주체는 연기금과 기타법인입니다. 기타법인은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입니다. 국민연금의 24년말 목표비중은 15.4%입니다. 코스피 2400에서 국내주식비중은 12%이하로 추정됩니다. 2024년말 국민연금은 국내주식비중을 12.4%까지 높여야 합니다. 국민연금의 코스피 매수세는 다음주에 더 강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미국증시가 급락하면 국내주식비중이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미국증시가 급락하면 2400에서도 연기금의 매수세는 멈출 수도 있습니다. 12월19일과 12월 20일 금융투자가 코스피를 강하게 매도하는 것은 선물 영향입니다. 외국인이 선물을 강하게 매도하면서 금투세 매도를 유발시키고 있습니다. 외국인이 코스피200선물을 강하게 매도하면 금융투자는 선물을 매수하면서 동시에 현물을 매도하게 됩니다. 선물과 연관된 매도는 두가지로 분류됩니다. 매도차익잔고가 쌓이는 매도와 기존 매수차익잔고가 청산되는 매도입니다. 계엄사태 이후 외국인의 코스피 매도는 강해지고 있습니다. 현재, 실질적으로 매수하는 주체는 연기금밖에 없습니다. 외국인이 현물을 계속해서 매도할 경우 코스피는 계속해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증시가 급락을 시작하면 코스피도 추가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코스피가 추가로 급락할 경우 증안펀드를 투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0년에도 코스피가 2천을 깨면서 증안펀드를 조성했지만, ...

2024.12.20
2024.10.19참여 콘텐츠 2
10
금값,은값,비트코인과 구리,원자재 시세의 차이점과 전망

노벨경제학상이 가지는 의미는 특별합니다. 1990년 포트폴리오 이론이 노벨경제학상을 받으면서 전세계 연기금,외환보유액의 투자패턴을 결정했습니다. 2013년 효율적 시장가설이 노벨경제학상을 받으면서 ETF는 급성장합니다. 포트폴리오 이론은 분산투자를 말합니다. 분산투자를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노벨경제학상의 특징은 내용 자체가 아주 간단하다는 것입니다. 노벨물리학,화학,의학상의 내용은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어렵지만, 노벨경제학상은 내용 자체가 상식 수준입니다. 노벨상을 주는 이유는 분산투자를 수학적으로 표현했기 때문입니다. 내용은 별거 없습니다. 1980년대부터 전세계 연기금 규모는 커지게 됩니다. 1980년 레이건이 당선이 되고 신자유주의는 시작됩니다. 개인들의 소비할 자유는 시작됩니다. 미국 법인세율과 소득세율이 크게 하락하면서 가처분소득은 늘어나게 됩니다. 미국증시 역시 1981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부동산도 마찬가지죠. 세율을 인하했다는 것은 국가가 노후를 보장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이때부터 연기금으로 돈은 쌓이게 됩니다. 개인이 돈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연기금이 대신 돈을 모으게 됩니다. 연기금이 개인들의 돈을 가지고 가면 경기는 급속하게 침체됩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돈은 풍족합니다. 금융시장은 활황장이지만, 실물시장은 돈이 없습니다. 세율이 높았을 때에는 돈들이 실물...

2024.10.19
11
인플레이션과 부동산...금시세,은시세

금시세,은시세는 기본적으로 물가와 연관이 깊습니다. 실물자산이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면 기본적으로 금과 은은 상승합니다. 다음은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입니다. 물가가 크게 오르면 금가격도 당연히 상승합니다. 그러면 물가가 오른다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짜장면 가격이 오른다는 것은 화폐로 바꾸어 말하면 화폐가치 하락입니다. 물가상승은 화폐가치 하락입니다. 인플레이션 시대 부동산은 상승할까요? 하락할까요? 아파트 가격은 두가지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토지비와 건축비로 나누면 토지가격이 낮은 아파트 가격은 상승합니다. 인플레이션 시대 건축비는 상승합니다. 하지만, 서울 아파트 가격은 인플레이션과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왜냐면, 아파트 가격의 대부분이 토지비입니다. 지방 아파트 10채 가격이 강남 아파트 한채 가격이므로 물가가 오른다고 강남아파트 가격이 오르지 않습니다. 지방 아파트 가격은 건축비가 상승하면 오르게 됩니다. 왜냐면, 지방은 토지비는 거의 없고 건축비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화폐발행량이 많아지면 쌀가격과 아파트 가격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많이 오를까요? 우리나라와 미국의 경우 쌀이나 밀가격보다는 아파트 또는 주식 가격이 더 오릅니다. 그러면, 왜, 더 오르는 것일까요? 케인즈는 화폐수요를 세가지로 구분합니다. 거래적 동기, 예비적 동기, 투기적 동기로 구분을 합니다. 화폐 방정식 MV = PY에서 M인 화폐량은 거래적 동기를 말...

2022.06.05
5일 전참여 콘텐츠 55
10
트럼프의 관세전쟁 가능성으로 미국증시 급락과 전망

트럼프는 불법이민자를 태운 비행기를 콜롬비아로 보냅니다. 콜롭비아 대통령은 미 군용기 2대 입국을 거부합니다. 트럼프의 이민정책을 거부한 최초의 국가가 콜롬비아입니다. 이에 트럼프는 긴급적으로 콜롬비아에 25% 관세를 부과합니다. 일주일 후에는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합니다. 여기에 여행규제와 비자 취소가 이어집니다. 이에 콜롬비아도 미국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지만, 결국 트럼프 불법이민자 추방조건을 수용하기로 합니다. 하지만 나스닥은 계속해서 급락합니다. 콜롬비아 관세부과는 철회가 되었지만, 멕시코와 캐나다에 2월 1일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불안감으로 나스닥은 급락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외교정책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협상보다는 선빵입니다. 이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와 스티븐 밀러 백악관 정책 담당 부비서실장이 협상전에 관세부과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트럼프의 선빵정치로 인해서 전세계에 불확실성은 증대가 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부과는 협상용으로 사용이 될 것이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S&P 500이 최근 신고점을 돌파한 이유가 협상용 관세 가능성 때문이였습니다. 트럼프는 우선 캐니다와 멕시코를 제대로 제압을 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푸틴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처럼 트럼프는 멕시코와 캐나다를 관세로 먼저 침공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미국증시가 바닥을 잡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이 제거가 되어야 합니다...

5일 전
9
트럼프의 금리인하요구로 미국증시급등과 앞으로 주목할 미국경제지표

트럼프가 연준에게 금리인하를 요구할 것이라는 기대로 미국증시는 상승합니다. 트럼프 1기에는 실제GDP가 잠재GDP보다 낮았습니다. 2018년 GDP갭은 제로가 됩니다. 가장 이상적인 상황입니다. 물가는 안정이 되고 경제는 성장하는 형태입니다. 2017년 10월부터 양적긴축은 진행이 되고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서 시장에서는 유동성이 부족해지고 2017년 10월부터 나스닥은 급락하기 시작합니다. 특히, 2017년 12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나스닥은 끝없이 하락합니다. 이에 트럼프는 파월을 협박합니다. 금리를 내리라는 것이였습니다. 파월은 긴급기자회견을 하게 되고 기준금리 인상에서 인하로 전환을 합니다. 파월의 긴급기자회견 이후부터 나스닥은 다시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2018년 12월 기준 FOMC에서 2019년 2번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어 있었습니다. 2019년에는 반대로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GDP갭은 벌어지기 시작합니다. 실제GDP가 잠재GDP보다 커지면서 미국경제 과열이 시작되었습니다. 트럼프는 미국경제를 과열시켜서 2020년 대선에서 승리하는 것이 목적이였습니다. 2019년 GDP갭의 플러스는 트럼프를 경제대통령으로 만들었습니다. 2020년 팬데믹이후 GDO갭은 크게 하락합니다. 실제GDP가 잠재GDP보다 크게 하락한 것입니다. 경기침체가 발생합니다. 연준은 GDP갭을 상승시키기 위해...

2025.01.24
7
국민연금이 코스피를 계속해서 매수하는 이유와 미국증시의 전고점돌파가 어려운 이유

국내증시 투자에 있어서 연기금의 투자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2024년 10월말기준 국내주식의 비중은 12.4%입니다. 24년말 목표비중은 15.4%입니다. 10월말 코스피종가는 2556포인트입니다. 12월말에 정확하게 15.4%를 맞추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투자허용범위는 5%이내입니다. SAA는 전략적자산배분, TAA는 전술적자산배분이라고 합니다. SAA는 포트폴리오를 매수하는 것입니다. TAA는 종목을 선정하고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SAA는 시장수익률을 추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를 베타수익이라고 합니다. TAA는 시장수익률보다 초과수익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알파수익이라고 합니다. 연기금의 수익은 대부분 SAA에서 발생합니다. 연기금은 계속해서 국내주식을 매수하고 있습니다. 국내주식비중은 코스피 2500아래에서 12%이하로 추정됩니다. 연기금은 24년10월7일부터 코스피를 6조 매수하고 있습니다. 코스피가 2600선이하에서는 연기금이 지속적으로 매입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이 코스피를 집중매수하는 이유는 해외주식 영향도 있습니다. 24년10월31일 나스닥 종가는 18095입니다. 이때 해외주식비중은 35.6%였습니다. 24년말 목표비중은 33%입니다. 국민연금은 나스닥이 2만부근에서는 해외주식을 매도한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해외주식비중이 36%를 초과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25년 국내주식비중은 낮고 해외주식비중...

2025.01.13
6
미국증시 하락요인...기준금리인하에도 미국10년물국채금리가 상승하는 이유

전세계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장기금리는 오히려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영국 10년물국채금리는 전고점을 돌파합니다. 미국 30년국채금리도 최근 5%를 돌파합니다. 미국장기채금리도 23년말 전고점 부근에 있습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인하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금리는 하락하지 않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장기금리도 하락한다고 생각합니다. 2008년 연준은 기준금리를 제로수준으로 인하합니다. 하지만, 10년물국채금리는 하락하지 않았습니다. TMF 는 고점대비 90%이상 하락합니다. TQQQ는 나스닥100에 투자를 하기 때문에 전고점을 돌파할 수 있습니다. TMF는 채권원금이 변동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3X인 TMF의 경우 전고점 돌파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2008년 연준이 기준금리를 제로수준으로 인하했지만 10년물국채금리가 하락하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중국이 미국국채매입을 줄였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미국국채 매입량을 줄이면서 장기채금리는 하락하지 않았습니다. 2008년 연준은 단기채를 매입했지만, 장기채는 매입하지 않았습니다. 기준금리를 제로로 내려도 장기금리가 하락하지 않으면서 장기금리를 하락시키려고 연준이 장기국채를 직접매입하게 됩니다. 장기국채를 매입하면 장기국채가격은 상승하고 장기국채금리는 하락하게 됩니다. 이것을 양적완화라고 부르게 됩니다. 양적완화는 장기금리를 하락시키는...

2025.01.11
9
미국증시 급락요인...영국국채금리 급등으로 인한 미국국채금리 상승

영국 30년 국채금리는 22년 9월 LDI사태 때보다 더 상승합니다. 영국 기준금리는 5.5%에서 4.75%로 인하합니다. 영국은 기준금리를 인하하지만, 장기국채금리는 오히려 상승하고 있습니다. 22년 9월 전세계 증시급락의 시발점은 영국이였습니다. 22년 9월 22일 트러스총리 취임이후 감세를 발표하면서 파운드화는 급락합니다. 국채금리는 폭등하죠. 영란은행은 국채시장에 긴급 개입합니다. 국채를 매입하면서 파운드화는 다시 상승하고 영국국채금리는 하락합니다. 영국은 미국처럼 양적완화를 하는 국가입니다. 팬데믹시절 국채매입으로 중앙은행자산은 늘어납니다. 부채항목은 지급준비금이 늘어나게 됩니다. 영란은행도 연준처럼 양적긴축을 하고 있습니다. 양적긴축을 하는 이유는 지급준비금에 대해서 이자를 지급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지준부리라고 표현합니다. 영란은행이 보유한 국채를 줄이면서 지급준비금도 줄이게 됩니다. 중앙은행이 국채를 매도하는 시점에서 영국정부가 감세정책을 시행합니다. 이는 적자국채를 매도한다는 의미입니다. 영란은행이 국채를 매도하고 정부도 국채를 매도한다고 하면서 국채가격은 폭락하게 됩니다. 22년9월28일 영란은행은 양적긴축을 멈추고 다시 국채매입을 하면서 영란은행 자산은 일시적으로 증가합니다. 시장이 안정화되면서 양적긴축은 이어지게 됩니다. 영란은행 자산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습니다. 영국은 24년 7월 5일 총선에서 노동당이 승리...

2025.01.08
2024.11.08참여 콘텐츠 2
7
미국주식,금,부동산,채권,국내주식의 취득,보유,양도에 따른 세금

1971년 미국이 금태환을 중지하면서 달러는 신용화폐가 됩니다. 현재 달러는 명목상으로는 금입니다. 왜냐면, 미국이 금태환을 중지하면서 신용화폐로 전환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실질은 신용화폐입니다. 금본위제도에서 신용화폐를 만드는 방법은 부채의 화폐화입니다. 금본위제도에서 신용화폐를 만드는 것이 양적완화입니다. 중앙은행이 국채를 매입하면 달러를 무제한 발행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M2는 계속해서 증가를 합니다. 금본위제도에서는 법으로 부채의 화폐화를 막고 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로 미국은 법과 원칙을 무시합니다. 그리고 양적완화를 시행합니다. 이로써 달러는 완전한 신용화폐가 됩니다. 2008년 이후 미국이 공식적으로 달러를 무제한 찍어낼 수 있게 되면서 나타난 현상은 금값이 급등한 것입니다. 미국의 양적완화로 금값이 오른 것이 아닙니다. 제값을 찾아간 것입니다. 97년 금모으기 운동 이후 금값은 10배 이상 상승합니다. 금값이 상승한다는 것은 모두 알고 있습니다. 달러 발행량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나스닥 100은 30년동안 100배 가량 상승합니다. 은마아파트도 30년동안 10배 이상 상승합니다. 만약, 30년동안 금,나스닥,강남아파트가 10배 상승했다면 어디에 투자를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 선택일까요? 무차별할까요? 투자수익률 관점에서 금은 탈락입니다. 나스닥은 배당금을 받습니다. QQQ의 배당수익률은 0.6%입니다. 배당금...

2024.11.08
6
취득세 개념과 주택취득세, 취득세율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할 때 내는 세금입니다. 거래세를 의미합니다. 주식은 취득세가 없습니다. 증권거래세가 존재하죠. 과거에는 등록세가 존재했습니다. 등록세가 사라지고 취득세와 통합이 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거래를 신고하고 계약을 취소,해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아파트 가격을 띄우기 위한 작전이였죠. 현재에는 등기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부동산거래신고를 하고 계약을 취소해도 알 수 없었습니다. 왜냐면, 거래취소는 신고사항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통정매매가 심하다보니 등기를 표시하게 됩니다. 등기를 했다는 것은 취득세를 납부했다는 것입니다. 취득세를 납부하지 않으면 등기해주지 않습니다. 언론에서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을 말하는데, 정확하게 등기된 물량만을 언급해야 합니다. 취득세는 생각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부동산 뿐만 아니라 선박,차량,기계장비 등에 부과되며, 토지 지목을 변경하거나 건물을 개수하는 경우에도 취득세를 부과합니다. 부동산의 경우에는 미등기전매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A가 B에게 부동산을 팔고 등기하지 않는 것입니다. B가 C에게 부동산을 팔고 등기를 C로 하면 B는 거래사실이 없습니다. 등기부등본을 보면 A에서 C로 소유권이 변경됩니다. 주식은 미등기전매가 불가능하죠. 현재 미등기전매는 아주 많습니다. 취득세율이 최고 12%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하나는 1가구 1주택 비과세입니다. 실질거래가액 12억까지 비과세되기 때문에...

2024.07.04
2022.06.14참여 콘텐츠 2
5
FOMC 주요 포인트..비트코인,루나코인

나스닥의 6월 13일 급락 원인은 FOMC에 있습니다. 우리시각으로 6월 16일 오전 3시에 열리는 FOMC에서 Fed가 0.75%p 금리 인상 확률은 23.4%에서 93%로 폭등합니다. 0.5%p 인상 확률은 76.8%에서 7%로 폭락합니다. 또한, 7월 FOMC회의 이후 기준금리가 2.25 ~ 2.5%로 될 확률은 9.5%에서 79.7%로 폭등합니다. 미국이 7월 기준금리가 2.5%가 되려면 6월 0.75%p, 7월 0.75%p로 금리를 올려야 합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1.75%입니다. 미국이 7월에 2.5%까지 올린다면 우리나라 역시 금통위에서 한번에 0.5%p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코스피도 하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른 측면으로 보면 악재는 대부분 반영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6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p 올린다면 지수는 폭등하게 됩니다. 금리를 이렇게 갑자기 올리면 지급불능 위기와 유동성 위기가 발생합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701475792 지급불능과 금융위기 2007년 2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56조를 매도합니다. 이 당시 외국인이 매도한 원인은...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andree77/222695949055 유동성 위기...최종대부자기능 2007년...

2022.06.14
7
테라와 루나코인...예금자보호제도

비트코인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변동성입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며 가격이 상승하면 디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건가격이 상승한다는 의미입니다. 화폐자체의 가치가 존재하면 물건의 수요와 공급이 아니라 비트코인 가치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이런 이유로 스테이블 코인이 등장합니다. 1코인 가격을 1달러로 고정하게 됩니다. 이는 금본위제도와 유사합니다. 브레튼우즈체제에서 35달러를 금 1온스로 고정을 시켰습니다. 테더(USDT)의 경우에는 1테더를 1달러로 교환해줍니다. 달러페그제가 테더입니다. 홍콩은 달러페그제입니다. 테더와 같습니다. 홍콩달러는 달러보유고만큼만 홍콩달러를 발행합니다. 통화는 본원통화와 파생통화로 구성이 됩니다. 지급준비율이 10%일 때 본원통화 100을 늘리면 파생통화는 900까지 늘어납니다. 금융위기는 파생통화에서 시작이 됩니다. 금본위제도에서도 본원통화만 금을 담보로 발행이 되었으며, 파생통화는 금과 상관이 없습니다. 시중 통화량은 1000이지만 은행이 보유한 금은 100입니다. 뱅크런이 발생하면 은행은 파산하게 됩니다. 암화화폐 시장은 현실보다 단순합니다. 예금과 대출이 디파이에서 존재하지만 이것은 스왑개념입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717370727 스왑의 기본개념..sell & buy , buy & sell 외환시장...

2022.05.14
2024.11.17참여 콘텐츠 37
4
삼성전자 주가하락이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잔금대출에 미치는 영향

올림픽파크포레온의 잔금대출 규모는 최소 3조원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시중 5대은행인 국민,우리,하나,농협,신한은행의 총 대출규모는 0.95조원 규모입니다. 이것을 가계대출규제라고 언론에서 말하고 있지만, 가계대출과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실질은 은행의 유동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은행의 대출은 2가지로 구성됩니다. 정책자금대출과 은행자체대출입니다. 올림픽파크포레온은 은행자체대출로만 해줄 수 있습니다. 시중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을 해줄 때 특징은 5년 주기형이라는 것입니다. 미국은 30년만기 고정금리이지만, 우리나라는 고정금리라고 해도 5년주기형입니다. 우리나라 은행들은 은행채를 발행해서 주택담보대출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은행채 만기는 5년입니다. 현재 5년만기 은행채 금리는 3.3%수준입니다. 은행들은 3.3%로 자금을 조달해서 대략적으로 5%로 돈을 빌려주는 것입니다. 대략적으로 2% 이자를 남기는 장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은행들은 은행채를 발행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재정적자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매년 관리재정적자가 100조 발생합니다. 그리고 매년 3% 예산은 늘어납니다. 2025년 예산도 20조 늘어납니다. 정부는 대략적으로 매년마다 120조를 추가로 자금을 조달해야 합니다. 120조 만큼 추가로 국채를 찍어내야 합니다. 이를 적자국채라고 합니다. 120조를 인수할 주체가 필요합니다. 1순위가 국민연금, 은행, 보험사 ...

2024.11.17
8
삼성전자가 주가 부양을 위해서 자사주를 매입하는 진짜 이유

다음은 삼성전자 최대주주 등의 주식담보계약에 관한 내용입니다.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때 담보 유지비율이 있죠. 보통은 140%입니다. 담보유지비율이 100%라는 의미는 주식평가액과 대출금액이 같다는 의미입니다. 담보유지비율이 140%라는 의미는 삼성전자 주식을 담보로 1억을 빌렸을 때 주식의 평가가치가 1.4억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추가담보금을 요구하게 되고 납입이 되지 않을 경우 반대매매를 하게 됩니다. 연번 6번과 14번의 경우 주가하락으로 담보유지비율이 낮아지면서 추가로 담보계약수를 늘렸습니다. 연번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6번과 14번은 홍라희입니다. 삼성전자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이들은 홍라희,이부진,이서현입니다. 주가가 계속해서 하락하게 되면 담보유지비율은 떨어지게 됩니다. 추가로 담보를 유지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반대매매가 나가게 됩니다.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할 때에는 저당권을 설정하죠. 보통 대출금액의 120%를 근저당으로 설정합니다. 연체시 이자까지 포함해야 하기 때문이죠. 채권을 담보로 돈을 빌리 때에는 질권을 설정합니다. 전세자금대출을 받으면 은행은 돈을 임차인 통장에 주지 않습니다. 은행은 임대인과 질권설정을 하고 임대인 통장으로 돈을 줍니다. 여기서 질권설정은 전세계약입니다. 전세계약은 채권이므로 은행이 전세계약에 질권을 설정하는 것이죠. 15번의 경우 종가 5만원 기준으로 담보유지비율은 13...

2024.11.16
8
삼성전자 배당주 매력증가로 주가 상승 중..회사채 발행과 자본적 지출 축소 가능성

삼성전자는 매년 주당 1444원 배당을 하고 있습니다. 주가가 5만원이면 배당수익률은 2.9%입니다. 이에 삼성전자주가는 기술적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2차전지와 삼성전자의 차이점이죠. 2차전지 기업들은 바이든 시절에도 적자였습니다. 적자기업이 주가만 상승했을 뿐이죠. 삼성전자는 흑자 뿐만아니라 매년 1444원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만약, 매년 주당배당금으로 1444원을 지급한다면 은행예금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하면 매년 2.9% 이자를 받기 때문입니다. 은행예금은 원금이 변화되지 않지만, 삼성전자주가는 원금이 변합니다. 주가가 다시 8만원대로 상승도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삼성전자 주가 하락은 배당금축소에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당배당금이 줄어들 가능성으로 주가는 하락합니다. 주당배당금만 변화가 없다면 5만원에 주식을 매입해서 물려도 상관이 없습니다. 왜냐면, 매년 2.9% 이자를 받기 때문입니다. 24년 3분기 기준 삼성전자의 현금및 단기금융상품은 100조입니다. 현금성 자산이 100조라는 의미죠. 삼성전자의 매년 자본적지출(CAPEX)은 50조수준입니다. 현금 등이 100조있는 삼성전자의 경우 현재 큰 무리는 없습니다. 다만, 영업활동으로 돈이 들어오지 못할 가능성으로 주가는 하락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무차입경영을 하고 있습니다. 부채비율은 30% 수준입니다. 최근 삼성전자는 회사채 발행을 고려하고 있습...

2024.11.15
6
외국인 매도에 따른 삼성전자주가하락과 원화환율 상승, 코스피시총순위 변화

현재 원화환율을 상승시키는 요인은 삼성전자에 대한 외국인 매도에 있습니다. 8월 23일부터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집중매도합니다. 최근까지 삼성전자 매도세는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외국인은 국내주식을 팔고 내국인은 해외주식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미국주식은 고점을 돌파하면서 국내에서 해외로 자금은 이탈이 되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환율이 강세이어야 하는 시기입니다. 2023년 9월까지 경상수지흑자는 167.5억달러였습니다. 올해에는 646.4억달러가 경상수지 흑자입니다. 국내로 달러가 유입되면 원화환율은 하락해야 합니다.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에도 환율상승은 경상수지 흑자가 줄어들면 환율은 더욱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국인이 해외주식투자를 늘리고 외국인이 삼성전자 주식을 팔면 국내 경제는 어떠한 영향이 있을까요? 대출의 재원은 예금입니다. 은행들은 현재 대출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대출규제의 실질은 해외주식열풍과 삼성전자매도입니다. 해외주식을 한다는 것은 국내 예금에서 이탈을 의미합니다. 고객예탁금 역시 예금입니다. 은행이 대출을 해주기 위해서는 예금이 필요합니다. 예금 100이 유입되면 지급준비율 만큼 중앙은행에 예치를 하고 나머지를 대출할 수 있습니다. 내국인이 미국주식을 매입하려면 우선 환전을 해야 합니다. 달러로 교환하면 국내 예금은 줄어들게 됩니다. M1의 경우에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습니다. 2022년 1333조에서 24년 8...

2024.11.13
6
미 대선 이후 국내증시 전망...삼성전자 주가

주식시장은 돌발변수가 발생합니다. 코스피는 미 대선이 끝나고 바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어제 금투세폐지 가능성이 갑자기 높아지면서 코스피는 급등합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3628773013 코스피 전망...미국 대선일 부근에 바닥이 형성될 가능성 코스피의 바닥을 예측하는 지표는 외국인 선물 누적잔고입니다. 10월 22일까지 누적선물 매도잔고는 4.4만... blog.naver.com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코스피가 급락한 원인은 외국인이 선물을 대량매도했기 때문입니다. 이 당시 외국인은 64,407계약 선물을 매도합니다. 이렇게 선물매도잔고가 쌓이면 바닥신호입니다. 9월 27일 이후 외국인 매도잔고는 8272계약입니다. 보통 연말에는 배당수요로 주가가 급등합니다. 선물시장에서도 매도차익잔고를 보유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왜, 매도차익잔고를 보유하지 않으려고 할까요? 매도차익잔고는 공매도를 의미합니다. 공매도 포지션을 보유하면 배당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주식을 보유하면 배당금을 받고 공매도포지션을 유지하면 배당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코스피200선물을 보면 12월물보다 3월물가격이 더 낮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차월물이 원월물보다 가격이 높습니다. 3월물이 12월물보다 낮은 이유는 배당 때문입니다. 선물을 보유한다고 배당금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선물가격이 낮게 형성이 됩니다. 선물의 이론...

2024.11.05
2022.10.20참여 콘텐츠 2
14
홍콩 H지수와 상해종합지수 괴리원인...ELS

홍콩 H지수는 2008년 10월 저점과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항생지수 역시 팬데믹 이전보다 더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서 상해종합지수는 3000부근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H지수는 중국 본토기업 가운데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많은 50개 기업의 시가총액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지수이며, 동 지수에 포함된 기업들은 중국에 영업기반이 있습니다. H지수와 상해종합지수의 괴리율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H지수와 상해지수의 괴리율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섹터별 구성 비중의 차이입니다. H지수는 IT비중이 38.6%이며, 상해종합은 9.8%입니다. 중국은 공동부유정책으로 2020년 11월부터 빅테크 기업을 규제하기 시작합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551970032 중국 공동부유 중국은 2020년 1인당 GDP가 10,500불입니다. 베트남은 2785불입니다. 중국은 베트남보다 3.5배가량 GD... blog.naver.com 알리바바 주가 역시 계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항생테크지수는 고점대비 반의 반토막이 난 상황입니다. 중국의 빅테크 규제로 항생지수는 2021년 7월 약세장으로 가장 먼저 진입합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447519423 항생지수 약세장 진입 주식시장에서 고점대비 10%이상 하락하면 조정장진입이며, 고점...

2022.10.20
9
H지수 폭락요인...ELS

ELS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낙인구간으로 진입을 하게 되면 원금손실이 발생하는 구간입니다. 위 그림에서 가입시점 주가가 55%만 하락하지 않으면 원금손실은 발생하지 않지만 55%하락하게 되면 원금손실이 발생합니다. ELS매수자는 기본적으로 풋옵션매도자가 됩니다. 다음은 테슬라 만기 2024년 1월 19일인 풋옵션입니다. 현재 테슬라 가격은 766불입니다. ELS는 대략적으로 행사가격 300불인 풋옵션을 매도한 상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위에 만기일이 ELS만기일입니다. 풋 300 이면 테슬라 주가가 300달러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내가격으로 진입하게 됩니다. 만기일이전에 테슬라 주가가 200불까지 하락을 해도 만기일 주가가 300불 위에서 끝나면 풋옵션매도자는 프리미엄을 얻게 됩니다. ELS보유자는 수익을 얻게 되죠. 증권사는 ELS의 판매자입니다. 증권사가 풋옵션을 매도하고 델타헷징을 하게 됩니다. 풋옵션을 매도했을 때 델타헷징은 공매도입니다. H지수의 경우 H선물을 매도하게 됩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583086740 ELW와 델타헷징 https://blog.naver.com/andree77/222205421243 elw는 옵션입니다. 그래서 증거금이 1500만원이 필요하며 ... blog.naver.com 다음은 코스피200 풋옵션입니다. 델타값은 등가격에서...

2022.03.16
2022.06.09참여 콘텐츠 1
8
최저임금과 부동산,주식..2022년 최저임금

2022년 최저임금은 9160원입니다. 최저임금은 물가상승률 + 경제성장률 만큼 인상을 해야 현재 생활 수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최근 10년동안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은 물가지수의 조작에 있습니다. 40년동안 물가지수는 3.759배 밖에 오르지 않았습니다. 누가 봐도 물가지수는 조작이 되어 있습니다. 짜장면 가격만 봐도 10배 이상 올랐습니다. 이렇게 물가지수를 정부가 조작함에 따라서 최저임금은 근 10년래 급격하게 상승합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741306976 국민연금고갈과 소비자물가지수...자가주거비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은 근로자의 소득을 높이면 소비가 늘어 경제성장을 유도하는 정책이였습니다. ... blog.naver.com 물가지수 조작은 부동산 작전 세력들과 연관이 있습니다. 1970년대 강남 개발과 함께 부동산 투기는 시작이 됩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544168339 부동산과 통정거래 영화 강남1970에 나오는 통정거래 장면입니다. 땅을 헐값에 산 뒤에 자기들 끼리 매매를 한 이후에 바람 한... blog.naver.com 아파트를 직접 매입하는 것보다 분양을 받는 것이 더 유리한 이유는 부동산 가격 조작 때문입니다. 시행사(건설사)와 부동산 작전세력과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아파트 가격을 조작하면서 통정세력들...

2022.06.09
2024.10.01참여 콘텐츠 6
5
중국 ETF 투자방법...국내상장 ETF,해외ETF,해외선물..ISA계좌와 연금저축펀드,DC,IRP퇴직연금

중국은 기본적으로 외국자본에 대해서 개방을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주식시장도 상승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10년에 한번씩 주식시장은 급등합니다. 이런 기대로 최근 상해종합지수는 급등하고 있습니다. 중국주식을 투자하는 제일 좋은 방법은 개인연금계좌를 통해서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개인연금계좌가 있으면 세금을 당장 내지 않습니다. 연금으로 받으면 5.5% 연금소득세를 냅니다. 다음은 ISA계좌로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ISA계좌로 투자를 하면 이익에 대해서 9.9% 분리과세됩니다. ISA계좌가 만기되면 연금계좌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전환할 경우 전환금액의 10%, 최대 3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됩니다. 연금계좌와 ISA계좌가 없을 경우 국내상장 중국 ETF는 배당소득세로 과세됩니다. 해외상장 중국 ETF는 양도소득세로 과세됩니다. 국내상장 중국 ETF는 배당소득세로 15.4%가 부과됩니다. 해외주식 양도차익에 대해서는 22%가 부과됩니다. 만약, 금융소득종합과세자라면 해외상장 ETF에 투자하는 것이 이득입니다. 국내상장 ETF에 투자할 경우 최대 49.5%까지 세율이 상승합니다. 금융소득은 이자,배당소득을 말합니다. 중국증시에 투자하는 또다른 방법은 해외선물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중국관련 해외선물의 대표지수는 FTSE 차이나A50입니다. 해외선물을 이용할 경우 이익에 대해서 11%가 과세됩니다. FTSE 차이나 A50의 경우 위탁증거금...

2024.10.01
13
국내배당주 투자시 유의점..중개형ISA계좌,연금저축계좌,IRP로 투자시 장단점

주식투자를 할 때 가장 기본은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자사주를 매입하고 소각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배당수익률이 중요합니다. 주가가 급락할 때 배당금을 많이 주는 회사를 매수하는 것은 절호의 저가매수찬스가 됩니다. 배당수익률은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값입니다. 예를들어 삼성전자 주가가 10만원이고 1년 배당금이 5천원이라면 배당수익률은 5%입니다. 주가가 하락해서 5만원이 되면 배당수익률은 10%가 됩니다. 대신증권2우B를 보면 배당수익률은 8.22%입니다. 주가가 하락하면 배당수익률은 높아집니다. 배당금을 높여도 배당수익률은 높아지죠. 배당주 투자에서 있어서 중요한 개념은 배당락입니다. 배당금을 지급하면 회사에서 현금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자산은 감소합니다. 자산감소로 주가하락을 배당락이라고 합니다. 대신증권2우B의 경우 3월 배당락이 있었고 주가는 급락합니다. 배당락에 대해서 좀더 알아보죠. 대신증권의 배당금에 대한 정보를 알려면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회사명에 대신증권, 공시유형에서 거래소 공시, 거래소 공시에서 수시공시를 체크합니다. 현금,현물배당결정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이것을 클릭하면 배당기준일이 2024년 3월 26일로 나옵니다. 주식은 D+2일 결제입니다. 3월 22일 보유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3월 25일이 배당락일입니다. 주식은 택배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택배를 오늘 주문하면 바로 받지 못하...

2024.08.10
4
코스닥,코스피와 레버리지 ETF, 금투세 부과시 중개형ISA계좌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돈을 쉽게 버는 방법은 KODEX코스닥150레버리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개별종목에 투자할 경우 원금회복이 불가능하거나 아주 어려운 경우가 발생합니다. KODEX레버리지와 KODEX코스닥150레버리지를 투자하면 개별종목을 분석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강조를 했습니다. KODEX코스닥150레버리지의 특징은 2년에 한번씩 시세가 분출된다는 것입니다. 2018년초 급등한 이유는 셀트리온관련주 영향입니다. 셀트리온이 급등하면서 코스닥은 급등합니다. 이후 셀트리온은 코스피로 이전합니다. 이부분이 코스닥지수 투자에서 유의할 점입니다. 셀트리온이 폭등하고 코스피로 이전하면 셀트리온은 코스닥에서 빠지게 됩니다. 이것은 아주 특이한 케이스입니다. MSCI지수에서 퇴출이 되는 경우는 주가하락으로 시총이 감소할 때입니다. 코스닥은 반대로 시총이 증가하면 빠져나갑니다. 이것이 코스닥 지수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점입니다. KODEX코스닥150레버리지는 2년후 2020년 3700원까지 하락합니다. 2020년 3월은 팬데믹으로 개미들이 주식을 던질 때입니다. 개미들이 바닥에서 주식을 던지게 되면 이후 코스닥은 급등합니다. 세력들이 저가에서 주식을 매수했기 때문입니다. 2021년까지 코스닥은 급등합니다. 그리고 2022년 미국기준금리 인상으로 코스닥은 다시 폭락합니다. 2022년 10월 국내 PF대출 위기와 고에너지가격으로 ...

2024.08.10
7
중계형ISA계좌,연금저축계좌의 장단점

ISA 가입조건은 만 19세이상 이거나 만 15세에서 19세 미만인 경우에는 근로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직전 3개년 중에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니여야 합니다. 금융소득은 이자,배당소득을 의미합니다. 금융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입니다. 2023년 금융소득이 2100만원이라면, 2025년까지 ISA에 가입할 수 없습니다. ISA계좌로 수익이 발생하면 9.9%저율로 분리과세합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자의 경우에는 최고세율이 49.5%입니다. 은행예금을 ISA계좌로 이용하면 세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ISA계좌 유형은 세가지로 구분됩니다. 일반형,서민형,농어민입니다. ISA계좌는 수익에 대해서 9.9% 분리과세를 적용하므로 금투세 세제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최근 급성장합니다. ISA는 연간 납입한도는 2천만원이지만, 미불입 한도는 다음연도로 이월가능합니다. 그래서 지금 ISA계좌를 개설하고 금투세가 시행이 되면, 나중에 ISA계좌로 1억까지 입금할 수 있습니다. ISA계좌로 매매를 하지 않더라도 개설하는 것은 필요합니다. 이것이 가장 핵심포인트입니다. 연금저축 세액공제와 ISA 서민형을 비교해보죠. 총급여가 5100만원이면 세역공제율은 16.5%입니다. 이때 ISA서민형은 가입이 되지 않습니다. ISA서민형은 총급여 5000만원 이하이기 때문입니다. 이때에는 일반형으로 가입하면 됩니다. 비과세한도만 달라지...

2024.08.01
11
연금저축펀드,IRP퇴직연금,ISA계좌로 투자시 유의사항

2000년대 증권사들의 매매수수료는 평균 0.2%였습니다. 미래에셋이 0.029%를 통해서 시장을 공격적으로 개척합니다. 이후 키움증권이 0.015%로 시장을 잠식합니다. 현재는 증권사들이 무료수수료 경쟁을 하고 있지만, 2000년대 중반까지는 아니였습니다. 키움이 0.015%로 업계 최저수수료를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지점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죠. 온라인 위주 영업이였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이때부터 단타는 키움으로 많이 했습니다. 2008년까지 증권사의 또다른 수입원은 펀드판매수수료였습니다. ETF에서는 판매수수료가 없습니다. 이때에는 지점에서 펀드를 가입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은행,증권사 지점에서 펀드를 가입하면 펀드수수료 2%정도되었습니다. 현재, 펀드의 경우에는 판매수수료가 책정이 되고 있습니다. 15년전에는 지수투자를 펀드로 했습니다. 펀드 수수료가 2%대였지만, 많이했던 이유는 수익률이 높았기 때문입니다. 미래에셋을 성장시킨 결정적인 요인이 인디펜던스와 디스커버리였습니다. 누적수익률은 1000%를 달성하죠. 미래에셋 펀드가 성장한 원인 중에 하나는 중국펀드였습니다. 2000년대 중반 상하이종합지수는 대폭등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직접투자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홍콩 H지수로 대신 투자했습니다. 홍콩 H지수가 전고점에서 미래에셋은 인사이드펀드를 내놓게 됩니다. 이후 중국지수는 급락하게 됩니다. 이때 미래에셋 회장,박현주는 중국의...

2024.07.30
2024.10.25참여 콘텐츠 3
6
디딤돌대출,신생아특례대출을 줄이는 이유와 높은 신용점수에도 은행대출을 줄이는 이유

최근 디딤돌 대출,신생아특례 대출에서 방공제를 차감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주택도시기금을 부실 PF대출에 지원했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정부가 부동산 개발회사를 위해서 아파트 가격을 띄우려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지만, 대출 재원 부족으로 아파트 가격을 띄울 수 없게 됩니다. 은행 역시 LCR규제로 돈은 많지만, 대출을 해줄 수 없습니다. 바젤3규제 때문입니다. 오히려 은행들은 고유동성자산을 더 쌓아야 합니다. LCR규제는 100% 이상입니다. 현재 LCR규제는 95%입니다. 100%로 올려야 하지만, 100%로 올릴 경우 은행들은 대출을 더 줄여야 합니다. 경제가 잘돌아가기 위해서는 개인사업자대출과 개인회생이 잘 돌아가야 합니다. 개인사업자들이 대출을 하고 그 중에서 실패하는 경우도 많을 것입니다. 이때 개인회생을 통해서 채무를 탕감받게 됩니다. 은행권들은 가계신용대출의 신용점수를 대폭올립니다. 한마디로 은행들은 신용위험을 회피하겠다는 의미입니다. KB금융은 3분기 누적 순익이 4조를 돌파합니다. 불황기에 금융회사가 이렇게 실적이 좋다는 것은 저신용 대출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2022년 이후 전세계는 고금리로 대출이 줄어듭니다. 이에 반해서 우리나라 대기업대출 잔액은 대폭 늘어납니다. 이것은 주식시장 침체로 주식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물적분할이 주주입장에서는 최악이지만, 국가경제로 ...

2024.10.25
3
신생아 특별공급과 신생아 특례대출로 지방이 붕괴되는 이유

우리나라는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인해서 전세계에서 찾아 볼 수 없는 저출산이 발생했습니다. 우리나라 주택시장 버핏지수는 2020년 300%를 돌파합니다. 이것은 소득대비 주택가격이 너무 높다는 것입니다. 소득보다 주택가격이 훨씬 빠르게 오르면서 저출산은 급격하게 진행됩니다. 2017년부터 버핏지수는 급격하게 높아집니다. 부동산 버핏지수가 오르면서 저출산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우리나라 저출산을 해결하는 것은 부동산 버핏지수는 낮추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부동산 가격을 인위적으로 높이고 있습니다. 그 수단은 강남의 경우 거래를 중단시킵니다. 강남은 투기과열지구로 대출이 거의 되지 않습니다. 전세대출도 기금대출이 되지 않죠. 부동산의 핵심은 대출입니다. 연예인들이 아파트를 매입하지 않고 건물 매매를 하는 이유는 대출 때문입니다. 건물가격의 80%까지 대출이 됩니다. 200억 건물을 40억만 있으면 매수가 가능하죠. 200억 건물가격이 300억이 되면 수익률은 50%가 되는 것이 아니라 250%가 됩니다. 강남 아파트는 대출이 되지 않기 때문에 돈 있는 사람들은 건드리지 않습니다. 전세의 경우에도 강남의 경우에는 기금 대출이 되지 않아 은행자체대출을 해야 합니다. 강남에서 갭투자 역시 수월하지 않습니다. 계약갱신요구권으로 인해서 4년동안 돈이 묶이는 현상도 발생합니다. 강남은 주식으로 비유하면 고점에서 거래정지를 시킨 것입니다. 강...

2024.07.20
8
경기침체 원인...신생아 특례대출,디딤돌 대출,부동산 대출,신혼특공

우리나라 경기침체 원인은 다양합니다. 수입물가급등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특히, 국제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국내 물가를 자극시키고 있습니다.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은 한전채 발행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전채 발행이 늘어나면서 시중 유동성을 한국전력이 흡수하고 있습니다. 신도시가 개발이 되면 토지보상금이 크게 지출됩니다. 개발채권을 발행해서 30조를 토지보상금으로 지출하면 이 돈들은 국내로 머물러있습니다. 신도시가 개발되면 토지보상금이 풀리고 집값을 자극하게 되죠. 한전채를 발행하는 이유는 국제에너지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입니다. 이 돈은 석탄,석유,천연가스 구입에 사용이 됩니다. 외화유출로 이어지죠. 동해안에 유전 개발로 10조가 투입이 된다고 해보죠. 10조가 해외로 유출이 되지 않으면 동해유전개발은 오히려 경기를 진척시킵니다. 하지만, 엑트지오사나 노르웨이사 등에게 시추를 맡기게 되면, 달러 유출로 이어지게 됩니다. 전국민 25만원을 주는 돈 12조와 석유시추에 12조를 비교해서 똑같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전국민 25만원은 원화로 공급해주는 것이죠. 원화는 무제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별 문제없습니다. 12조를 외화로 공급하면 12조원은 국외로 유출됩니다. 현재, 가장 미친 정책이 밸류업입니다. 밸류업으로 인해서 경상수지는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삼성전자도 외국인 지분율이 55%입니다. 삼성전자가 10조 배당하면 ...

2024.06.24
2024.07.02참여 콘텐츠 2
12
상속세 개편방안...상속세율 인하보다 상속공제 상향

종합소득세의 계산구조를 보면 금융소득금액,부동산소득금액,근로소득금액,연금소득금액,기타소득금액을 모두 더한 금액이 종합소득금액입니다. 종합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를 빼면 과세표준이 산출됩니다. 상속세의 경우 총상속재산가액이 종합소득과 대응됩니다. 상속세 과세가액이 종합소득금액과 대응이 되죠. 상속세를 줄이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사전증여입니다. 상속세에서는 10년이내(비상속인 5년) 상속인에게 증여한 재산은 증여로 보지 않고 상속으로 봅니다. 증여공제는 10년동안 배우자 6억, 직계존속과 비속은 5천만원까지 공제가 됩니다. 종합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를 빼면 과세표준이 산출이 된 것처럼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상속공제를 빼면 상속세 과세표준이 산출됩니다. 상속세 과세표준에서 세율을 곱하면 산출세액이 산출됩니다. 현재 상속세 이슈는 상속공제와 세율에 있습니다. 상속공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초공제(2억)과 그 밖에 인적공제의 합과 5억원 중에서 큰 금액을 기본적으로 공제합니다. 그 밖에 인적공제로 자녀공제,미성년자공제,연로자공제,장애인공제가 있습니다. 다음은 배우자공제입니다. 배우자공제는 최소 5억에서 최대 30억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배우자가 단독 상속인인 경우에는 일괄공제 5억원을 받을 수 없으며, 기초공제와 그 밖에 인적공제만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녀에게 상속을 하면 대부분 일괄공제 5억만 받습니다...

2024.07.02
5
인플레이션 조세..소득세율와 상속세율

인플레이션 조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통화시스템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204477100 국채와 현대통화시스템 채권과 정기예금은 다릅니다. 우선 이 둘의 차이부터 알아야 하죠. 예를들어 1000만원을 2년 정기예금에 가... blog.naver.com 현대 통화시스템은 정부에서 화폐를 찍을 수 없는 시스템입니다. 화폐가 늘어나기 위해서는 정부에서 국채발행이 되어야 합니다. 국채발행은 의회(국회)에서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미국에서 몇년마다 셧다운이 되는 이유는 의회에서 국채발행 승인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은 부채한도를 2조달러 상향을 하면 상향된 범위내에서는 국채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412572186 금리인상과 자산축소...미국 부채한도 상향 미국 재무장관 옐런은 미국이 부채한도 상향을 7월까지 하지 않으면 국가부도를 맞을 수도 있다고 경고합니... blog.naver.com 부채한도승인으로 미국은 고물가가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현재 고물가 원인은 코로나 때문입니다. 코로나로 재난지원금 재원인 국채를 의회가 승인했기 때문이죠. 현대 통화시스템에서 화폐는 중앙은행의 자산이 증가하면 늘어나게 됩니다. 중앙은행이 장기채권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 채권을 매입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단순매...

2022.07.12
2024.12.17참여 콘텐츠 17
6
미국주식의 하이퍼인플레이션...가치투자로 판단할 수 없는 브로드컴주가,팔란티어주가,테슬라주가

미국주식은 가치투자개념이 아닙니다. 워런버핏의 투자방법은 미국에서 통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것은 화폐의 가치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현재 화폐는 그냥 종이쪼가리일 뿐만 아니라 중앙은행이 계속해서 발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돈을 많이 풀면 물가가 급등하는 것보다는 자산가격이 급등합니다. 미국증시의 특징은 시가총액이 3.5조달러가 넘어가면 상승탄력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3.5조달러는 인도GDP 규모입니다. 이로 인해서 애플,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 주가상승세는 크게 줄어듭니다. 그 대신에 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작은 기업들의 주가는 폭등하고 있습니다. 브로드컴주가는 최근 급등합니다. 시가총액은 1.17조달러입니다. 주가수익비율인 PER는 196입니다. 기존 가치평가모델로 보면 고평가입니다. 삼성전자보다 시가총액이 몇배 높은 기업의 PER가 196이라는 것은 과거의 기준으로 보면 말이 되지 않습니다. 현재 주가의 평가모델은 교과서 모델로는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워런버핏이 올해초부터 주식을 계속해서 팔고 있는 이유가 바로 새로운 트랜드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주식은 소위 묻지마투자를 해야 돈을 크게 벌 수 있습니다. 추격매수를 해야 돈을 버는 구조입니다. 현재 브로드컴주가는 2023년 5월 엔비디아 주가와 유사한 시점입니다. 이때 엔비디아는 시총 1조달러를 돌파하면서 주가는 계속해서 급등합니다. 2023년말부터 ...

2024.12.17
7
가격과 가치가 일치하지 않는 시대..강남아파트,테슬라주가,비트코인ETF 상승이유

일반적으로 가치는 사용가치(value in use)를 의미하고 가격은 교환가치(value in exchange)를 의미합니다. 비트코인에 대해서 아무런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할 때 그 가치는 사용가치를 의미합니다. 사용가치가 높다고 가격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비트코인보다 물이나 공기는 훨씬 중요합니다. 3분동안 공기가 없으면 죽고 3일동안 물이 없으면 죽고 3개월동안 음식을 먹지 못하면 죽게 되죠. 가치있다고 가격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은 편견입니다. 교환가치를 노동과 자본투입량으로 보기도 합니다. 노동,자본 투입량이 많으면 가격이 높다는 것이죠. 1비트코인을 채굴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난이도가 높아집니다. 노동과 자본투입량이 계속해서 상승하기 때문에 비트코인 가격이 계속해서 오른다는 개념이 반감기입니다. 물,공기,음식과 비교해서 금,다이아몬드,비트코인의 사용가치는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교환가치는 다릅니다. 이는 금,다이아몬드,비트코인의 가치가 저장되기 때문이죠. 물,공기,음식은 가치가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교환할 이유가 크지 않습니다. 희소성이 가격을 결정하기도 합니다. 만약, 물과 공기가 희소하다면 비트코인,금보다 훨씬 높게 가격이 형성될 것입니다. 가격은 사용가치보다는 희소성을 강조해야 상승합니다. 희소성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 수요와 공급이죠. 경매를 생각하면 가격을 이해하기 수월합니다. 2023년 파블...

2024.12.14
7
애플주가,엔비디아주가,테슬라주가,미국주가 상승이 미국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

우리나라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변수는 물가와 성장률(고용),환율입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대로 하락합니다. 경제성장률(실질GDP증가율)은 제로수준으로 하락합니다. 미국경제가 낮은 물가와 제로성장이면 연준은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우리나라는 환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달러환율이 상승하면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하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자본이 유출되면서 환율을 더욱더 상승을 시키기 때문입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물가를 상승시키면서 물가를 자극시킵니다. 물가상승은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수요증가와 공급감소입니다. 수입물가상승은 공급감소요인입니다. 수입물가상승은 스태그플레이션을 유발합니다. 물가는 상승하고 실업률은 높아집니다. 개인들이 부자라는 기준과 국가가 잘산다는 기준은 다릅니다. 개인들은 주식,부동산을 많이 소유하면 잘산다고 합니다. 국가는 1인당GDP가 높으면 잘산다고 합니다. 개념적으로 다릅니다. GDP는 소비와 투자를 의미합니다. 1인당 GDP가 상승하려면 소비와 투자가 증가해야 합니다. 윤석열대통령이 들어서고 민간소비증가율은 크게 감소합니다. 소매,내구재,준내구재,비내구재판매액지수는 하락합니다. 윤석열대통령은 실물보다는 금융자산을 키우려고 정책을 합니다. GDP의 투자지출도 줄어듭니다. 주식가격이 급등한다고 나라가 잘산다는 생각은 중상주의 사상이죠. 금이 많으면 국가가 부자...

2024.12.08
6
미국증시와 VIX지수..테슬라주가 하락원인

부동산 시장과 주식시장의 가장 큰 차이점은 파생상품시장입니다. 부동산은 파생상품시장이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2000년대 부동산도 파생상품시장이 있었습니다. 신용파생상품입니다. 예금으로 대출을 해줄 수 없다보니 MBS를 만들었습니다. 이 MBS를 통해서 다양한 파생상품을 만듭니다. 주식,환율시장의 경우에는 파생상품시장이 현물시장에 바로 영향을 줍니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주식시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파생상품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외환시장 역시 파생상품시장이 현물시장을 주도합니다. 통화스왑과 외환스왑시장에 대한 정확한 정보 없이 환율시장을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나마 코스피는 현물 매매동향과 선물 매매동향, 프로그램 매매동향을 통해서 현물시장과 파생상품시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미국시장의 경우에는 이런 정보가 없다보니 지수예측은 어렵습니다. 그나마 미국주식시장의 파생상품정보를 알려주는 지표가 VIX지수입니다. VIX지수는 S&P500 옵션의 내재변동성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상승장에서는 변동성이 줄어듭니다. VIX지수는 하락합니다. 하락장에서는 변동성이 높아지죠. VIX지수는 높아집니다. VIX지수를 보면 나스닥 100과 상관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2020년 3월 나스닥 100이 폭락할 때 VIX지수는 80까지 상승합니다. VIX지수가 이렇게 급등하면 주식시장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도 됩니다...

2024.07.25
12
브로드컴주가,테슬라주가,엔비디아주가,애플주가 비교

나스닥이 폭등하는 이유는 자사주 매입 때문입니다. 자사주를 매입하면 주가는 상승합니다. 그 대신에 발행주식수는 감소하죠. 미국은 자사주 매입과 동시에 발행주식수에서 제외합니다. 자사주를 매입했다고 시가총액이 증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사주를 매입하면 지수는 상승하지만, 시가총액은 상승하지 않습니다. 나스닥에 엔비디아 한종목만 있다고 가정해보죠. 엔비디아 주가가 100달러에서 나스닥지수가 1000이라고 해보죠. 엔비디아가 자사주 매입으로 200달러가 되면, 나스닥지수는 2000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자사주 매입으로 엔비디아 시가총액은 상승하지 않습니다. 나스닥지수가 1000일 때와 2000일 때 시가총액은 같습니다. 차트의 문제점은 배당금 정보가 없다는 것입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739149184 주식차트 보는법...배당주. 채권투자편 KOSEF 국고채 10년 ETF입니다. 차트를 보면 고점대비 13.19% 하락했습니다. 그러면, 고점인 127,61... blog.naver.com SK텔레콤의 경우 10년동안 주가가 거의 오르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매년 5% 배당금을 지급했다면, 10년동안 보유로 50% 수익을 얻습니다. 이런 정보는 차트에 없죠. 유상증자로 인한 권리락처럼 배당락정보도 있어야 합니다. 알파벳 주가에는 배당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미국증시와 다른 나라 ...

2024.06.25
2024.07.15참여 콘텐츠 2
10
트럼프 당선과 소득세율과 법인세 인하...미국증시, 비트코인 폭등 가능성

1970년대 인플레이션 원인은 달러의 불안정성에 있습니다. 달러가 종이쪼가리가 되면서 달러 회피현상이 인플레이션을 만든 것이죠. 1979년부터 금가격은 폭등합니다. 1980년 미국이 단기금리를 20%까지 올리면서 금투자의 기회비용은 대폭적으로 증가합니다. 이후 금가격은 하락하게 되죠. 단기금리가 높아지면서 유동성은 줄어듭니다. 유동성을 늘린 수단은 세율인하였습니다. 세율이 인하되면서 가계의 가처분소득은 크게 증가합니다. 1980년대 이후 저물가는 형성이 되죠. 가계 가처분소득이 늘어나면 물가가 급등하는 것이 아니라 자산가격이 급등하게 됩니다. 1980년대부터 다우지수의 상승은 시작됩니다. 1980년 이후 신자유주의는 시작됩니다. 신자유주의는 작은 정부를 추구합니다. 이후 연기금은 본격적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소득이 늘어나면 이 돈으로 물건을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주식,부동산을 구입하게 되면서 통화량이 크게 늘어나지만, 물가는 별로 상승하지 않게 됩니다. 1980년대 미국 소득세율이 크게 인하가 되면서 가처분소득이 늘어나고 다우지수는 급등합니다. 2000년 이후 다우지수는 박스권을 형성합니다. 1980년 이후 다우지수는 급등하기 시작합니다. 소득세율 인하로 가처분 소득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2000년부터 다우지수는 박스권을 이어갑니다. 그리고 2014년 이후부터 전고점을 뚫고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이후 다우지수가 상승한 결정적인...

2024.07.15
5
인플레이션 조세..소득세율와 상속세율

인플레이션 조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통화시스템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204477100 국채와 현대통화시스템 채권과 정기예금은 다릅니다. 우선 이 둘의 차이부터 알아야 하죠. 예를들어 1000만원을 2년 정기예금에 가... blog.naver.com 현대 통화시스템은 정부에서 화폐를 찍을 수 없는 시스템입니다. 화폐가 늘어나기 위해서는 정부에서 국채발행이 되어야 합니다. 국채발행은 의회(국회)에서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미국에서 몇년마다 셧다운이 되는 이유는 의회에서 국채발행 승인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은 부채한도를 2조달러 상향을 하면 상향된 범위내에서는 국채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andree77/222412572186 금리인상과 자산축소...미국 부채한도 상향 미국 재무장관 옐런은 미국이 부채한도 상향을 7월까지 하지 않으면 국가부도를 맞을 수도 있다고 경고합니... blog.naver.com 부채한도승인으로 미국은 고물가가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현재 고물가 원인은 코로나 때문입니다. 코로나로 재난지원금 재원인 국채를 의회가 승인했기 때문이죠. 현대 통화시스템에서 화폐는 중앙은행의 자산이 증가하면 늘어나게 됩니다. 중앙은행이 장기채권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 채권을 매입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단순매...

2022.07.12